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AI 반도체 기술 소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5
용량 2.6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AI 반도체 기술 소재.pdf 2.6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기획 의도(사업의 목적) 필요성 - 2018년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TV,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 등 우리 생활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4대 가전제품들은 보급률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고 이에 따라서 성장률(연평균 성장률:1.7%, 2016~2023)도 둔화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1인 1가구, 맞벌이 가정의 증가, 워라벨(Work&Life Balance) 문화의 확산 등으로 스마트가전 시장이 연평균 15% 이상 고속 성장하고 있음을 여러 통계지표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영상인식과 음성인식, 그리고 IoT 센서처리 기능을 지원하는 스마트 가전용 소형·저전력 SoC 제품은 아직 태동 단계에 있으며, 가격이 높고 기술지원이 원활하지 않은 관계로 스마트 가전제품의 적기 개발에 많은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인공지능 반도체 핵심 설계기술 확보와 이를 통한 부품 국산화가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시장 분석 및 동향 ★ 4대 가전시장 분석 - 아래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주요 가전제품 보급률은 2018년부터 포화 상태에 돌입하고 있으며 2016~2023년 연평균 성장률(CAGR)이 약 1.7%에 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품목별로 살펴보면, 연간 약 2.2억대 규모의 TV 시장은 이미 성숙 단계로 접어들어 향후 5년간 성장이 정체 또는 점진적 축소가 전망되고 있고, 냉장고 시장은 향후 5년간 약 2% 대의 낮은 성장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출처 : 후지키메라연구소, 2018) | 그림 1. 세계 주요 가전 판매 대수 | Focusing ISSUE AI 반도체 기술 소개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 09 ★ 스마트가전 시장 - Global 경제의 소득 양극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첨단 기술이 접목된 High-end 프리미엄 가전제품에 대한 소비 역시 크게 성장하고 있음을 볼 수가 있다. 초기에는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용이한 홈 IoT가 사물인터넷 시장을 선도하고, 점진적으로 전 산업부문으로 IoT 기술이 확산된 후 2023년경에는 홈 IoT 시장이 전체 사물인터넷 시장의 약 12% 정도(약 $1,550) 차지하는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SA). (출처 : SA, 대한상공회의소 재인용) | 그림 2. 세계 스마트홈 시장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88 성장동력산업 플라스틱 폐기물 이슈, 행동하는 기업들 1도토리 조정희
887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7월-4) 1도토리 조정희
886 성장동력산업 신경자극 의료기기 기술 및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885 성장동력산업 자원순환 화학재생 섬유 기술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84 성장동력산업 동남아시아 스타트업 선도 국가, 인도네시아 [인니21-1호] 1도토리 조정희
883 성장동력산업 디스플레이용 QD 소재 기술 현황 및 향후 추진 방향 3도토리 국준아
882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이후 중국 음악산업 신(新)업태 발전 연구 3도토리 조정희
881 성장동력산업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변화 분석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80 성장동력산업 지역경제의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AI 반도체 기술 소재 1도토리 국준아
878 성장동력산업 중대형수소상용차의 기술개발 방향 1도토리 국준아
877 성장동력산업 전 세계 의약품 공급망의 변화와 우리 수출의 경쟁력 분석 1도토리 조정희
876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입법안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75 성장동력산업 유연물 핸들링 로봇 시스템을 위한 인식, 파지, 조작기술 3도토리 국준아
874 성장동력산업 리튬-황 차세대 이차전지의 기술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73 성장동력산업 수소 파이프라인 강재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국준아
872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 인지센서 상용화기술과 산업전망 3도토리 국준아
871 성장동력산업 최근 글로벌 투자 동향과 향후 여건 점검 1도토리 조정희
870 성장동력산업 포용적인 기후변화정책 1도토리 조정희
869 성장동력산업 기술기반의약품(TBM)의 기술개발 동향과 미래가치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