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산업분석] 국내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활성안 분석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황세영 | 조회수 | 36 | |
---|---|---|---|---|---|---|
용량 | 21.7MB | 필요한 K-데이터 | 1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산업분석] 국내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활성안 분석.pdf | 21.7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5-01-14 |
---|---|
출처 : | 국책연구원 |
페이지 수 : | 360 |
2. 농촌공동체의 개념 요소와 분석틀
2.1. 공동체의 개념 요소
공동체는 마을, 씨족공동체와 같은 자연발생적 공동체, 학문, 교육공동체와 같은 개념적 공동체, 한민족 공동체와 같은
추상적 공동체까지 범위와 종류가 다양하여(이동일, 2017), N명의 논자만큼 N개의 개념이 있다고 할 정도이다.
공동체의 개념적 혼란은, 백여 개에 가까운 개념 논의를 분석하여 공통의 개념 요소를 뽑아낸 힐러리
(Hillery, 1955; 강대기(재인용), 2003: 12)의 연구 이후 어느정도 잠잠해졌다.
힐러리는 공동체와 관련된 94개의 정의들을 검토한 결과 94개 중에서 69개의 정의들이
① 지리적 영역(장소성), ② 사회적 상호 작용, ③ 공동의 유대나 연대를 공동체의 개념요소로 포함한다고 설명하였다.
3. 연구 범위와 용어 정의
3.1. 내용적 범위
3.1.1. 농촌공동체
이 연구에서 농촌공동체는 ‘읍면 지역에서 사회적 상호작용, 공동의 유대를 바탕으로 구성원의 삶의 질을 높이는 활동을
하는 집단’으로 정의한다. 이 정의는 공동체의 3대 개념 요소(장소성, 상호작용, 유대)에 공익활동 수행을 추가한 것이다.
끼리끼리 결속을 넘어서 농촌의 지속가능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농촌공동체의 역할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