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3D Printed Electronics(3DPE) 분야 국내외 기술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61
용량 2.23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3D Printed Electronics(3DPE) 분야 국내외 기술동향.pdf 2.2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2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주력 제조업과 IoT 기술 간 융합, 디지털 뉴딜 정책 등의 실현을 위해 필요한 핵심부품은 기존 제조공정과는 다른 첨단 제조기술의 도입이 필요 ★ 혁신적인 제조기술로 평가받는 3D 프린팅 기술과 인쇄전자 기술을 융합한 3차원 인쇄 전자기술(3DPE)은 디지털 산업에 적용 가능한 대안 기술이 될 수 있음 ★ 3DPE 기술 적용 시 3차원 기판에 복합다층 회로 패턴을 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전기·전자소자 제작 가능 3DPE 기술과 시장은 아직 성장 단계로서 주요 기술 선진국에서는 3DPE 기술을 적용한 제품을 일부 출시하였으며, 소재, 공정, 장비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 ★ 3DPE 기술은 소재·공정·장비 간 융합이 매우 중요한 영역이며, 아직은 상용화 단계까지 진행된 사례는 많지 않으므로, 우리에게도 시장 진입 가능성 존재 시사점 및 정책제안 ★ 디지털 기술의 확산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제조 현장에서 3DPE 기술을 적용한 융합형 전자부품 생산 시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 ★ 3DPE 기술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고기능성 소재 관련 기술 개발, 3DPE 공정 기술 및 전용장비 개발, 3DPE 융복합 제품 기술 개발 필요 3D Printed Electronics(3DPE) 분야 국내·외 기술동향 PD ISSUE REPORT JULY 2021 VOL 21-7 20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1. 3D Printed Electronics(3DPE) 개요 3DPE 기술 정의 ★ 3차원 인쇄 전자기술(3DPE)은 3D 프린팅 및 전자회로 기술을 융합하여, 3차원 입체 구조로 전자소자를 집적화 하는 기술 - 현재 대부분의 전자제품에 적용되는 평판형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의 회로소자를 기존의 PCB 공정으로 제작하는 방식에서 3차원 구조를 갖는 입체회로소자로 제작하는 방식으로 혁신할 수 있는 기술 - 기존 인쇄전자 기술에서는 2차원 패턴의 인쇄만이 가능하여 구현 가능한 전기·전자소자의 형상에 한계가 있었으나, 3DPE 기술의 경우 평평하지 않은 3차원 기판에 복합다층 회로 패턴을 구현할 수 있어 다양한 형상의 전기·전자소자 제작 가능 - 또한, 전자회로 제조와 패키징 공정을 일체화, 소형화, 집적화할 수 있는 기술로서 궁극적으로는 인쇄 기술만으로 패키징까지 포함한 전자기기 완제품 제조를 목표 (출처 : 3D 프린팅과 산업혁명 4.0 / 한국폴리텍Ⅱ대학 산업디자인과 최성권) | 그림 1. 3DPE 기술의 개념 | ★ 3DPE 기술은 가전, 전자기기, 자동차, 로봇 등 미래 新산업 제품 제조를 위한 新개념 기술이고, 기존 단일 부품에서 융합 부품으로 시장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향후 첨단 전자소자 산업으로 성장 가능 - 자동차 전장 부품(인체공학적 핸들·도어트림, 스타일링 헤드·리어 램프, 스마트 안전시트, 곡면히터, 일체형 부품), 항공·우주제품(초경량 드론, 플라잉 택시) 등 - 모바일·웨어러블 전자기기, 에너지 저장(플렉서블 배터리), 바이오 헬스(당뇨 측정 센서), AI 가전(IoT 스마트 부엌, AI 가전) 등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08 성장동력산업 탄소회계금융협회(PCAF) 표준가이드라인 요약보고서 1도토리 조정희
907 성장동력산업 독일 및 유럽 탄소중립연료 지원정책 및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조정희
906 성장동력산업 COVID-19 사태 이후 중국 tv·웹 드라마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905 성장동력산업 생체의료용 고기능성 타이타늄(Ti) 합금 소재 및 응용제품 개발 1도토리 국준아
904 성장동력산업 일본 철강업계, 수소환원제철 등 탄소절감 대책 강구 1도토리 조정희
903 성장동력산업 제14차 5개년 기간 중국 상무 분야 발전의 키워드, 소비 고도화 1도토리 조정희
902 성장동력산업 광산장비의 친환경 스마트 기술혁신 3도토리 국준아
901 성장동력산업 변화와 융합의 시대, ‘협력’에서 길을 찾다 1도토리 조정희
900 성장동력산업 휴먼팩터 지능화의 디자인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1도토리 국준아
899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소기업 판로혁신 지원방안 1도토리 조정희
898 성장동력산업 혁신생태계 강화를 위한 경제자유구역 핵심전략산업 선정방안 1도토리 조정희
897 성장동력산업 국내 불소화학 산업동향 3도토리 국준아
896 성장동력산업 플라스틱 오염 위기에 대한 정책과 기업의 대응 1도토리 조정희
895 성장동력산업 3D프린팅 산업의 가치사슬별 경쟁력 진단과 정책제언 1도토리 조정희
894 성장동력산업 제조용 로봇산업의 가치사슬 단계별 경쟁력 진단과 정책제언 1도토리 조정희
893 성장동력산업 반도체 소부장 산업현황 및 투자전략 1도토리 국준아
892 성장동력산업 퍼스널 모빌리티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 1도토리 국준아
891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감축 입법안(‘Fit for 55’)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3D Printed Electronics(3DPE) 분야 국내외 기술동향 1도토리 국준아
889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의 상흔: 노동시장의 3가지 이슈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