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이차전지분야] 고성능 이차전지 전해질 첨가제 시장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최민기 조회수 38
용량 2.3MB 필요한 K-데이터 1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이차전지분야] 고성능 이차전지 전해질 첨가제 시장분석.pdf 2.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2-21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52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 전해질은 양극과 음극 사이 리튬이온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 역할
하며, 첨가제는 특정 목적을 위해 소량으로 첨가되는 물질로 리튬이 양
극과 음극 사이를 원활한 이동을 도와주고 배터리 성능 향상 역할 수행
☐ 리튬이차전지의 전해질(electrolyte)은 리튬 이온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일반적으로 용매와 염, 첨가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음


❍ 전해질은 용매 및 구성에 따라 액체 전해질, 고체 전해질, 고분자 전해질 등
으로 구분되며, 첨가제는 기능에 따라 전극 표면의 피막인 Solid Electrolyte
Interphase(SEI) 형성/조절제, 셀 내 과충전 방지제, 전해질의 이온전도특성
향상제, 난연제 등으로 나눌 수 있음


❍ 액체 전해질은 이온전도의 기능을 담당하며, 충전 및 방전 시 리튬이온을
운반하는 역할을 함


☐ 양극 및 음극은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 및 탄소 활물질 사용하여 만든
다공성 전극 전해질은 전극 미세기공 내부까지 침투하여 리튬이온을 공
급함과 동시에 활물질과의 계면에서 리튬이온을 주고받는 기능을 함

 

☐ 리튬이차전지 기본 성능인 작동 전압, 에너지 밀도 등은 양/음극 구성
물질에 따라 결정 되지만 우수한 전지 성능을 얻기 위해선 전극 사이의
높은 이온 전달이 요구되므로 최적의 전해질 선택이 중요함


☐ 전해액 요구 특성은 이온전도도, 전극안정성, 사용 가능 온도 범위, 안전성 등임


❍ (이온전도도) 전지 성능 면에서 이온전도도는 높을수록 바람직함. 전지 고속
충/방전 시 리튬이온의 이동 속도가 중요함

 


❍ (전극 안정성) 음극과의 환원반응 및 양극과의 산화반응을 고려하여 적합한
전위 영역에서 전기 화학적으로 안정해야 함


❍ (온도 범위) 일반적인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범위 온도인 20~60℃ 조건 만족


❍ (안전성) 일반적인 유기용매는 가연성 물질로 발화, 인화로 인해 연소/폭발
위험성을 가지므로 난연성, 불연성 특징이 필요하며 외부 환경 노출 가능성
으로 인해 독성 안전도 중요함

 

 

 

-------------------------------------------------------------------------------------------------------------

 

스크린샷 2024-04-02 165811.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148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분야] 이차전지 제조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최민기
7147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분야] 소듐이온 배터리 시장분석 9도토리 최민기
»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분야] 고성능 이차전지 전해질 첨가제 시장분석 11도토리 최민기
7145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분야] 고성능 친환경 바인더 시장분석 11도토리 최민기
7144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분야] 리튬인산철 양극재 시장분석 7도토리 최민기
7143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분야] 실리콘 복합 음극재 시장분석 7도토리 최민기
7142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분야]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 시스템 시장분석 7도토리 최민기
7141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분야] 수전해 및 CO2 메탄화 하이브리드 공정 개발 시장분석 7도토리 안소영
7140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분야] 고발열량 합성천연가스 생산 시스템 시장분석 7도토리 안소영
7139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분야] 고효율 소형 풍력발전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안소영
7138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분야] 수소 연료전지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안소영
7137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분야] 고효율 수소 생산 시스템 시장분석 13도토리 안소영
7136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분야]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안소영
7135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분야] 고효율 태양광 모듈 및 장치 시장분석 11도토리 안소영
7134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분야] 분산전원 연계 태양광 운영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안소영
7133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분야] 태양광 모듈 재활용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안소영
7132 성장동력산업 [청정연료분야] 그린 암모니아(e-NH3) 저압 생산·활용 시스템 시장분석 7도토리 안소영
7131 성장동력산업 [청정연료분야] DAC용 E-Fuel 생산 시스템 시장분석 7도토리 안소영
7130 성장동력산업 [청정연료분야] 초소형 보조발전용 8kW급 수소엔진 시장분석 9도토리 안소영
7129 성장동력산업 [청정연료분야] 암모니아 제거 및 수소생산 전기분해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