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연구] 농식품 공급망과 물가 결정요인 관계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류지원 조회수 33
용량 4.68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연구] 농식품 공급망과 물가 결정요인 관계 분석.pdf 4.6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3-29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251 

1.1. 연구 필요성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위기, 러-우 전쟁 등으로 2022년 국내 농식품
소비자물가(Consumer Price Index: CPI) 상승률은 농축산물 3.8%, 가공식품
7.8%, 외식 7.7%로 특히,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가 급등하였다. 이로 인해 농축산
물(가중치: 83.8%), 가공식품(가중치: 86.8%), 외식(가중치: 126.7%) 부문의 전체
소비자물가 기여도(증감률과 가중치 곱의 합)는 2022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인 5.1%의 38.6%인 2.0%p에 이르는 것으로 계산된다. 즉, 농식품 물가 상승으로
전체 소비자물가가 2.0%p나 더 오른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승세는 2023년에도
지속되고 있어 농식품 물가 관리가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물가안정 정책의 핵심 분
야로 인식되는 상황이다. 특히 2022년 12월 기준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 월 대비 농
축산물은 0.3% 상승에 그쳤으나 가공식품과 외식은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크게 능가하는 10.3%, 8.2%씩 상승하여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관리가 농식품 분
야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 물가 관리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농식품 물가 추이를 살펴보면 2022년과 같은 상황 즉, 농식품 물가 상승이 우리
나라 전반적인 물가 인상을 견인한 사례가 여러 번 발생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2000년 대비 2022년 소비자물가 수준은 농축산물 137.3%, 가공식품 107.4%,
외식 83.2% 상승하여 동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CPI) 상승률인 70.6%에 비해 월등
히 높다. 또한 가공식품 및 외식 물가는 2008~2009년, 2011~2012년, 2022년 상승
률이 특히 커 농식품 물가 상승이 전반적인 국내 물가 상승을 견인하였다.

 

 

---------------------------------------------------------------------------------------------------------

 

스크린샷 2024-04-09 110216.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3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3대 경제산업 이슈 2024 7도토리 오민아
73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캐나다의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동향 및 시사점 2024 13도토리 오민아
7346 성장동력산업 [시장전망] 폴란드 자동차 시장 동향 및 전망 2024 3도토리 류지원
734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유럽연합 전기차 시장에서 중고 전기차 구매 선호 3도토리 류지원
734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독일의 빠르게 성장하는 사이버 보안 시장 3도토리 류지원
»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농식품 공급망과 물가 결정요인 관계 분석 13도토리 류지원
73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사고 사례로 보는 소프트웨어 안전 체계 필요성 7도토리 류지원
73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루마니아 원자력산업의 주요 쟁점 2024 3도토리 류지원
73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속성장중인 네덜란드의 모빌리티 산업 2024 3도토리 류지원
73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VR 및 AR 산업분야 실태조사 2023 13도토리 류지원
733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의 이차전지산업 폐수처리 동향 7도토리 류지원
733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실외이동로봇으로 알아보는 일상속 자율주행로봇. 11도토리 류지원
733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중국에서 주목받는 인공지능 스마트폰 3도토리 박민혁
7335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 - 농림업 부문 13도토리 박민혁
7334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국내 건설,통신,보건 분야 일자리 지원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13도토리 박민혁
733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세계 2위 코발트 매장국 호주의 공급확대 정책 5도토리 박민혁
73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즈베키스탄에서 주목할만한 희소금속 - 텅스텐, 몰리브덴 3도토리 박민혁
733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I를 통한 적외선 영상 위조얼굴 판별기술 5도토리 박민혁
733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 저공경제 산업의 융복합 발전 동향 3도토리 박민혁
732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스마트팜으로 재정비되는 덴마크 농업 3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