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연구] 현대 한국 농업통합 중장기 지침 연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31
용량 1.88MB 필요한 K-데이터 1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연구] 현대 한국 농업통합 중장기 지침 연구.pdf 1.8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3-2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248 

연구 배경 및 필요성

 

우리나라는 1970년대 노동집약적 산업을 시작으로, 1980년대에는 반도체, 자
동차, 조선 등 제조업과 중공업을 중심으로 하는 수출주도 경제개발정책을 적극
적으로 추진한 결과 가파른 경제발전을 이루었다. 이러한 성장을 기반으로 1996
년에는 OECD에 가입하였으며, 최근에는 세계 경제 10위권을 유지하면서 선진국
의 지위로 평가받고 있다.


하지만 지난 20여 년간 경제성장률은 꾸준히 하락하여 현재는 세계 평균 경제
성장률을 간신히 유지하는 수준이다. 이러한 데에는 대내외적으로 다양한 여건
변화1)가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나타난 결과이다. 여
기서 분명하게 나타나는 근본적인 문제 중 한 가지는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이
약화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상황은 농업부문에도 유사하게 전개되었다. 영세농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기본 구조에 급속한 고령화가 더해짐에 따라 GDP에서 농림어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1.8%에 불과해 농업의 위상은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다(이형용 외,
2023: 20). 우리 농업과 농촌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과 위기 극복을 위한 돌파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한국 경제가 장기적인 저성장 기조에서 벗어나 다시 활기를 되찾기 위해서는 경
제성장의 새로운 동력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우리 사회에서는 이미 오래
전부터 한국 경제의 신성장동력 중 하나로 남북한 간 경제협력을 제기해 왔다(임강
택, 2006: 2-3). 남북 경제협력은 내수시장 및 경제규모 확대, 대외무역 비교우위 향
상, 지하자원 확보, 신규 투자 기회 제공, 유라시아 국가로의 진출 등을 통해 우리의
성장잠재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주목받아 왔다. 북한의 경우에도 남북한 간
경제협력을 통하여 산업 인프라 확충, 선진기술 도입, 고용 증대, 시장경제 경험 제
공 등의 이점을 가져갈 수 있어 북한 경제 도약에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하지만 과거와 같은 경제협력만으로는 사업의 안정성과 효과성 문제로 인하여
이러한 기대 효과가 충분히 발현되기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이 때문에 보다
안정성과 효과성을 담보할 수 있는 새로운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요구된다. 과거
추진되었던 남북 경제협력에 대하여 투자보장, 분쟁해결 등에 있어서 제도화 수
준이 낮고, 북한의 시장경제화에 기여가 크지 않은 점 등이 지적되었다. 또한 남북
경제협력이 한반도 정세에 따라 영향을 크게 받았기 때문에 물론 정치적 환경 조
성도 필요하다.

 

 

-----------------------------------------------------------------------------------------------------------------------------

 

[산업연구] 현대 한국 농업통합 중장기 지침 연구.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116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분야] 스마트시티 연계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오민아
7115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분야] 자율주행차 상태 기록 시스템 시장분석 9도토리 오민아
7114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분야] 자율주행 판단·인지 시스템 시장분석 13도토리 오민아
7113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분야] 자율주행 신뢰성 향상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오민아
7112 성장동력산업 [차세대이동통신분야] 5G 코어네트워크 장비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11 성장동력산업 [차세대이동통신분야] 5G RF 모듈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10 성장동력산업 [차세대이동통신분야] 5G 프론트홀 및 백홀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9 성장동력산업 [차세대이동통신분야] 5G 스몰셀 기지국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8 성장동력산업 [차세대이동통신분야] 5G 오픈랜 엑세스 장비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7 성장동력산업 [차세대이동통신분야] 특화망 구축 시스템 및 장비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6 성장동력산업 [시스템반도체분야] 바이오·헬스케어용 반도체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5 성장동력산업 [시스템반도체분야] 차량용 반도체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4 성장동력산업 [시스템반도체분야] 보안용 반도체·솔루션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3 성장동력산업 [시스템반도체분야] 시스템 반도체 설계 IP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2 성장동력산업 [시스템반도체분야] 아날로그 디지털·제어 반도체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1 성장동력산업 [시스템반도체분야] 전력반도체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0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분야] 휴먼 인공지능 협업 솔루션 시장분석 9도토리 박민혁
7099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분야] 초거대 인공지능 실용화 솔루션 시장분석 9도토리 박민혁
7098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분야] 엣지 디바이스 기반 실시간 지능 플랫폼 시장분석 11도토리 박민혁
7097 성장동력산업 [우주항공분야] 첨단항공 시장분석 13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