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분산에너지를 활용한 전력수급 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34
용량 995.9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분산에너지를 활용한 전력수급 개선과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pdf 995.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4-12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4 

전력은 산업 부문의 생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첨단산업의 경우 생산 공정에서의 전
력수요가 높고, 고품질 전력의 안정적 공급은 기업의 경쟁력 유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
나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별 전력수급 불균형과 전력계통 불안정성 증대로 첨단산업 클러스터와 지
역거점 산업단지에 대한 전력공급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다.

 

전력계통의 확충과 함께 분산에너지 활성화로 전력수요가 집중된 지역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해야 한다.

나아가 경제적·안정적 전력공급 기반을 구축하여 선도기업의 지방이전 인센티브를 마련하고, 에너지 분야

신산업을 육성하는방향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의 잠재성장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출생율 저하* 등에 따른 노동투입 감소로
2040년경에는 0%대에 머무를 것으로 우려됨 *2023년 합계출산률 : 0.72


○ OECD에서 전망한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1.9%(’24)로 2012년부터 지속적으로 하락 하고 있음(OECD, 2023)


○ 잠재성장률은 중립적 시나리오에 따라 2040 년에 0.4%까지 하락하며 이는 출생율 하락 에 따른 생산가능인구

와 노동시간 감소에 기인함(한국은행, 2023)

 

□ 또한 수도권 집중현상이 가속화 되며 비수도권 의 많은 지역은 지역소멸 위기에 직면함

 

○ 수도권 인구는 2,605만명(’22)으로 전체인구의 50.5%이고, 수도권 인구 집중현상은향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통계청, 2023)* 수도권 인구 비중: (’10) 49.3% → (’22) 50.5% →(’50) 53.0%


○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지역내총생산(GRDP) 차이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음
- 2015년 이후 전체 GRDP 중 수도권 비중이 비수도권을 앞서게 되었고 2022년 기 준으로 그 격차는 5.6%p로까지 확대됨

 

 

--------------------------------------------------------------------------------------------------------------------------------

 

스크린샷 2024-04-19 112327.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6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프트웨어 산업의 유망기술 을 통한 기초체력 강화 연구 13도토리 강정훈
76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소프트웨어 글로벌시장 진출을 위한 민관협력 정책 연구 13도토리 강정훈
76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산업 분야 동향 및 분석 2023 13도토리 강정훈
76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다양한 메타버스 시장 분류 체계 13도토리 강정훈
76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인공지능 산업 분야 지원 정책 동향 13도토리 강정훈
76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디지털 컨텐츠 산업 분야 동향 및 분석 2023 13도토리 강정훈
76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AI 산업 분야 동향 및 분석 2023 13도토리 강정훈
76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인공지능 산업 분야 비즈니스 창업 동향 및 분석 13도토리 강정훈
76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년 IP5 통계보고서 주요내용 및 시사점 7도토리 강정훈
768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최신 태국 완구시장 산업 동향 5도토리 강정훈
767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최신 글로벌 컨텐츠 산업 주목할만한 이슈들 7도토리 강정훈
767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의 글로벌 태양광 공급망 장악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 및 전략 13도토리 강정훈
767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주요 국가들의 인공지능 산업 분야 규제 정책의 동향 및 시사점 7도토리 장민환
767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스트리밍 시대의 최신 미국 미디어 컨텐츠 산업 동향 5도토리 장민환
767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성숙기에 접어든 OTT 시장의 경쟁 지형 13도토리 장민환
767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설명 가능한 인공 지능(XAI) 산업 동향 5도토리 장민환
767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 공급망 강화에 대규모 투자하는 일본정부 3도토리 장민환
767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래자동차 시장과 전기, 자율주행 신뢰성 7도토리 장민환
767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수소정책 추진 동향 및 시사점 7도토리 장민환
767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모니터링 드론 산업 동향 5도토리 장민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