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용기계분야] 지능형 정밀가공 시스템 시장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2
용량 3.68MB 필요한 K-데이터 1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용기계분야] 지능형 정밀가공 시스템 시장분석.pdf 3.6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2-2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63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 지능형 정밀가공 시스템은 3축 이상 가공기가 1μm 이하의 가공 품질을 구
현하기 위하여 초정밀 베어링 기술, 공간 오차 보정 기술, 초정밀 유체
베어링 스핀들 기술, 환경제어 기술 등이 적용된 가공시스템으로 정의


❍ 최근 스마트폰, 스마트 자동차 등 제품에 센서 및 카메라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핵심 렌즈 부품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렌즈 금형
가공기에 대한 수요가 국내 및 해외에서 급증


❍ IT 고사양 제품들에 세라믹 재료의 채택이 적극 검토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공 면 품위 향상을 위한 초음파 가공 스핀들 및 가공시스템, 공정에 대한
개발 요구가 큼


❍ 국내 해당 분야 중소기업들은 기업 경쟁력 확보 및 신시장 개척을 목표로
상기 나열한 시급한 가공기 개발 요구 대응을 위한 정부 지원이 필요


☐ 하이브리드 가공시스템은 두 개 이상의 제조 공정이 각 공정의 장점을 극
대화하거나 각기 다른 공정(화학, 물리, 제어 등)이 하나의 공정 영역에
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작용하는 시스템으로 정의


❍ 하이브리드 가공이란 다른 원리를 가진 복수의 가공을 수행하는 복합가공으로
절삭가공에 연삭이나 연마가공을 조합하거나 가공 후에 열처리 및 접합 절단
작업을 할 수 있는 레이저 기능을 부가한 것과 가공과 조립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것 등으로 발전


☐ 동시 공정의 대표적 예로서는 LAM(Laser-Assisted Machining, 레이저 보조
가공)이 있으며 이는 고경도 난삭 재료를 레이저 열원을 통해 예열하고

연화된 부위를 절삭하는 가공 방법으로 비접촉 가공, 최소 열영향부, 가
공 유연성 등의 특징으로 여러 가공 분야에 적용 범위가 확대 중


❍ 레이저 보조 가공은 레이저로 인한 비접촉 가공 및 최소 열영향부를 가지는
장점과 가공 시 재료를 높은 온도로 연화시킬 수 있어 선삭 또는 밀링 가공
할 때 미리 재료를 예열하여 가공 툴의 수명을 연장, 가공 절삭력 감소, 가공
품질 향상 등의 장점 존재


❍ 캐나다의 Bejjani는 복합재료의 선삭 가공에 LAM 기술을 성공적으로 적용하였고
미국 Purdue 대학의 Shin은 세라믹과 티타늄 재료를 위한 LAM 공정 연구를
진행


❍ 레이저 보조 가공 이외에도 동시 공정으로서 초음파 보조 가공(Ultrasonic
Assisted Machining이 있으며 공구에 수십 KHz의 주파수와 마이크로미터의 진
폭을 부가하여 가공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공법의 연성 및 취성재료, 복합소재
및 세라믹 재료 가공에 적용 가능

 

 

 

-----------------------------------------------------------------------------------------------------------

 

스크린샷 2024-04-02 150110.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33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중국에서 주목받는 인공지능 스마트폰 3도토리 박민혁
7335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녹색경제 활성화방안 연구 - 농림업 부문 13도토리 박민혁
7334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국내 건설,통신,보건 분야 일자리 지원 사례와 농업 일자리 실태조사표본 구축방안 13도토리 박민혁
733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세계 2위 코발트 매장국 호주의 공급확대 정책 5도토리 박민혁
73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우즈베키스탄에서 주목할만한 희소금속 - 텅스텐, 몰리브덴 3도토리 박민혁
733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AI를 통한 적외선 영상 위조얼굴 판별기술 5도토리 박민혁
733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 저공경제 산업의 융복합 발전 동향 3도토리 박민혁
732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스마트팜으로 재정비되는 덴마크 농업 3도토리 박민혁
732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민간우주산업시대의 위성 통신 산업 동향 5도토리 박민혁
7327 성장동력산업 [산업전망] 생성형 인공지능 산업 동향 및 전망 5도토리 박민혁
7326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농업부문의 포용사회화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 13도토리 박민혁
7325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아프리카 주요국가에서의 벼 종자 생산&보급 향상 13도토리 박민혁
7324 성장동력산업 [정부사업공고] 「AI 자율 제조」 지원 분야 발굴을 위한 기술수요조사 공고문 3도토리 김민성
7323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충북 지식서비스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7도토리 김민성
7322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인공지능 신약개발 공공 포털 플랫폼 컨설팅 및 만족도 조사 용역 7도토리 김민성
7321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한-베트남 공동연구) 개인 다중속성 분석을 통한 사람 연속식별 AI 기술 개발 3도토리 김민성
7320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국회 안티드론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용역 7도토리 김민성
7319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개인투자자의 벤처투자 접근성 제고 방안 7도토리 김민성
7318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2024 성북지구 스마트시티 리빙랩 7도토리 김민성
7317 성장동력산업 [정부과제제안서] 정책연구과제 제안요구서(RFP) 3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