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기술기반의약품(TBM)의 기술개발 동향과 미래가치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40
용량 627.02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기술기반의약품(TBM)의 기술개발 동향과 미래가치.pdf 627.0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1 
출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페이지 수 : 28 

< 목 차 >

 

1. TBM의 정의 및 개발 필요성

 

2. TBM의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3. TBM 시장 현황 및 전망

 

4. TBM의 국내외 규제 동향

 

5. 결론 및 제언

 


 

SUMMARY 고부가가치 기술기반의약품(Technology Based Medicine, TBM) ★ 기술기반의약품(TBM)기술은 방출을 조절하고 서방화하여 약물의 유효성과 환자의 복용편의성을 높이는 ‘방출제어형 비침습 제제 기술’로 대표되는 1세대 기술부터 ‘나노가용화 기반 생체흡수개선 기술’, ‘장기 지속형 극소침습/비침습 제제 기술’, ‘거대분자약물용 비침습 제제 기술’ 등 2~3세대 기술까지 다양한 발전을 통해 환자의 미충족 수요, 특히 고령화시대에 유효성, 안정성, 사용편의성 증진 등을 충족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기술임 ★ 글로벌 의약품시장 성장률이 2025년까지 약 6%로 예측되는 가운데 글로벌 개량의약품시장의 2030년까지 성장률은 약 11.9%로 예측되고 있어 기술기반의약품시장이 빠른 성장동력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판단됨 ★ 국내에서는 TBM분야에 제네릭의약품 대비 10~20배 이상의 R&D 자금을 투자하여 꾸준히 기술개발역량을 축적하고 있고, 현재 빠르게 부상 중인 바이오의약품분야로의 확대적용(예 : 바이오베터)도 가능하여 사업성이 높은 분야임 시사점 및 정책제안 ★ TBM 기술은 짧은 개발기간과 기술의 플랫폼화로 다양한 의약품에 적용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지는 고부가가치 기술로,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하고 제약바이오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는 전략적 신속성장 동력임 ★ TBM의 글로벌 진출은 인허가 규제, 전략적 지적재산권 확보 및 관리, 현지 임상개발 및 사업화 경험 부족 등으로 인한 장벽이 높아 정부의 정책적 지원 등 민관협업을 통한 우수성공사례 발굴이 시급함 l저자l김형철 바이오PD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허경화 대표 /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 김휘 PL /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 윤태현 PL /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 기술기반의약품(TBM)의 기술개발 동향과 미래가치 30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SEPTEMBER 2021 VOL 21-9 1. TBM의 정의 및 개발 필요성 TBM의 정의 및 세대분류 ★ TBM 이란 기술기반의약품(Technology Based Medicine)을 지칭하며 기존 허가받은 유효물질에 약효, 생체이용률, 환자의 복약순응도 등을 개선하기 위한 진일보된 차세대 기반기술이 적용된 의약품으로서 넓은 의미에서 저분자화합물에 적용되는 개량의약품*과 개량생물의약품(바이오베터) 등을 포함하는 개념임 * Incrementally modified drug, value added medicine, hybrid medicine, super generic 등으로 불리기도 함 ★ TBM 기술은 약물전달시스템을 기준으로 주성분의 변경, delivery materials의 변경, 방출기전의 변경, 투여경로의 변경 등으로 분류할 수 있고, 이를 시대별 기술발전에 따라 1세대, 2세대, 3세대로 분류할 수 있음 - 1세대 : 경구제의 방출변형조절 및 소형화, 경피 흡수제의 방출 조절 등과 같이 전달 시스템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조절 - 2세대 : 생분해성 polymer를 사용한 장기 지속형 데포주사, 나노입자를 이용한 표적 전달 항암제 등 생물학적인 장벽을 극복 - 3세대 : 비침습적 펩타이드 및 전달기술, 신호 특이성 거대분자 전달기술, 물리화학적, BBB를 극복한 표적약물 기술 등 생물학적 장벽을 모두 극복 | 표 1. 약물전달 기술의 세대 분류 | 1950 1980 2010 2040 1st Generation 2nd Generation 3rd Generation Basics of controlled release Smart delivery ststem Modulated delivery systems • Oral delivery - Twice a day, once a day • Zero-order release - First order vs zero order • Poorly soluble drug delivery - Non toxic - excipients • Transdermal delivery - Once a day, once a week • Peptide and protein delivery - Long term depot using biodegradable polymers - Pulmonary delivery • Peptide and protein delivery - Delivery for 〉 6months - Control of release kinetics - Non-invasive delivery • Drug release mechanisms - Dissolution - Diffusion - Osmosis - Ion exchange • Smart polymers and hydrogels - Environment sensitive - Self regulated release (working only in vitro) • Smart polymers and hydrogels - Signal specificity and sensitivity - Fast response kinetics (working in vivo) • Nanoparticles - Tumor targeted delivery - Gene delivery • Targeted drug delivery - Non-toxic to non-target cells - Overcoming blood brain barrier Successful control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elivery systems Inability to overcome biological barriers Need to overcome both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barriers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88 성장동력산업 플라스틱 폐기물 이슈, 행동하는 기업들 1도토리 조정희
887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7월-4) 1도토리 조정희
886 성장동력산업 신경자극 의료기기 기술 및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885 성장동력산업 자원순환 화학재생 섬유 기술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84 성장동력산업 동남아시아 스타트업 선도 국가, 인도네시아 [인니21-1호] 1도토리 조정희
883 성장동력산업 디스플레이용 QD 소재 기술 현황 및 향후 추진 방향 3도토리 국준아
882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이후 중국 음악산업 신(新)업태 발전 연구 3도토리 조정희
881 성장동력산업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변화 분석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80 성장동력산업 지역경제의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79 성장동력산업 AI 반도체 기술 소재 1도토리 국준아
878 성장동력산업 중대형수소상용차의 기술개발 방향 1도토리 국준아
877 성장동력산업 전 세계 의약품 공급망의 변화와 우리 수출의 경쟁력 분석 1도토리 조정희
876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입법안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75 성장동력산업 유연물 핸들링 로봇 시스템을 위한 인식, 파지, 조작기술 3도토리 국준아
874 성장동력산업 리튬-황 차세대 이차전지의 기술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73 성장동력산업 수소 파이프라인 강재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국준아
872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 인지센서 상용화기술과 산업전망 3도토리 국준아
871 성장동력산업 최근 글로벌 투자 동향과 향후 여건 점검 1도토리 조정희
870 성장동력산업 포용적인 기후변화정책 1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기술기반의약품(TBM)의 기술개발 동향과 미래가치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