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반도체 소부장 산업현황 및 투자전략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53
용량 689.0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반도체 소부장 산업현황 및 투자전략.pdf 689.0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2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메모리 반도체 시장동향 및 기술경쟁력 ★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19년 1,580억불 규모로 ’21년 이후 상승하여 ’23년까지 연평균 7.9%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메모리 제조기술은 최고수준, 메모리 등 미세공정기술 분야는 미국, 일본에 앞서고 있으나 기반기술에 해당하는 장비 부품기술이 아직 미흡 반도체 R&D 투자 기획 현황 ★ 주요국은 자국 內 반도체 공급망 강화, 미래기술 확보 속도전 진행 중, 주요 기업은 M&A와 대규모 투자를 통한 미래시장 선점에 집중 ★ 국내 『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 발표(’19.4) 後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사업단 발족, 대규모 R&D, 설계지원센터 등 성장기반 마련, 종합 반도체 강국 실현을 위한 『K 반도체 전략』 제시 반도체 R&D 투자전략 ★ (전략 1) 해외장비사와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포트폴리오 장비군 개발 ★ (전략 2) 반도체 소부장 R&D 캠퍼스 구축 ★ (전략 3) 핵심소재부품 안정적 자립화 ★ (전략 4) 반도체 핵심소재부품 자립화를 넘어 시장확대 지원 PD ISSUE REPORT JUNE 2021 VOL 21-6 92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1. 반도체 공정 장비 산업동향 반도체 산업의 위상 ★ 반도체 산업은 우리 수출의 약 20%, 제조업 생산의 약 10%를 차지하며 지난 40년간 우리 경제를 견인해 온 버팀목 - 국내 반도체 산업은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생산국으로 메모리반도체 제조 세계 1위, 국내 수출품목 1위로 국내 설비 투자의 약 33% 차지하는 우리경제의 1등 주력산업 - 최근 미-중 무역분쟁 등에서 촉발된 미국 반도체 자립화 움직임에 따른 반도체 산업 수호 전략이 마련이 필요한 시점임 * ’20년 수출 992억 불(전체의 19.3%), ’19년 생산 149조 원(전체의 9.6%) | 그림 1. 한국 반도체 산업의 위상 | 메모리 반도체 시장동향 및 전망 ★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19년 1,580억 불 규모로 ’21년 이후 상승하여 ’23년까지 연평균 7.9%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 D램의 경우 제품의 미세공정화가 한계 및 용량 대비 가격 하락으로 출하량이 증가함에도 시장규모는 400~450억 달러 수준을 유지할것으로 전망 - 낸드 플래시의 경우 빅데이터 저장을 위한 지속적인 수요증가에 따라 시장규모 증가 전망 - D램은 기존의 PC 중심의 수요에서 모바일, 그래픽 등을 위한 새로운 솔루션 위주로 지속 성장이 예상되며 비휘발성 Storage-class memory 위주(낸드 플래시, PCRAM, MRAM 등)로 시장 성장 전망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08 성장동력산업 탄소회계금융협회(PCAF) 표준가이드라인 요약보고서 1도토리 조정희
907 성장동력산업 독일 및 유럽 탄소중립연료 지원정책 및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조정희
906 성장동력산업 COVID-19 사태 이후 중국 tv·웹 드라마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905 성장동력산업 생체의료용 고기능성 타이타늄(Ti) 합금 소재 및 응용제품 개발 1도토리 국준아
904 성장동력산업 일본 철강업계, 수소환원제철 등 탄소절감 대책 강구 1도토리 조정희
903 성장동력산업 제14차 5개년 기간 중국 상무 분야 발전의 키워드, 소비 고도화 1도토리 조정희
902 성장동력산업 광산장비의 친환경 스마트 기술혁신 3도토리 국준아
901 성장동력산업 변화와 융합의 시대, ‘협력’에서 길을 찾다 1도토리 조정희
900 성장동력산업 휴먼팩터 지능화의 디자인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1도토리 국준아
899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소기업 판로혁신 지원방안 1도토리 조정희
898 성장동력산업 혁신생태계 강화를 위한 경제자유구역 핵심전략산업 선정방안 1도토리 조정희
897 성장동력산업 국내 불소화학 산업동향 3도토리 국준아
896 성장동력산업 플라스틱 오염 위기에 대한 정책과 기업의 대응 1도토리 조정희
895 성장동력산업 3D프린팅 산업의 가치사슬별 경쟁력 진단과 정책제언 1도토리 조정희
894 성장동력산업 제조용 로봇산업의 가치사슬 단계별 경쟁력 진단과 정책제언 1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반도체 소부장 산업현황 및 투자전략 1도토리 국준아
892 성장동력산업 퍼스널 모빌리티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 1도토리 국준아
891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감축 입법안(‘Fit for 55’)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90 성장동력산업 3D Printed Electronics(3DPE) 분야 국내외 기술동향 1도토리 국준아
88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의 상흔: 노동시장의 3가지 이슈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