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수소 산업 시장현황 및 정책과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47
용량 1.12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수소 산업 시장현황 및 정책과제.pdf 1.1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8-16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42 

I. 현황
1. 수소 저장/운송 개요
2. 시장현황 및 전망
3. 국내 정책추진 동향

II. 주요국 정책비교
1. 독일
2. 미국
3. 일본
4. 호주
5. 중국
 


 

수소는 단위 부피당 에너지 밀도가 낮아 저장/운송 과정에서 압축(물리적) 혹은 변환(화학적) 과정이 필요하다. 현재 기술적 한계로 기체 저장/운송방식(파이프라인, 고압 기체 튜브 트레일러)이 주가 되고 있으나, 주요국들은 장거리 수소 운송체제 구축을 위해 수소를 액체, 액상으로 변환하는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향후 기술 발전 시 경제성이 높은 액체 및 액상 방식으로 수소를 저장하고, 파이프라인, 탱크로리 및 선박을 통해 대량 운송하는 방식이 확대될 전망이다.

 

세계 수소 저장시장 규모는 2021년 147억 달러에서 연평균 4.4% 성장해 2030년에는 약 217억 달러에 이르고 저장시장의 성장이 운송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액체 수소 저장 기술 등이 상용화될 시 저장 기술을 연계한 인프라 투자(액화수소 수출입 터미널, 운송 선박, 파이프라인, 튜브 트레일러 등)가 활성화돼 수소 운송시장은 2050년 5,66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독일은 예견되는 폭발적인 수소 수요를 대비하기 위해 국내외 수소 유통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확대 중이다. 인접국과의 수소 유통 프로젝트를 통해 EU 역내 수소 파이프라인을 1,800km까지 확충할 계획이며, 역외로는 자국 기업의 우수한 수소 기술력을 바탕으로 사우디, 호주 등 수소 수출국과의 R&D 협력을 통한 공급망 네트워크를 구축 중이다. 미국은 우수한 수소 저장 기초 연구를 바탕으로 액체 수소 저장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세계 최대 길이의 파이프라인(2,600km)을 통해 국내 유통에 주력할 계획이다. 일본은 2030년까지 글로벌 수소 공급망 구축을 목표로 장거리 수소 저장 및 운송 기술 고도화 전략을 추진 중이다. 해외 수소 수입을 목적으로 한 수소 저장 기술과 운송기술 개발 및 실증사업이 민관 합동으로 추진 중이며 호주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고 있다. 호주는 수소 기술개발 및 운송 국제협력에 가장 적극적인 국가로, 수소 수출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 중이다. 중국은 수소 저장, 운송 기술개발 맹아기로서, 지역 차원에서의 정책적 노력이 산업 성장을 견인 중이다. 국내 수소 정책은 ▲ 저장/운송에 필요한 핵심기술 개발 ▲ 기술개발 기반 국내 수소 유통 및 해외 수소 수입 인프라 확대로 크게 분류돼 추진 중이다. 

 

현재 국내 수소 저장 및 운송 기술은 해외에 비해 기술력이 부족하고 상용화 수준이 낮은 실정이다. 관련 특허출원 점유율과 RTA(현시기술우위지수)로 주요국의 수소 저장/운송산업 경쟁력을 살펴보면, EU가 33%의 특허점유율과 RTA 1.3을 기록하며 가장 경쟁력이 높았고, 미국과 일본도 각각 23%(0.8)와 22%(1.2)를 기록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5% 점유율과 RTA 0.6에 그쳤다.

 

스크린샷 2023-08-23 114621.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85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차전지 관련 기업분석 11도토리 노민우
58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덴마크, 양자 기술 전략 분석 5도토리 노민우
58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日 VOD 시장 동향 5도토리 노민우
58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M&A 현황과 추세 7도토리 노민우
58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공매도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11도토리 노민우
58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차세대6G 통신의요구사항 5도토리 노민우
58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분야_日 인공지능 진출 전략 7도토리 민준석
584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아르헨티나 시장 동향 7도토리 민준석
58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감긍속분야_포스코 조강생산량 5,200만톤 5도토리 민준석
58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전기전자 주간 도표 및 전망 5도토리 민준석
58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분야_중국의 철강 부가가치 전망 5도토리 민준석
58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고무 대신 두리안 5도토리 민준석
58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주간 동향 이슈 5도토리 민준석
58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중국 내 전기차 가격 인하 경쟁 심화 3도토리 민준석
58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IT 수요 전망 9도토리 민준석
58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디어분야_OTT와 극장은 다른 플랫폼 9도토리 민준석
58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12개월 Top Pick SKT로 유지 5도토리 민준석
58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월간 부동산 시장 지표 7도토리 민준석
58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차전지분야_양극재 수주 기대 3도토리 민준석
58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차 및 배터리분야_美, 유럽 양극재 시장에 증설 경쟁 본격화 5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