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입법안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32
용량 320.1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iKIET-119호_EU+탄소국경조정제도+입법안의+주요+내용과+시사점(임소영_양주영)_.pdf 320.1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7-23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2021년 7월 14일, EU 집행위원회는 EU의 기후목표 이행 패키지인 ‘핏포55(Fit for 55)’를 발표하면서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의 입법안 공개

○ 이번에 제안된 CBAM 입법안은 제도의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포함하면서 과도기를 설정하여 단계적 추진 계획 제시
- CBAM의 방식 및 적용 범위, 배출량 측정 방법, 예외 대상 등에 관한 내용 제시
- CBAM은 EU 수입자에 대한 별도의 배출권거래제(ETS) 운영 방식을 따르며, 수입품에 내재된 탄소 정보를 의무적으로 보고하는 과도기 이후 2026년부터 수입자는 EU ETS에서 결정된 탄소가격에 따라 인증서 구매 예정
- 과도기간 중 보고된 탄소 정보를 활용하여 2026년 이후에는 제도 시행의 실효성을 제고할 것으로 전망

○ 2005년 EU를 시작으로 현재 전 세계에서 지방 단위부터 범국가 단위까지 다양한 수준의 배출권거래제(ETS) 시행 중
- 우리나라는 2015년부터 국가 단위의 ETS를 시행하여 현재 제3차 계획기간 이행 중
- 미국, 일본은 지방 단위에서 ETS를 운용 중이며, 중국은 올해부터 국가 단위 시행을 본격적으로 시작

○ EU CBAM에 대해 각국이 선명한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국내 수출입구조와 기후변화 정책 등을 고려한 대응논리 마련과 선제적 대비 필요

- 국내 ETS 운용의 선진화와 강점 발굴을 통해 국내 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근거 마련 필요
- 장기적으로 글로벌 공급망의 전 과정 관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탄소누출에 선제적으로 대비하여 기술혁신과 투자를 통한 중소기업 협력업체 역량 배양과 함께 공급망을 고려한 탄소배출 데이터 수집 및 구축체계 강화 필요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88 성장동력산업 플라스틱 폐기물 이슈, 행동하는 기업들 1도토리 조정희
887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7월-4) 1도토리 조정희
886 성장동력산업 신경자극 의료기기 기술 및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885 성장동력산업 자원순환 화학재생 섬유 기술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84 성장동력산업 동남아시아 스타트업 선도 국가, 인도네시아 [인니21-1호] 1도토리 조정희
883 성장동력산업 디스플레이용 QD 소재 기술 현황 및 향후 추진 방향 3도토리 국준아
882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이후 중국 음악산업 신(新)업태 발전 연구 3도토리 조정희
881 성장동력산업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변화 분석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80 성장동력산업 지역경제의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79 성장동력산업 AI 반도체 기술 소재 1도토리 국준아
878 성장동력산업 중대형수소상용차의 기술개발 방향 1도토리 국준아
877 성장동력산업 전 세계 의약품 공급망의 변화와 우리 수출의 경쟁력 분석 1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입법안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75 성장동력산업 유연물 핸들링 로봇 시스템을 위한 인식, 파지, 조작기술 3도토리 국준아
874 성장동력산업 리튬-황 차세대 이차전지의 기술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73 성장동력산업 수소 파이프라인 강재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국준아
872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 인지센서 상용화기술과 산업전망 3도토리 국준아
871 성장동력산업 최근 글로벌 투자 동향과 향후 여건 점검 1도토리 조정희
870 성장동력산업 포용적인 기후변화정책 1도토리 조정희
869 성장동력산업 기술기반의약품(TBM)의 기술개발 동향과 미래가치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