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코로나 이후 중국 음악산업 신(新)업태 발전 연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35
용량 2.56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코로나 이후 중국 음악산업 신(新)업태 발전 연구.pdf 2.5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7-23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30 

[ 목 차 ]

 

1. 심층이슈: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중국 음악산업 신업태 발전 연구

 

2. 장르별 차트

 

3. 센터 안내

 


 

I.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중국 음악산업 신(新)업태 발전 연구작성 순서1. 코로나19 이후의 중국 음악산업 발전 현황2. 중국 온라인 음악 이용자 분석3. 중국 온라인 음악 산업 신기술 응용 성공 사례 분석4. 중국 음악 산업 신업태 발전 추세 분석Ⅰ 코로나19 이후의 중국 음악 산업 발전 현황1. 중국 음악 산업 발전 환경코로나 19 로 공연계 심각한 타격, 온라인 음악 시장으로 활로 개척 인터넷 기술의 활용 분야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중국 음악 시장에는 새로운 키 플레이어가 지속해서등장하고 있음. 신경제(新经济)1) 하의 새로운 산업 사슬은 음악 콘텐츠 제작, 음악 판권, 운영 및 유통등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 기술 발전으로 인해 음악 산업의 디지털화가 가속화하고 있으며 새로운미디어가 속속 등장함. 지난해 코로나 19 의 충격으로 중국 음악 산업의 가장 중요한 오프라인 시장인라이브 콘서트가 극심한 타격을 받음. 반면, 온라인 음악 사업은 언택트 라이브, 미러링 노래방(혹은 국민노래방, 同屏K 歌) 등의 수익 모델을 발굴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듦.|그림 1| 신경제 하의 중국 음악업계 산업 사슬(출처: iiMedia Research)1) 신경제(新经济, New Economy) : 정보·기술을 주요 산업으로 하는 경제, 첨단 산업이 경제 변혁을 주도하는 경제를 뜻함.2중국 콘텐츠 산업동향 (2021년 7호) 디지털 음악 시대로 접어들면서 중국 온라인 음악산업은 새로운 도약기를 맞이함. 5G, 8K, AI 등 첨단 기술과 음악간의 결합 속도를 높이면서 음악 플랫폼들은 온라인 라이브 콘서트, 3D 가상 가수의라이브 등 새로운 공연 모델을 개발하였음. 정부 부처와 산업 협회도 디지털 음악 시장의 성장을 체계적으로 돕기 위해 음악 산업의 기술 발전 및 응용을 위한 정책 지원을 제공함. 2015 년 ‘중국 음악산업 발전 추진에 관한 약간 의견’, 2017 년 5 월 ‘중국 ‘십삼오’시기 문화발전 개혁 계획 개요’, 2019년 11 월 ’지식재산권 보호 강화에 관한 의견’ 등의 문서에서 ‘음악 산업 발전 추진’ 및 ‘저작권 보호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구체적인 추진 방안도 구축하였음.2)|그림 2| 음악산업에서 첨단 기술의 적용(출처: iiMedia Research)2. 중국 음악산업 발전 현황2021 년 중국 디지털 음악 시장 규모 300 억 위안 돌파 전망 iiMedia Research 에 따르면, 기술 발전과 정책 수혜로 중국 디지털 음악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해 지난해시장 규모가 293 억 위안(5 조 1,800 억 원)으로 커졌으며, 올해는 317 억 위안(5 조 6,100 억 원)에 달할것으로 전망됨. 또한, 코로나 19 의 영향으로 온라인 음악이 새로운 발전 기회를 맞이하게 되었으며 온라인라이브 콘서트, IoT 홈뮤직 등 음악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해, 시장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음.|그림 3| 2017 ~2021 년 중국 디지털 음악 시장 규모 및 전망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88 성장동력산업 플라스틱 폐기물 이슈, 행동하는 기업들 1도토리 조정희
887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7월-4) 1도토리 조정희
886 성장동력산업 신경자극 의료기기 기술 및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885 성장동력산업 자원순환 화학재생 섬유 기술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84 성장동력산업 동남아시아 스타트업 선도 국가, 인도네시아 [인니21-1호] 1도토리 조정희
883 성장동력산업 디스플레이용 QD 소재 기술 현황 및 향후 추진 방향 3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이후 중국 음악산업 신(新)업태 발전 연구 3도토리 조정희
881 성장동력산업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변화 분석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80 성장동력산업 지역경제의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79 성장동력산업 AI 반도체 기술 소재 1도토리 국준아
878 성장동력산업 중대형수소상용차의 기술개발 방향 1도토리 국준아
877 성장동력산업 전 세계 의약품 공급망의 변화와 우리 수출의 경쟁력 분석 1도토리 조정희
876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입법안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75 성장동력산업 유연물 핸들링 로봇 시스템을 위한 인식, 파지, 조작기술 3도토리 국준아
874 성장동력산업 리튬-황 차세대 이차전지의 기술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73 성장동력산업 수소 파이프라인 강재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국준아
872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 인지센서 상용화기술과 산업전망 3도토리 국준아
871 성장동력산업 최근 글로벌 투자 동향과 향후 여건 점검 1도토리 조정희
870 성장동력산업 포용적인 기후변화정책 1도토리 조정희
869 성장동력산업 기술기반의약품(TBM)의 기술개발 동향과 미래가치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