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7, 8月 세계 게임산업 트렌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43
용량 42.08MB 필요한 K-데이터 1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7, 8月 세계 게임산업 트렌드.pdf 42.0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8-14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25 

1. 글로벌 이슈 포커스 05
[ 글로벌 포커스 ] 인디게임, 게임산업의 새 성장동력 07
[ 국가별 포커스 ] 인디게임 국가별 현안 및 트렌드 비교 21
[ 전문가 포커스 ] 인디게임 전문가 인터뷰 25
2. 글로벌 게임산업 동향 31
· (시장) 광고도 게임 안에서, 인게임 광 34
· (정책) 앱마켓 독점 규제, 게임사 인앱결제 수익성 개선되나 43
· (기업) 빗장 풀린 중국 게임 시장, 한국 게임이 나아갈 방향 55
· (기술) 돌아온 VR 게임, 대중화 시대 열리나 62
· (사회문화) 배우며 성장하는 이스포츠 산업 70
· (장르) 잘 만든 게임 하나, 열 게임 안 부럽다: 원소스멀티유즈 79
3. 글로벌 이머징 마켓 87
· 핀란드 게임 시장 현황 89
· (현지 전문가 인터뷰) 핀란드 시장 현황 및 진출 가이드 99
4. 글로벌 게임 캘린더 103
· (리뷰) Summer Game Fest, E3 넘어서나 104
· (프리뷰) 동남아 최대 게임쇼, 태국 게임쇼 111
5. 지역별 주요 단신 115
· 7개 지역별 게임 뉴스 116
(유럽, 미주, CIS, 중화권, 일본, 동남아시아, 기타)
6. 부록 121
·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산업 관련 보고서 목록(2017-2022) 122
 


AAA 게임1)이 선도하던 게임산업에 인디게임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인디게임이란
1인 또는 중소형 게임회사에서 개발한 게임으로 특정 장르와 IP에 주력하는 AAA 게임과
달리 장르와 플랫폼에서 자유로운 게임을 의미한다. 그 때문에 주류 게임 시장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재미와 창의성이 눈에 띄는 장르이다.
AAA 게임과 인디게임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자본력에서 온다. AAA 게임은 컴퓨터 게임
제작을 전문으로 하는 대기업에서 풍부한 콘텐츠와 최신 그래픽 기술을 갖춘 대규모 팀을
동원하여 만든다. 따라서 이들의 게임은 시각적으로 화려하고 게임 가격 자체가 비싼
편이다. 반면, 인디게임은 소규모 개발자들이 캐릭터에 강한 개성을 부여하며 독특한
메커니즘으로 개발한 게임이다. 상대적으로 규모도 작고 시스템 요구사항도 낮은 편이다.
인디게임은 지금까지는 일부 마니아층이 즐기는 장르로 여겨졌지만, 최근 들어 다양성을
찾는 이용자가 늘어나며 출시량도 늘어나고 있다. 글로벌 게임 플랫폼 스팀(Steam)에
출시된 인디게임은 2013년 224개에 불과했으나, 2017~2018년경 급증하여
2022년에는 5,990개가 출시되는 등 큰 성장세를 보였다

스크린샷 2023-08-23 142815.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85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차전지 관련 기업분석 11도토리 노민우
58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덴마크, 양자 기술 전략 분석 5도토리 노민우
58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日 VOD 시장 동향 5도토리 노민우
58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M&A 현황과 추세 7도토리 노민우
58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공매도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11도토리 노민우
58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차세대6G 통신의요구사항 5도토리 노민우
58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분야_日 인공지능 진출 전략 7도토리 민준석
584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아르헨티나 시장 동향 7도토리 민준석
58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감긍속분야_포스코 조강생산량 5,200만톤 5도토리 민준석
58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전기전자 주간 도표 및 전망 5도토리 민준석
58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분야_중국의 철강 부가가치 전망 5도토리 민준석
58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고무 대신 두리안 5도토리 민준석
58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주간 동향 이슈 5도토리 민준석
58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중국 내 전기차 가격 인하 경쟁 심화 3도토리 민준석
58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IT 수요 전망 9도토리 민준석
58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디어분야_OTT와 극장은 다른 플랫폼 9도토리 민준석
58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12개월 Top Pick SKT로 유지 5도토리 민준석
58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월간 부동산 시장 지표 7도토리 민준석
58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차전지분야_양극재 수주 기대 3도토리 민준석
58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차 및 배터리분야_美, 유럽 양극재 시장에 증설 경쟁 본격화 5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