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내 불소화학 산업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55
용량 1.13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국내 불소화학 산업동향.pdf 1.1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2 
출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페이지 수 : 24 

[ 목 차 ]

 

1. 불소 소재 산업 개요

 

2. 불소 소재 산업 동향

 

3. 불소 소재 시장 동향

 

4. 해외 불소산업단지

 


 

SUMMARY PD ISSUE REPORT JUNE 2021 VOL 21-6 국내 불소화학 산업 동향 l저자l한정우 PD / KEIT 화학공정PD실 박인준 책임연구원 / 한국화학연구원 김주현 선임연구원 / 한국화학연구원 백지훈 선임연구원 / 한국화학연구원 국가 주력산업 고도화에 따른 불소 소재 필요성 증가로 불소계 첨단화학소재 자립화 필요 ★ 불소화합물의 사용량은 소득증가에 따라 선형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전세계 불소소재 사용량 및 시장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산업고도화에 따라 고기능성 불소화합물이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첨단산업인 반도체, 디스플레이, 자동차 산업 등이 국가 주력산업인 우리나라에서는 일본 등 해외에 극히 의존중인 불소소재 자립의 중요성이 매우 큼 시사점 및 정책제안 ★ 글로벌 선도기업은 원천기술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불소소재 생산을 독점 중이며, 불소원료인 형석의 고갈에 대비하기 위해 불소 소재 재활용 기술개발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음 ★ 불소계 화학소재 자립화를 위해서는 기초원료, 중간체/단량체, 소재, 응용산업에 이르는 국내 불소산업 가치사슬 구축이 될 수 있도록 전·후방산업에 대한 지원 필요 ★ 개별기업에서 확보하기 어려운 불소소재 기반기술 개발과 고급인력양성을 위한 전문적인 연구기관이 필요 ★ 중간체 운반이 힘들며 가치 사슬에 따라 기업간 물질 이동이 필수적인 불소화학산업의 특성상 석유화학 단지와 유사한 불소산업단지 조성이 유리함 PD ISSUE REPORT JUNE 2021 VOL 21-6 68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1. 불소 소재 산업 개요 불소계 첨단화학소재산업의 이해 ★ 불소산업은 할로겐 원소 중 불소(Fluorine)가 포함된 기초원료, 중간체, 최종소재의 개발, 제조, 활용 등과 관련된 모든 산업을 지칭함 ★ 불소의 결합형태 및 활용방법에 따라 ①불소원료, ②불화탄소, ③불소계 단량체 및 고분자, ④불소계 기능성 코팅제, ⑤정밀화학 중간체 제조용 불소화 소재의 5가지로 구분할 수 있음 | 표 1. 불소계 첨단화학소재 유형 | 구분 형태 불소원료 • 형석, 육불화규산 • 불산, 불소가스, 고순도 무수불산, 무기불소화합물 불화탄소 • 불화탄소[Freon gas, 냉매, 발포제, 불소유체] • 반도체/디스플레이 에칭/세정가스 • 지구온난화 방지 대체물질 불소계 단량체/고분자 • 불소 단량체(TFE, HFP, VDF, CTFE, PFA, VF, HFPO 등) • 불소고분자, 불소고무, 불소오일 불소계 기능성 코팅제 • 에너지 산업 코팅제(연료전지, 이차전지, 태양전지) • 반도체/디스플레이 코팅제, 광통신재료 • 자동차, 기계 산업(내후성 소재) • 화학 및 섬유산업(과불소화합물, 섬유용 발수발유제, 도료용 방오가공제, 계면활성제, 이형제 등) 정밀화학 중간체 제조용 불소화 소재 • F/CF3 함유 불소 화합물, 의약/농약재료, 액정재료 ★ 불소소재는 반도체 공정, 리튬 이차전지, 태양전지 등 주요 산업에서 핵심 소재로 사용됨 - 반도체 공정의 에칭·세정제로서 불산, 불화에탄(C2F6), 삼불화질소(NF3) 등의 가스, 반도체 약액용 용기, 밀봉제, air filter 등에 활용 - 리튬 2차전지의 전해질로 육불화리튬인(LiPF6)이 사용되며, 전극 바인더 소재로 PVDF 고분자가 사용 - 태양전지에서는 PVDF계 불소고분자 필름이 전지 보호막으로 사용되며, 수소산업의 핵심인 연료전지에서는 주요 소재인 고분자전해질로서 불소계 이오노머 고분자가 사용됨. - 냉난방 기기, 자동차 등의 가스, 냉매, 용제 등으로도 다양하게 사용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08 성장동력산업 탄소회계금융협회(PCAF) 표준가이드라인 요약보고서 1도토리 조정희
907 성장동력산업 독일 및 유럽 탄소중립연료 지원정책 및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조정희
906 성장동력산업 COVID-19 사태 이후 중국 tv·웹 드라마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905 성장동력산업 생체의료용 고기능성 타이타늄(Ti) 합금 소재 및 응용제품 개발 1도토리 국준아
904 성장동력산업 일본 철강업계, 수소환원제철 등 탄소절감 대책 강구 1도토리 조정희
903 성장동력산업 제14차 5개년 기간 중국 상무 분야 발전의 키워드, 소비 고도화 1도토리 조정희
902 성장동력산업 광산장비의 친환경 스마트 기술혁신 3도토리 국준아
901 성장동력산업 변화와 융합의 시대, ‘협력’에서 길을 찾다 1도토리 조정희
900 성장동력산업 휴먼팩터 지능화의 디자인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1도토리 국준아
899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소기업 판로혁신 지원방안 1도토리 조정희
898 성장동력산업 혁신생태계 강화를 위한 경제자유구역 핵심전략산업 선정방안 1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국내 불소화학 산업동향 3도토리 국준아
896 성장동력산업 플라스틱 오염 위기에 대한 정책과 기업의 대응 1도토리 조정희
895 성장동력산업 3D프린팅 산업의 가치사슬별 경쟁력 진단과 정책제언 1도토리 조정희
894 성장동력산업 제조용 로봇산업의 가치사슬 단계별 경쟁력 진단과 정책제언 1도토리 조정희
893 성장동력산업 반도체 소부장 산업현황 및 투자전략 1도토리 국준아
892 성장동력산업 퍼스널 모빌리티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 1도토리 국준아
891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감축 입법안(‘Fit for 55’)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90 성장동력산업 3D Printed Electronics(3DPE) 분야 국내외 기술동향 1도토리 국준아
88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의 상흔: 노동시장의 3가지 이슈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