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금리 기조의 기업부채 및 구조적 전환 가능성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39
용량 439.56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금리 기조의 기업부채 및 구조적 전환 가능성.pdf 439.5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8-21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금리상승과 시장 불안 요인의 확산
현재 우리나라는 역사상 가장 가파른 기준금리 인상기에 있다.1) 2021년 6월 2.72%이던 기업의 신
규 대출 금리는 2023년 6월 기준 2.6%p 오른 5.32%로 집계됐다(<그림 1> 참조). 글로벌 금융위기 이
후 저금리 기조로 10여 년간 완만하게 하락해온 부채 조달 비용이 불과 2년 만에 2010년 수준으로 되
돌아간 것이다. 금융부채에 대한 기업의 평균 이자 부담률 역시 상승하여 2023년 1분기 말 비금융업
을 영위하는 중소기업(대기업)의 평균 차입이자율은 5.79%(3.68%) 수준으로 파악된다(<그림 2> 참
조). 재무제표상 집계하는 차입이자율은 만기 구조에 따라 시장금리를 후행적으로 반영하므로, 기업의
이자 부담은 한동안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 대내외적으로 물가지수의 상승 추세는 다소 둔화하고 있으나, 여느 때보다 급격한 이번의 금
리 인상은 탈세계화, 탈탄소화, 인구구조 변화 등 글로벌 인플레이션의 구조적 상승 요인이 촉발한, 중
앙은행의 불가피한 물가 대응이라는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Nagel, 2022). 단기에 상황의 반전을 기
대하기 어렵다는 시각이 지배적인 만큼, 과거의 저금리 기조보다 다소 높은 수준에서 명목균형금리의
유지 가능성을 가정하고 보수적인 시나리오 산정이 필요할 수 있다(강현주, 2023).
특히, 올해 상반기는 금리상승으로 인한 여러 불안 요소가 시장의 불확실성을 확대했다(김필규,
2023; 박용린, 2023). 첫째, 이자 상환 부담의 급격한 증가는 단기 영업현금흐름 악화와 함께, 부
실ㆍ한계기업의 도산 우려로 이어졌다. 둘째, 기업의 재무적 곤경 위험이 증가한 상황에서 레고랜드 사
태 등 자금시장의 경색 요인이 확산하자, 재무적으로 건전한 기업 역시 높은 재금융(refinancing) 비용
을 지불해야 했다. 셋째, 할인율이 상승함에 따라 기업의 성장 가치를 보수적으로 평가하면서 혁신 기
업의 자금조달 환경이 악화하였고, 보다 장기적 관점에서는 성장 둔화 추세의 고착화를 우려하게 되었
다. 아울러, 저성장ㆍ성숙기 기업을 중심으로 효율적 자본 배치(capital allocation)의 중요성이 두드
러지면서 고금리 상황은 자본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주주 행동주의 확대의 한 요인으로도 작용했다. 

 

스크린샷 2023-08-23 101605.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85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차전지 관련 기업분석 11도토리 노민우
58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덴마크, 양자 기술 전략 분석 5도토리 노민우
58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日 VOD 시장 동향 5도토리 노민우
58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M&A 현황과 추세 7도토리 노민우
58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공매도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11도토리 노민우
58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차세대6G 통신의요구사항 5도토리 노민우
58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분야_日 인공지능 진출 전략 7도토리 민준석
584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아르헨티나 시장 동향 7도토리 민준석
58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감긍속분야_포스코 조강생산량 5,200만톤 5도토리 민준석
58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전기전자 주간 도표 및 전망 5도토리 민준석
58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분야_중국의 철강 부가가치 전망 5도토리 민준석
58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고무 대신 두리안 5도토리 민준석
58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주간 동향 이슈 5도토리 민준석
58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중국 내 전기차 가격 인하 경쟁 심화 3도토리 민준석
58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IT 수요 전망 9도토리 민준석
58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디어분야_OTT와 극장은 다른 플랫폼 9도토리 민준석
58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12개월 Top Pick SKT로 유지 5도토리 민준석
58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월간 부동산 시장 지표 7도토리 민준석
58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차전지분야_양극재 수주 기대 3도토리 민준석
58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차 및 배터리분야_美, 유럽 양극재 시장에 증설 경쟁 본격화 5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