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금속소재 및 성형가공분야] 고기능성 금속분말 시장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34
용량 2.31MB 필요한 K-데이터 1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금속소재 및 성형가공분야] 고기능성 금속분말 시장분석.pdf 2.3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2-2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55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 금속소재가 다양한 크기(수십 nm~수백 μm)에 해당하는 미세한 입자
(분말)의 형태를 띄는 것을 금속분말이라 부르며 3D 프린팅, 도전성
페이스트, 자성소재, 전자파 차폐/흡수 소재, 코팅용 소재, 경량 복잡
형상 구조용 소재, 공구용 초경 소재 등을 제조하는 합금, 써멧 등
금속을 포함하는 분말 소재


☐ 금속분말 소재부품은 결정미세화, 고용강화, 편석감소, 준안정상 구현
등에 의해 기존 재료와 달리 특이한 특성을 나타내고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는 핵심 소재로 기간산업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반


❍ 국가 기반 기술(고경도 공구 소재, 수송기기용 경량소재), 기능성 신산업 대응
(전도성 및 전지 소재, 모터용 자성 소재, 3D 프린팅용 소재, 내마모 코팅용
소재, 전자파 차폐/흡수용 소재) 등을 포함


☐ 고기능성 금속분말은 금속 소재 및 성형가공 분야에서 금속 소재에
포함되는 전략품목으로 고부가가치 금속개발을 통해 금속 소재 및
성형가공 분야에 있어서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확보가 가능할 것
으로 전망됨

 

(2) 기술개발 필요성


☐ 기존산업의 고도화 및 대외 환경변화로 인한 분말 공정 활용 부품 및
제품의 수요 증가


❍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 품목 중 금속 소재는 60여 품목이며 철 분말, 니켈
분말, 알루미늄 분말, 지르코늄 분말, 베릴륨 분말, 마그네슘 분말, 텅스텐
분말, 몰리브덴 분말 등이 포함되어 있어 해당 분말의 국산화가 시급한 상황


❍ 철계 분말은 자동차용 부품의 원료 소재로 사용되고 초경계 분말은 전자제품의
정밀 가공용 마이크로비트 등에 사용되는 등 고기능성 금속분말은 국내 기반
산업에 널리 사용됨


❍ 특히 기술 고도화로 고정밀, 고성능 부품의 수요가 확대되면서 기존산업에서의
분말야금 활용 부품 수요가 지속 증가 중


❍ 하지만 고부가가치 분말의 경우 분말의 대부분을 기술 선진국에서 수입하고
있어 감염병 팬데믹, 수출규제 등 외부 요인에 취약한 상황임


* ‘18년 기준 공구용 소재 총수입액 1,940억 원 중 약 31%인 600억 원을 일본에서
수입(210억 원 적자)

 

 

 

 

------------------------------------------------------------------------------------------------------

 

스크린샷 2024-04-02 150957.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33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중국에서 주목받는 인공지능 스마트폰 3도토리 박민혁
7335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 - 농림업 부문 13도토리 박민혁
7334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국내 건설,통신,보건 분야 일자리 지원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13도토리 박민혁
733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세계 2위 코발트 매장국 호주의 공급확대 정책 5도토리 박민혁
73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즈베키스탄에서 주목할만한 희소금속 - 텅스텐, 몰리브덴 3도토리 박민혁
733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I를 통한 적외선 영상 위조얼굴 판별기술 5도토리 박민혁
733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 저공경제 산업의 융복합 발전 동향 3도토리 박민혁
732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스마트팜으로 재정비되는 덴마크 농업 3도토리 박민혁
732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민간우주산업시대의 위성 통신 산업 동향 5도토리 박민혁
7327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생성형 인공지능 산업 동향 및 전망 5도토리 박민혁
7326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농업부문의 포용사회화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 13도토리 박민혁
7325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아프리카 주요국가에서의 벼 종자 생산&보급 향상 13도토리 박민혁
7324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공고] 「AI 자율 제조」 지원 분야 발굴을 위한 기술수요조사 공고문 3도토리 김민성
732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충북 지식서비스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7도토리 김민성
7322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인공지능 신약개발 공공 포털 플랫폼 컨설팅 및 만족도 조사 용역 7도토리 김민성
7321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한-베트남 공동연구) 개인 다중속성 분석을 통한 사람 연속식별 AI 기술 개발 3도토리 김민성
732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국회 안티드론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용역 7도토리 김민성
7319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개인투자자의 벤처투자 접근성 제고 방안 7도토리 김민성
7318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 성북지구 스마트시티 리빙랩 7도토리 김민성
731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정책연구과제 제안요구서(RFP) 3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