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전망] 중국의 친환영 에너지 산업 전망 - 태양광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34
용량 44.86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전망] 중국의 친환영 에너지 산업 전망 - 태양광.pdf 44.8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4-03-2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원가절감과 경제성 개선으로 활용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돼

국가 정책의 강력한 지원으로 빠르게 발전 중

 

중국 태양광 산업의 발전 과정

 

태양광 발전 시스템(太阳能光伏发电系统)은 태양전지 반도체 재료의 광전 효과를 이용해 태양광을 직접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 시스템을 의미하며, 독립 운영과 그리드 연결 운영(并网运行)의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중국의 태양광 산업은 20세기부터 시작됐으며, 당시 석유 가격이 안정적이었고 에너지 절약 및 탄소배출 감소 정책이 시행되면서 정책의 추진력을 받아 태양광 산업이 공식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2005년부터 태양광 발전을 지원하는 정책을 지속해서 발표해, 태양광 발전 기술의 대중화를 촉진했으며, 정책 수립과 시장 수요 증가, 기술의 발전으로 중국의 태양광 발전 산업은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2019년부터 중국의 태양광 발전 설비 용량은 9기가와트(이하:GW)를 넘어서며 중국 재생 에너지 발전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됐다. 현재 중국의 태양광 산업은 이미 성숙한 시장으로 평가되고 있다.

 

중국 태양광 산업 발전 현황

 

2023년 중국의 주요 에너지 발전 방식은 여전히 화력 발전과 수력 발전으로, 전체 발전량의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 화력 발전이 72%, 수력 발전이 18%를 차지했다. 나머지 10%는 원자력 4%, 풍력 4.5%, 태양광 1.5% 수준이며, 지열, 조력, 유기물 발전의 비중은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2023 중국 및 전 세계 태양광 발전 백서'에 따르면, 2023년 중국 전역의 실리콘, 실리콘 웨이퍼, 배터리, 부품의 생산량은 전년 대비 70% 이상 증가했으며, 태양광 산업 분야 총생산 가치는 1조2000억 위안을 초과했다. 2023년 첫 8개월 동안 태양광 발전 투자액은 3500억 위안을 초과했으며, 2023년 3분기까지 전국 태양광 발전량은 4369억 킬로와트시(이하 kWh)로, 전년 대비 33% 증가했다. 또한, 전국 태양광 발전 이용률은 98.3%로, 전년 대비 0.3%포인트 상승했다.

 

국가에너지국이 최근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11월까지 중국의 새로 설치된 태양광 발전 용량은 163.88GW에 달했으며, 전체 발전 용량은 약 560GW에 달했다. 2022년 신규 발전 용량 87.43GW에 비해, 2023년 11월까지의 신규 발전 용량은 2022년의 약 두 배를 기록했다. 국가에너지국이 발표한 2022년 전국 전력 산업 통계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말까지 태양광 누적 발전 용량은 392.61GW였다.

 

 

---------------------------------------------------------------------------------------------------------------------------------------------------

 

[산업전망] 중국의 친환영 에너지 산업 전망 - 태양광.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116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분야] 스마트시티 연계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오민아
7115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분야] 자율주행차 상태 기록 시스템 시장분석 9도토리 오민아
7114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분야] 자율주행 판단·인지 시스템 시장분석 13도토리 오민아
7113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분야] 자율주행 신뢰성 향상 시스템 시장분석 11도토리 오민아
7112 성장동력산업 [차세대이동통신분야] 5G 코어네트워크 장비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11 성장동력산업 [차세대이동통신분야] 5G RF 모듈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10 성장동력산업 [차세대이동통신분야] 5G 프론트홀 및 백홀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9 성장동력산업 [차세대이동통신분야] 5G 스몰셀 기지국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8 성장동력산업 [차세대이동통신분야] 5G 오픈랜 엑세스 장비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7 성장동력산업 [차세대이동통신분야] 특화망 구축 시스템 및 장비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6 성장동력산업 [시스템반도체분야] 바이오·헬스케어용 반도체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5 성장동력산업 [시스템반도체분야] 차량용 반도체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4 성장동력산업 [시스템반도체분야] 보안용 반도체·솔루션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3 성장동력산업 [시스템반도체분야] 시스템 반도체 설계 IP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2 성장동력산업 [시스템반도체분야] 아날로그 디지털·제어 반도체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1 성장동력산업 [시스템반도체분야] 전력반도체 시장분석 11도토리 류지원
7100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분야] 휴먼 인공지능 협업 솔루션 시장분석 9도토리 박민혁
7099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분야] 초거대 인공지능 실용화 솔루션 시장분석 9도토리 박민혁
7098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분야] 엣지 디바이스 기반 실시간 지능 플랫폼 시장분석 11도토리 박민혁
7097 성장동력산업 [우주항공분야] 첨단항공 시장분석 13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