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플라스틱 오염 위기에 대한 정책과 기업의 대응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38
용량 844.6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021+산업경제+7월_산업경제분석1.pdf 844.6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7-22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플라스틱은 한 해 약 4억톤이 생산되고 어느 물질보다도 생산 증가율이 높다. 폐플라스틱 발생량이 폐기물 처리 용량을 뛰어넘으며 환경오염이 심각해졌고, 2050년 넷제로를 위한 탄소 예산의 14%에 해당하는 560억톤의 온실가스가 플라스틱 때문에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폐플라스틱을 순환하여 자원화하자는 요구는 높아지고 있지만,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은 경제성이 매우 낮아 전 세계적인 재활용률이 9% 수준이다. 중국의 ‘폐플라스틱 수입 금지 조치’ 영향과 심각해지는 플라스틱 오염 속에서 각국은 플라스틱 사용 감축과 재활용 촉진에 나섰다. EU는 플라스틱의 순환경제 전환을 목표로 지속해서 정책을 추진중이며, 중국은 폐기물 감축을 위해 ‘플라스틱 오염 관리강화 제안’ 5개년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미국은 ‘환경 및 기후 정의’에 초점을 맞춘 연방 규제 법안들이 발의되고 있으며, 한국은 작년 12월, ‘생활폐기물 탈플라스틱 대책’을 발표하였다. 주요 글로벌 기업들은 ‘플라스틱 사용량 감축’, ‘재활용 가능한 포장 설계’,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목표를 공표하는 협약에 참여하였으며, 플라스틱 공급 기업들은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을 제조하고, 폐플라스틱을 원활히 조달받아 재생 플라스틱을 만드는 가치사슬을 만들고 있다. 플라스틱 오염 해결을 위해서는 탄소 감축을 위해 전 산업에 대해 전방위적인 방출 현황을 파악하고 감축 계획을 세웠던 것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며, 가치사슬을 새롭게 재구성하는 노력의 결과에 따라 한국의 플라스틱 산업은 좌초 자산이 될 수도 있고 신성장산업이 될 수도 있는 갈림길에 서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08 성장동력산업 탄소회계금융협회(PCAF) 표준가이드라인 요약보고서 1도토리 조정희
907 성장동력산업 독일 및 유럽 탄소중립연료 지원정책 및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조정희
906 성장동력산업 COVID-19 사태 이후 중국 tv·웹 드라마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905 성장동력산업 생체의료용 고기능성 타이타늄(Ti) 합금 소재 및 응용제품 개발 1도토리 국준아
904 성장동력산업 일본 철강업계, 수소환원제철 등 탄소절감 대책 강구 1도토리 조정희
903 성장동력산업 제14차 5개년 기간 중국 상무 분야 발전의 키워드, 소비 고도화 1도토리 조정희
902 성장동력산업 광산장비의 친환경 스마트 기술혁신 3도토리 국준아
901 성장동력산업 변화와 융합의 시대, ‘협력’에서 길을 찾다 1도토리 조정희
900 성장동력산업 휴먼팩터 지능화의 디자인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1도토리 국준아
899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소기업 판로혁신 지원방안 1도토리 조정희
898 성장동력산업 혁신생태계 강화를 위한 경제자유구역 핵심전략산업 선정방안 1도토리 조정희
897 성장동력산업 국내 불소화학 산업동향 3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플라스틱 오염 위기에 대한 정책과 기업의 대응 1도토리 조정희
895 성장동력산업 3D프린팅 산업의 가치사슬별 경쟁력 진단과 정책제언 1도토리 조정희
894 성장동력산업 제조용 로봇산업의 가치사슬 단계별 경쟁력 진단과 정책제언 1도토리 조정희
893 성장동력산업 반도체 소부장 산업현황 및 투자전략 1도토리 국준아
892 성장동력산업 퍼스널 모빌리티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 1도토리 국준아
891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감축 입법안(‘Fit for 55’)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90 성장동력산업 3D Printed Electronics(3DPE) 분야 국내외 기술동향 1도토리 국준아
88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의 상흔: 노동시장의 3가지 이슈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