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동향] 주요국들의 우주산업 개발 현황과 지적재산권 전략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황세영 | 조회수 | 38 | |
---|---|---|---|---|---|---|
용량 | 8.56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산업동향] 주요국들의 우주산업 개발 현황과 지적재산권 전략 분석.pdf | 8.56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15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287 |
제2장 우주산업과 우주기술
1. 국가별 우주기술 경쟁력
□ 2022년 기술수준평가(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우리나라는 우주기술 분야에서 기술수준은 세계최고 기술보유국인 미국 대비 대형 다단연소 사이클 엔진기술에서는 55%,
우주 관측ㆍ센싱 기술에서는 65%, 달 착륙 ㆍ표면 탐사기술에서는 45%로 나타남
- 기술격차는 미국 대비 대형 다단연소 사이클 엔진기술에서는 15년, 우주 관측ㆍ센싱 기술에서는 10.5년,
달 착륙ㆍ표면 탐사기술에서는 11.5년으로 나타남
○ 기술수준에 있어 미국은 모든 기술 분야에서 최고수준의 기술력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본격적으로
독자적인 우주핵심기술개발의 출발선상에 있음
- 중국은 대형 다단연소 사이클 엔진기술 및 달 착륙ㆍ표면 탐사기술에서 미국을 제외한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음
- 일본은 대형 다단연소 사이클 엔진기술에서 3위권을 유지하고 있음
- 유럽은 우주 관측ㆍ센싱 기술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음
□ 2023년 특허 메가트렌드 분석(한국특허전략개발원)
○ (발사체)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가 3,397건(51.2%)으로 특허출원이 가장 활발하며
한국특허청은 420건(6.3%)으로 5위로 분석
- 주요 특허 출원인은 미국 보잉(235건, 4.03%), 한국항공우주연구원(220건, 3.77%), 중국 베이징대(179건, 3.07%),
중국 베이징 제어공항연구소(156건, 2.67%), 중국 서북공업대(143건, 2.45%) 순임
○ (우주 탐사 및 관제 기술)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허가 1,026건(69.5%)으로 특허출원이 가장 활발하며
한국특허청은 176건(11.9%)으로 2위로 분석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