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주요국 수소 활용 정책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45
용량 1.98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주요국 수소 활용 정책 분석.pdf 1.98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8-22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49 

요약 01

Ⅰ. 현황 04

1. 수소 활용 개요 04
2. 시장 현황 및 전망 07
3. 국내정책 추진 동향 11

Ⅱ. 주요국 정책비교 17
1. 독일 18
2. 미국 20
3. 일본 23
4. 호주 24

Ⅲ. 정책제언 27
1. 산업 부문 수소 활용도 제고를 위한 R&D 예산 지원규모 및 영역 확대 27
2. 분산에너지 부문 수소 활용 확대를 위한 파격적 인센티브 법제화 30
3. 수소발전 입찰시장 물량 확대 32
4. 건물용 연료전지 실질적 활용도 제고를 위한 요금체계 개편 34
5. 수소충전요금 부가가치세 한시적 면제 36
6. 수소에너지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대국민 홍보 강화 38

 


 

수소는 수송수단(수소연료전지차 등), 발전(발전용 연료전지 등), 산업으로 나뉘어 다양한 부문에서 활용
되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차는 내연기관과 달리 온실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전기차에 비해
충전속도가 빠르고 1회 충전 최대 주행거리도 길다는 이점이 존재해 차세대 친환경 수송수단으로 주목
받고 있다. 또한 탄소다배출 산업군에서 수소를 활용하는 방안도 대두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탄소다배
출 산업인 철강산업에서는 탄소계 환원제를 수소로 대체하기 위한 수소환원제철 기술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
세계 수소 활용시장 규모는 2050년 약 1조 달러 규모 시장이 형성되어 전체 수소 시장에서 약
50%를 차지하고, 수송수단, 산업, 발전 부문에서 고른 수요 분포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부문별로
균형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주요국 정부들도 국가별 특성에 맞춰 수소 활용 제고 정책을 펼치고 있다. 독일은 ‘산업의
탈탄소화’ 자금지원 프로그램 및 탄소차액거래계약제도(CCfD)를 통해 산업 부문의 수소 활용도 제고
정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운송 부문 탈탄소화를 위해 트럭, 버스 등 수소상용차를 활용
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산업 부문에서도 수소환원제철, 수소를 활용한 암모니아 생산 프로젝트
등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일본은 2030년 전원 구성 중 1%를 수소와 암모니아로 충당하는 목표를
제시하고, 국내외 연료전지 수요를 확충해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산업전략을 표방한 바 있다. 중국은
전 분야에 걸쳐 다양한 시범응용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다른 국가와 다르게 수소차량 구매보조금을
폐지하고 시범도시군에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방식을 시행하고 있다. 

 

스크린샷 2023-08-23 141658.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85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차전지 관련 기업분석 11도토리 노민우
58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덴마크, 양자 기술 전략 분석 5도토리 노민우
58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日 VOD 시장 동향 5도토리 노민우
58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M&A 현황과 추세 7도토리 노민우
58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공매도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11도토리 노민우
58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차세대6G 통신의요구사항 5도토리 노민우
58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분야_日 인공지능 진출 전략 7도토리 민준석
584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아르헨티나 시장 동향 7도토리 민준석
58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감긍속분야_포스코 조강생산량 5,200만톤 5도토리 민준석
58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전기전자 주간 도표 및 전망 5도토리 민준석
58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분야_중국의 철강 부가가치 전망 5도토리 민준석
58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고무 대신 두리안 5도토리 민준석
58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주간 동향 이슈 5도토리 민준석
58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중국 내 전기차 가격 인하 경쟁 심화 3도토리 민준석
58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IT 수요 전망 9도토리 민준석
58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디어분야_OTT와 극장은 다른 플랫폼 9도토리 민준석
58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12개월 Top Pick SKT로 유지 5도토리 민준석
58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월간 부동산 시장 지표 7도토리 민준석
58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차전지분야_양극재 수주 기대 3도토리 민준석
58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차 및 배터리분야_美, 유럽 양극재 시장에 증설 경쟁 본격화 5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