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신재생에너지분야] 태양광 모듈 재활용 시스템 시장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36
용량 2.66MB 필요한 K-데이터 1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신재생에너지분야] 태양광 모듈 재활용 시스템 시장분석.pdf 2.6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2-23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60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 인증과 보증기한이 만료되어 상업적인 판매는 불가능하지만, 태양광모듈의 기
능은 충분히 할 수 있는 End-of-commercial life PV module을 지칭


❍ 어떤 이유에서 정상적인 출력이 나오지 않고 있으나, 원인만 제거해주면 다
시 태양광모듈로서 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모듈을 복원해서 다시 사용하는
reuse 모듈을 ‘에코 모듈’이라고 하며, 환경 보호와 자원 순환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음


❍ 에코 모듈 복원을 위한 노후·불량모듈 검사 및 분류 기술을 통해 현장형
점검 기술과 복원분류를 위한 정밀검사 기술을 개발하고, 대체 부품에 대한
적합성 판단을 통해 최적복원 기술 및 성능검증을 거쳐 장수명의 신뢰성 있
는 에코 모듈을 제작하고자 함


❍ 이러한 에코 모듈에 대한 수명 및 고장진단을 기반으로 하는 전 주기적인
관리가 가능한 통합 운영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신뢰성 및 안정성을 확보한
사업화를 추진하고 있음


❍ 이런 강화된 품질보증 정책에도 최근 NREL1)에서 보고한 자료에 의하면 최
근 10년 동안 운영된 모듈에서 분석된 불량 형태는 핫스팟(33%), 리본 변색
(20%), 유리 파손(12%), 봉지재 변색(10%), 태양전지 파손(9%), PID(8%) 현상
등이 주요 원인임이 확인됨


❍ 2017년 IEA PVPS2) “Assessment of Photovoltaic Module Failures in the Field”
보고서에 의하면, 초기 2년 이내에는 태양전지 크랙(cell crack), PID(potential
induced degradation) 등에 의한 외관 불량이 많으며, 태양전지 크랙으로 인한
출력 감소가 가장 큼

 

❍ 실제 모듈 제조업체에서도 AS / CS3) 발생에 대한 모듈은 별도의 수리 기술이
존재하지 않아 지속적 적재 후 폐기물 처리로 진행을 하고 있으며, 모듈 제조
시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C, D급 불량모듈도 마찬가지로 수리를 진행
하지 않고 폐기물로 처리하고 있음


❍ 태양광 모듈 재활용 시스템의 고장유형별 최적의 출력 복원 기술을 개발하고,
보다 단순화할 수 있는 에코 모듈 개별 복원 공정 프로세스를 설계 및 적용하
여 복원 공정의 신뢰성과 경제성 제고


❍ 이미 한 번 사용됐다가 복원된 에코 모듈의 특성에 맞춰, 에코 모듈의 내구성
능 검증, 보완 및 극복 기술 방안을 확보


❍ 사용 후 모듈이 유형별 검사 및 분류특성 분석, 경제성을 기반으로 한 최적의
에코 모듈 복원방안 및 진단 기준 작성


❍ 태양광 모듈 재활용 시스템의 노후·불량 유형별 열화상/EL(electro
luminescence) 이미지 특징 분석 및 최적 알고리즘 설계


❍ 태양광발전소 열화 모듈의 성능분석을 통한 노후·불량 정의 및 분류방안 연구


❍ 태양광모듈의 소재부품에 따른 모듈 출력 예측 프로그램 개발

 

 

---------------------------------------------------------------------------------------------------------------

 

스크린샷 2024-04-02 131146.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148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분야] 이차전지 제조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최민기
7147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분야] 소듐이온 배터리 시장분석 9도토리 최민기
7146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분야] 고성능 이차전지 전해질 첨가제 시장분석 11도토리 최민기
7145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분야] 고성능 친환경 바인더 시장분석 11도토리 최민기
7144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분야] 리튬인산철 양극재 시장분석 7도토리 최민기
7143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분야] 실리콘 복합 음극재 시장분석 7도토리 최민기
7142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분야]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 시스템 시장분석 7도토리 최민기
7141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분야] 수전해 및 CO2 메탄화 하이브리드 공정 개발 시장분석 7도토리 안소영
7140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분야] 고발열량 합성천연가스 생산 시스템 시장분석 7도토리 안소영
7139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분야] 고효율 소형 풍력발전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안소영
7138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분야] 수소 연료전지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안소영
7137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분야] 고효율 수소 생산 시스템 시장분석 13도토리 안소영
7136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분야]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안소영
7135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분야] 고효율 태양광 모듈 및 장치 시장분석 11도토리 안소영
7134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분야] 분산전원 연계 태양광 운영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안소영
»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분야] 태양광 모듈 재활용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안소영
7132 성장동력산업 [청정연료분야] 그린 암모니아(e-NH3) 저압 생산·활용 시스템 시장분석 7도토리 안소영
7131 성장동력산업 [청정연료분야] DAC용 E-Fuel 생산 시스템 시장분석 7도토리 안소영
7130 성장동력산업 [청정연료분야] 초소형 보조발전용 8kW급 수소엔진 시장분석 9도토리 안소영
7129 성장동력산업 [청정연료분야] 암모니아 제거 및 수소생산 전기분해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안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