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美 NIC Global Trends 2040으로 본 미래 시나리오와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이상연 조회수 52
용량 3.84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미국 NIC Global Trends 2040을 통해 본 미래 시나리오 및 시사점.pdf 3.8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7-05 
출처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페이지 수 : 47 

[ 목 차 ] 

 

Ⅰ. 서론

 

Ⅱ. 2040년 미래 시나리오 도출 구조

 

Ⅲ. 미국이 전망하는 2040년 5대 미래 시나리오

 

IV . 종합 및 시사점

 


 

본 고에서는 미국의 위기의식과 전략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미국 국가정보위원회 (National Intelligence Council)에서 발표한 “Global Trends 2040” 전망 보고서를 살펴보았다. 미래 전망의 도출 구조와 20년 후 시나리오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미국을 비롯한 주요 서방국가의 위기의식과 세계관을 파악하고, 불확실한 미래 속에서 향후 한국이 중장기 전략을 구상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보고서는 미래 변화를 추동하는 네 가지 동인은 인구구조 변화, 경제, 환경, 기술 네 가지로 구조화했다. 20년 후에는, 첫째 인구증가속도가 둔화되고 고령화가 가속화되며, 둘째 기후변화 영향의 본격화로 인류의 생태계를 위협하며, 셋째 아시아의 세계GDP 점유율이 확대되어 경제중심이 기존 선진국에서 아시아로 이동할 것이다. 끝으로 기술은 진보가 낳은 여러 문제의 열쇠이자 새로운 갈등의 씨앗이 될 것으로 내다보았다.

한편, 전망에 따르면 미래에 비관적인 사회로 바뀌고, 각국은 민주주의의 위기를 겪고 정부와 시민사회 간 긴장관계가 심화될 것이며, 국제사회는 권력의 원천이 다양해짐에 따라 기존의 질서를 이루는 국제질서에 균열이 생길 것이다.

위를 토대로 전망 보고서는 20년 후는 더욱 “더 경쟁적인 세상(A More Contested World)”일 것이며, 이를 ‘미국과 중국의 힘겨루기’ 혹은 ‘환경재앙과 세계화 붕괴’에 따라 다섯 가지 시나리오로 그려냈다.

첫째, 미국과 동맹국이 주도하는 “민주주의의 르네상스” 시나리오는 미국 관점에서 가장 이상적인 미래상으로서, 미국 및 비슷한 가치체계를 가진 서방국가가 주도하는 개방 민주주의의 부활로 기술발전을 주도하고, 소득증가 및 삶의 질 향상을 이루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사회적 통제는 혁신을 억압하게 된다.

둘째, 중국의 영향력 확대와 “표류하는 세계” 시나리오에서 중국과 주요 비국가 행위자들이 국제 규칙과 제도를 무시하여 국제사회는 방향성을 잃고, OECD 국가들은 경제성장 둔화, 사회분열 확대, 정치적 미비로 어려움에 직면하는 한편, 서구의 어려움을 기회로 중국이 국제적 영향력을 확대할 것이다.

셋째, 미·중 힘의 균형 속 “경쟁적 공존” 시나리오에서는 미국과 중국은 경제성장을 우선시하여 견고한 무역관계를 회복하고, 경제적 상호의존성이라는 틀 안에서 정치 영향력, 거버넌스 모델, 기술에 관한 경쟁관계를 지속할 것이다.

위와 같은 미국과 중국의 힘겨루기보다 환경악화가 더욱 심화될 경우,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넷째, 국제질서 다변화에 따른 “파편화된 국제사회” 시나리오에서는 자국 우선주의로 인해 경제, 안보 단위로 국가들이 뭉치고 흩어져서 미국, 중국, 유럽, 러시아 등 강대국을 중심으로 경제, 안보 단위 구역을 형성하는 한편, 개도국들은 혼란 속에서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다섯째, 기후변화, 환경악화가 심각해진 “비극과 협력” 시나리오에서는 국제 식량위기, 자원고갈에 따라 EU와 중국을 중심으로 새로운 국제 연합을 형성하는 한편, 부국은 빈국의 위기관리를 돕고 원조사업 및 첨단에너지기술로 저탄소경제로 전환할 것이다.

미래 전망은 정확한 미래 예측(foresight)이 아니라 개연성 있는(plausible) 다양한 미래모습을 펼쳐봄으로써 현재의 지배적 사고모델을 재점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40년 시나리오는 서구 진영이 보는 비관적인 20년 후 미래 모습을 공식화한 것으로서,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과 최근 기후변화 영향의 본격 가시화에 대한 위기의식이 자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보고서는 미국 등 서구 시각을 반영한 것이므로 이미 결정된 미래로 받아들이지 말고, 동북아 지정학적 관계, 역사적 발전 경로 등 한국의 입장을 고려한 능동적 읽기가 필요하다. 한국판 글로벌 미래 전망과 같이 한국의 위기의식과 중장기 방향성 설정을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8 성장동력산업 「환경친화적 산업구조로의 전환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1도토리 조현상
67 성장동력산업 균형발전 정책의 새로운 핵심 전략, 지역이 주도하는 “초광역협력” 1도토리 조현상
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부, 범부처 종합 금융지원 프로그램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4회차 지원기업 선정 개시 1도토리 조현상
65 성장동력산업 2021년 9월 자동차산업 동향 1도토리 조현상
64 성장동력산업 사상 최단기(299일) 무역 1조 달러 돌파 1도토리 조현상
63 성장동력산업 산업 디지털 전환, 민간 주도로 속도 높이다 1도토리 조현상
62 성장동력산업 21년 9월 주요유통업체 매출동향 1도토리 조현상
61 성장동력산업 2021년 10월 수출입 동향 1도토리 조현상
60 성장동력산업 국내 최초 마을주도 태양광 지원사업(햇빛두레 발전소) 추진 1도토리 조현상
59 성장동력산업 미래 혁신기술 확보, 중견기업과 공공연구기관이 손잡는다 1도토리 조현상
58 성장동력산업 블루수소 연계 국내 최초 상용 규모 CCS 사업 동해가스전 활용 '25년부터 年 40만톤 이산화탄소 저장 추진 1도토리 조현상
57 성장동력산업 대한민국 중형선박, 재도약을 위한 항해를 본격 시작하다 1도토리 조현상
56 성장동력산업 21년 10월 주요유통업체 매출동향 1도토리 조현상
55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정책 뒷받침할「2050 탄소중립 표준화 전략」수립 1도토리 조현상
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부, 22년도 예산 11조 7,312억원 확정 1도토리 조현상
53 성장동력산업 「산업 디지털 전환 촉진법」 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1도토리 조현상
52 성장동력산업 2045년을 향한 미래사회 전망 및 핵심이슈 심층분석 3도토리 이상연
51 성장동력산업 불합리한 정부 인증제도 33개 정비 1도토리 조현상
» 성장동력산업 美 NIC Global Trends 2040으로 본 미래 시나리오와 시사점 3도토리 이상연
49 성장동력산업 2020년 「중견기업 기본통계」 결과 발표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