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24년 양자기술의 동향과 개발 현황 2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황세영 | 조회수 | 35 | |
---|---|---|---|---|---|---|
용량 | 69.17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산업분석] 24년 양자기술의 동향과 개발 현황 2.pdf | 69.17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15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732 |
제1절 개요
양자산업을 구성하는 소재, 부품, 장비, 서비스의 개념을 살펴보면 소재는 양자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바탕이 되는 재료를 말하며
고순도 단결정 양자소재, 반도체 소재, 유전체 소재, 초전도 소재 등이 이에 해당한다.
부품은 독립적인 동작도 가능하고 다른 부품과 함께 장비를 이루는 요소 기술도 될 수 있는데 단일광자 검출기,
양자 난수 생성기(Quantum Random Number Generator, QRNG), 광분리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장비는 양자기술을 활용하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장치를 말하며,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느냐에 따라 다른 장비와 함께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도 존재한다.
또한, 장비의 일부로서 양자 환경을 제공하는 장치 또한 장비의 정의에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의 경우 양자기술이 적용된
장비 등을 활용해 유·무형의 생산물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말하는데, 양자암호 서비스, 양자컴퓨팅 클라우드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전 세계적으로 초기 단계인 양자산업의 현실을 고려할 때, 주요 양자기술의 확보를 통해 시장 선점에 성공할 경우 공급망 안정은
물론 해외시장 개척까지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시장 선점에 실패한다면 국내 양자산업은 주요 소재·부품·장비 공급을
해외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는 등 취약한 구조로 내몰릴 위험성이 높다.
더욱이 각국의 양자기술에 대한 전략적 수출규제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미래 국가경쟁력 유지를 위해 양자기술 관련
글로벌 공급망의 다원화와 함께 주요 소재·부품·장비에 대한 내재화(內在化)가 절실하게 요구된다.
이러한 차원에서 이번 편에서는 양자통신·센서·컴퓨터의 주요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양자통신·센서·컴퓨터를 이루는
주요 소재·부품·장비에 대한 현황 및 공급망 정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