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차세대이동통신분야] 5G RF 모듈 시장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류지원 조회수 33
용량 2.48MB 필요한 K-데이터 1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차세대이동통신분야] 5G RF 모듈 시장분석.pdf 2.4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2-2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56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 5G 밀리미터파 대역은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밀리미터 주파수 대역

 

❍ 기존의 6㎓ 주파수 대역 이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IMT-2020에서
정의하는 전송속도 대비 사용 가능한 신호 대역폭이 넓지 않다는 한계로 인하여,
밀리미터파 대역(통상 30~300㎓ 범위이나 이동통신에서는 10~100㎓ 대역을 의미)을 이용

 

❍ 밀리미터파 대역은 강한 직진성과 높은 경로 손실로 인하여 이동통신용으로
부적합하다고 여겨 왔으나,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빔포밍 기술이
대두되었으며, 따라서 본 전략제품은 밀리미터파 대역의 빔포밍 송수신 단말/
부품 기술 등이 포함

 

❍ 국내 이동통신 3사에 할당된 5G 주파수 활용 대역은 아래와 동일

 

☐ 5G 밀리미터파 대역이 갖는 채널환경에서 최대 전송속도를 달성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다중 빔(multi-Beam)을 형성하는 기술
이며, 다중 안테나 및 관련 RF 기술을 포함

 

❍ 전력증폭기(Power Amplifier),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듀플렉스
(Duplex, Tx/Rx 스위치), 대역통과 필터(Band pass Filter)로 구성되는 RF 전
치단과 안테나, RF 송수신기로 구성

 

❍ 밀리미터파 대역 RF 송수신기는 대부분이 빔포밍 어레이를 적용하는 구조를 채택

 

☐ 안테나에서 빔(Beam)은 안테나가 전자기파를 복사 또는 감지할 수 있는
유효영역을 말하며, 빔포밍(Beamforming)은 빔을 공간에서 특정한 방향에
따라 집중시키는 기술을 의미

 

❍ 빔포밍 기술은 많은 수의 안테나에 실리는 신호를 각각 정밀하게 제어하여
특정한 방향으로 에너지를 집중시키거나, 또는 반대로 특정 방향으로 에너지가
나가지 않도록 조절이 가능한 기술로서 전파의 에너지를 널리고 빔 간에는
간섭을 최소화

 

❍ 빔포밍은 특정한 방향으로 안테나 에너지를 집중시키므로 공간적인 필터링이라고도
하며,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를 이용하여 주파수 재사용이 가능

 

❍ 빔포밍의 목적은 원하는 방향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원하는 방향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것

 

 

-----------------------------------------------------------------------------------------------------------

 

스크린샷 2024-04-02 170918.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229 성장동력산업 [재난안전분야] 유해물질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7228 성장동력산업 [재난안전분야] 건설현장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강정훈
7227 성장동력산업 [재난안전분야] 개인형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강정훈
7226 성장동력산업 [재난안전분야] 재난안전 교육·훈련 컨텐츠 시장분석 11도토리 강정훈
7225 성장동력산업 [세라믹분야] 고기능성 유리 세라믹 시장분석 11도토리 장민환
7224 성장동력산업 [세라믹분야] 생체용 바이오 세라믹 시장분석 11도토리 장민환
7223 성장동력산업 [세라믹분야] 에너지용 세라믹 시장분석 11도토리 장민환
7222 성장동력산업 [세라믹분야] 센싱용 세라믹 시장분석 11도토리 장민환
7221 성장동력산업 [세라믹분야] 광학 소재용 세라믹 시장분석 11도토리 장민환
7220 성장동력산업 [세라믹분야] 세라믹 패키지 시장분석 11도토리 장민환
7219 성장동력산업 [유기복합소재분야] 바이오 생체 유기·복합소재 시장분석 9도토리 장민환
7218 성장동력산업 [유기복합소재분야] 차세대 통신용 저유전 기판 소재 시장분석 7도토리 장민환
7217 성장동력산업 [유기복합소재분야] 이종 집적 고방열 소재 시장분석 5도토리 장민환
7216 성장동력산업 [유기복합소재분야] 경량성 고기능 유기·복합소재 시장분석 11도토리 장민환
7215 성장동력산업 [유기복합소재분야] 고성능 반도체 패턴용 공정 소재 시장분석 11도토리 장민환
7214 성장동력산업 [유기복합소재분야] 환경 정화 친환경 소재 시장분석 11도토리 장민환
7213 성장동력산업 [유기복합소재분야] 기능성 점·접착 소재 시장분석 11도토리 장민환
7212 성장동력산업 [유기복합소재분야] 고기능 필름·코팅 소재 시장분석 11도토리 장민환
7211 성장동력산업 [섬유분야] 친환경 섬유 시장분석 13도토리 노민우
7210 성장동력산업 [섬유분야] 슈퍼섬유 시장분석 11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