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연구]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 - 농림업 부문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34
용량 10.62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연구]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 - 농림업 부문.pdf 10.6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3-28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301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1.1. 연구 필요성

 

기후 위기와 환경위기에 대응하여 유럽,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환경 관련
사업에의 투자를 통한 녹색경제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세계적
녹색경제로의 전환 움직임에 발맞춰 환경 관련 사업에의 집중투자를 통한 탈탄소
녹색경제1)로의 전환을 제시했다(관계부처 합동, 2020).


녹색경제를 보다 구체적으로 얘기하면 화석연료의 사용을 단계적으로 축소하
고 녹색기술과 녹색산업을 육성함으로써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가능발전
을 추구하는 경제를 말한다(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2020: 제22조). 따라서 녹색
기술과 녹색산업을 육성하고, 그 이용을 활성화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정학균 외, 2021).


우리 농업은 적정수준 이상의 농약·화학비료 사용, 공장형 축산 등으로 환경부

담이 가중되어왔다. 2015∼2017년 평균 질소 수지는 OECD 평균의 3.2배(1위)이
고, 인 수지는 OECD 평균의 6.3배(2위)로 나타났다(임영아 외, 2020). 이로 인한
토·수질 악화는 지속가능한 농업의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도농 간
빈·부농 간 소득 차이가 크며, 순수 농업소득이 증가하지 못하고 있어 성장 동력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농업부문에서도 녹색기술 이용 활성화를 통한 녹색경제로의 전환이 요구되는
가운데 최근 미세먼지 저감농업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국립환경과학원
(2022)에 따르면 미세먼지의 농도는 감소추세를 보여 2021년 기준, 초미세먼지
(PM2.5) 연평균 농도가 18μg/m³를 기록하였으나 여전히 대기환경기준2)(15μ
g/m3)을 초과하는 상황이고, WHO 권고기준3)(5μg/m3)보다 3.6배 높은 수준이다.


미세먼지는 호흡기에 침착 또는 체내에 흡수되어 심각한 건강 영향이 발생하고,
농작물과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산업 활동에도 지장을 초래한다. 이
에 윤석열 정부 120대 국정과제에 “미세먼지 걱정없는 푸른하늘”(88번)을 제시하
였으며,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 재수립’ 등을 세부과제로 설정함에 따라 2022년
12월 27일에 환경부는 제3차(2023∼2032년)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을 발표했
다.

 

 

--------------------------------------------------------------------------------------------------------

 

스크린샷 2024-04-09 103503.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368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국가별 ICT 시장동향 독일 2024 7도토리 안소영
736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국가별 ICT 시장동향 UAE 2024 7도토리 안소영
7366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국내 부동산 시장 추이로 알아보는 건설업 투자 전망 2024 9도토리 안소영
7365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CXL에 대한 쉬운 이해와 전망 7도토리 안소영
736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해외 ICT 표준화 동향 7도토리 안소영
73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은행 자사주 매입 동향 및 국내 기업분석 13도토리 안소영
73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서비스 산업 전환 지원금 현황 3도토리 안소영
73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 유통업체 및 면세점 매출 동향 5도토리 안소영
7360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한-미 간 첨단기술 협력기금 신설의 사회, 경제적 파급효과 13도토리 오민아
7359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지역별 주력산업 및 디지털 융복합 성장기업 선정지표 개발 연구 13도토리 오민아
7358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연구DATA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및 법제화전략 13도토리 오민아
7357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디지털 거버넌스를 활용한 과학기술외교의 실효성과 국제개발협력 역량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13도토리 오민아
7356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데이터직무 프레임워크 개발 및 수급 실태조사 13도토리 오민아
7355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경제,기술,안보 통합 시대의 과학기술의 국가발전 기여도 제고방안 분석 연구 13도토리 오민아
7354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과학기술, ICT분야 동향분석 및 주요정책 추진에 따른 기대효과에 관한 연구 13도토리 오민아
7353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과기정통부 업무협업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13도토리 오민아
735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이스라엘 자동차 부품 시장 동향 3도토리 오민아
7351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신차 판매 사상 최고 호황중인 호주 자동차 시장 3도토리 오민아
735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베트남의 최신 영화 트렌드로 보는 영화시장 5도토리 오민아
7349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지속 성장중인 방글라데시의 가축사료 시장 3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