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세계 2위 코발트 매장국 호주의 공급확대 정책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35
용량 61.1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세계 2위 코발트 매장국 호주의 공급확대 정책.pdf 61.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3-28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전 세계 코발트 광물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핵심광물 확보 중요성 증가

한국 정부, 코발트 비축 확대의 필요성 증가로 이차전지 재료 공급망 강화 방안 논의

호주 광물 기업들, 공급망 확대 위해 코발트 광산에 대한 활발한 투자 진행 중

 

세계적으로 코발트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호주 광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코발트는 배터리, 합금, 화학, 세라믹 등에 사용되는 원자재로 특히 전기차 배터리 생산에 필수 재료로 관련 수요가 지속 증가세에 있다. 또한 코발트는 2021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선정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여섯 가지 핵심광물(리튬, 코발트, 니켈, 흑연, 백금족 및 희토류)에 포함되면서 그 중요성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호주의 주요 코발트 관련 기업들은 동 자원의 비즈니스 기회 포착 및 글로벌 공급을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에 호주는 새로운 핵심광물 공급망으로서 한국 기업들에게 전략적 파트너십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HS Code

 

코발트의 HS Code는 세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260500번은 코발트 광석 및 농축액, 282200번은 코발트 산화물과 수산화물 그리고 상업용 코발트 산화물, 마지막으로 810500번은 코발트 중간 제품 및 코발트 제품으로 표기돼 있다.

 

한국 정부, 이차전지 소재 관련 공급망 강화 논의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2023년 7월, 한국은 코발트 비축량이 단 12일분에 불과해 코발트 확보의 시급성이 강조됐다. 이에 대응하고자 정부는 가격 변동성과 예산 규모를 고려해 단계적으로 코발트 비축을 확대할 계획을 발표했고 목표는 2029년까지 180일분의 코발트 비축량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 10월 제2차 불금 간담회를 개최, 이차전지 소재 공급망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 간담회는 최근 급변하는 대외 환경 속에서 정부와 기업이 코발트 등 이차전지 소재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

 

스크린샷 2024-04-09 102835.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3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3대 경제산업 이슈 2024 7도토리 오민아
73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캐나다의 전기차 배터리 공급망 동향 및 시사점 2024 13도토리 오민아
7346 성장동력산업 [시장전망] 폴란드 자동차 시장 동향 및 전망 2024 3도토리 류지원
734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유럽연합 전기차 시장에서 중고 전기차 구매 선호 3도토리 류지원
7344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독일의 빠르게 성장하는 사이버 보안 시장 3도토리 류지원
7343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농식품 공급망과 물가 결정요인 관계 분석 13도토리 류지원
73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사고 사례로 보는 소프트웨어 안전 체계 필요성 7도토리 류지원
73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루마니아 원자력산업의 주요 쟁점 2024 3도토리 류지원
73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지속성장중인 네덜란드의 모빌리티 산업 2024 3도토리 류지원
73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VR 및 AR 산업분야 실태조사 2023 13도토리 류지원
733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의 이차전지산업 폐수처리 동향 7도토리 류지원
733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실외이동로봇으로 알아보는 일상속 자율주행로봇. 11도토리 류지원
733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중국에서 주목받는 인공지능 스마트폰 3도토리 박민혁
7335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 - 농림업 부문 13도토리 박민혁
7334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국내 건설,통신,보건 분야 일자리 지원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13도토리 박민혁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세계 2위 코발트 매장국 호주의 공급확대 정책 5도토리 박민혁
73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즈베키스탄에서 주목할만한 희소금속 - 텅스텐, 몰리브덴 3도토리 박민혁
733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I를 통한 적외선 영상 위조얼굴 판별기술 5도토리 박민혁
733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 저공경제 산업의 융복합 발전 동향 3도토리 박민혁
732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스마트팜으로 재정비되는 덴마크 농업 3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