제목 | [산업분석] 국내, 초고령사회에서 연령통합사회 전환 방안 및 과제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황세영 | 조회수 | 33 | |
---|---|---|---|---|---|---|
용량 | 4.45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산업분석] 국내, 초고령사회에서 연령통합사회 전환 방안 및 과제 분석.pdf | 4.45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15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292 |
정책 제안
본 연구의 목적은 모든 연령대가 상호작용하며 활발하게 참여하는 연령통합(Age Integration)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향후 우리나라가 연령통합사회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각 영역에서 연령유연성을 갖추고 지금의 연령분절적인 사회구조를
해결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이 부분에 초점을 두고 정책과제를 마련하였다.
또한 전체 연령 중 현재 가장 많은 차별과 소외를 경험하고 있는 노인을 주요 대상으로 설정하여 영역별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초고령사회 연령통합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구체적인 정책과제를 기능적 연령, 고용환경, 돌봄환경,
교육환경의 4개 분야에서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1) 기능적 연령의 도입
◯ 나이를 기준으로 한 연령분절적 시스템의 한계와 연령차별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연령기준인
‘기능적 연령’의 도입을 제안함.
◯ ‘기능적 연령 도입을 위한 단계적 방안’과 ‘영역별 활용방안 모색 방안’ 두 가지로 세부 과제를 제안함.
◯ 기능적 연령 도입을 위한 단계적 방안(단/중기)
- 기능적 연령 도입에 대한 검토 및 사회적 합의 마련(단/중기)
Ÿ 새로운 연령기준의 도입을 위해서는 철저한 준비와 사회적 논의 및 합의가 필요하기에 기능적 연령 도입에 대한 개념과 필요성,
인식을 사회구성원과 공유할 것을 제안함
Ÿ 구체적으로 공청회나 포럼 등 형태로 공론화 장을 만들어 기능적 연령 소개, 이를 활용했을 경우 이점들을 공유하며
전문가 및 국민들의 의견 수렴을 제안함
- 기능적 연령의 측정 방법 논의 및 설정(단/중기)
Ÿ 기능적 연령의 측정 구성요소 설정
Ÿ 기능적 연령은 신체적 능력, 정신적 능력, 사회적 능력, 경제적 능력, 정치적 능력 등 다양한 차원이 관련되어 있기에
다음의 8가지 요소들을 고려하여 측정할 수 있음
☞ ①노쇠 정도, ②생물학적 나이 마커, ③다중 이환, ④회복력, ⑤일상생활 동작, ⑥내재 역량, ⑦환경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
⑧주관적 건강 인식과 삶의 질
- 기능적 연령의 실제 측정방안 예시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