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소비재 수출 분석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44
용량 2.13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소비재 수출 분석 및 시사점.pdf 2.1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8-18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3 

◉ 우리나라는 경기에 민감한 중간재 수출 비중이 약 70%로 높아 보호무역 강화와 글로벌
경기침체가 이어지면서 수출 부진이 상대적으로 심화
 반면 경기 민감도가 낮은 소비재 수출 비중은 2023년 1~6월 중 16.0%로 2009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호조 품목으로 부상하고 있음

 2022년 우리나라 총수출은 세계 6위였으나, 소비재 수출은 17위에 불과해 안정적
수출구조 정착과 수출품 다변화를 위해 소비재 수출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코자 함

 본 보고서의 소비재 품목 분류는 UN Comtrade의 BEC 4.0을 기준으로 함
 - 단, 2021~2022년 Un comtrade 통계가 발표되지 않아 각국의 HS 6단위 수출로 추정
 * 추정 기준 : HS 6단위 – BEC 4.0 연계표
 - 우리나라 소비재 수출입은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K-stat)를 참고

◉ 세계 최대 소비재 수입국은 미국, EU, 중국 순으로 나타남
 구매력이 높은 선진국(미국·EU)의 소비재 수입이 많았으며, 중국·아세안 등
개발도상국의 수입도 점진적으로 증가
- (미국) 2022년 중 소비재 수입액이 2위국(EU) 대비 1.7배 많은 최대 수입국가
- (EU) 2022년 중 소비재 수입이 독일(3위), 프랑스(6위), 이탈리아(7위), 네덜란드(8위) 순으로
많았으며 세계 2위의 소비재 수입 시장을 형성
- (중국) 코로나19에도 2020년 소비재 수입이 9.0% 증가하며 영국·프랑스를 제치고 세계
4위 수입국으로 부상했으나, 봉쇄 조치 등의 영향으로 2022년 수입은 3.6% 감소
- (아세안) 2018년 세계 12위였던 아세안 소비재 수입액은 점진적으로 증가해 2022년 세계
10위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했으며, 2021년부터 2년 연속 두 자릿수 성장세를 시현
 * 아세안 소비재 수입 증가율(전년동기대비%) : ('18) 9.7 ('19) 6.9 ('20) -8.2 ('21) 15.9 ('22) 12.2

스크린샷 2023-08-23 113001.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85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차전지 관련 기업분석 11도토리 노민우
58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덴마크, 양자 기술 전략 분석 5도토리 노민우
58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日 VOD 시장 동향 5도토리 노민우
58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M&A 현황과 추세 7도토리 노민우
58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공매도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11도토리 노민우
58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차세대6G 통신의요구사항 5도토리 노민우
58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분야_日 인공지능 진출 전략 7도토리 민준석
584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아르헨티나 시장 동향 7도토리 민준석
58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감긍속분야_포스코 조강생산량 5,200만톤 5도토리 민준석
58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전기전자 주간 도표 및 전망 5도토리 민준석
58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분야_중국의 철강 부가가치 전망 5도토리 민준석
58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고무 대신 두리안 5도토리 민준석
58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주간 동향 이슈 5도토리 민준석
58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중국 내 전기차 가격 인하 경쟁 심화 3도토리 민준석
58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IT 수요 전망 9도토리 민준석
58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디어분야_OTT와 극장은 다른 플랫폼 9도토리 민준석
58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12개월 Top Pick SKT로 유지 5도토리 민준석
58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월간 부동산 시장 지표 7도토리 민준석
58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차전지분야_양극재 수주 기대 3도토리 민준석
58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차 및 배터리분야_美, 유럽 양극재 시장에 증설 경쟁 본격화 5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