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디지털 유통물류 기술 동향과 산업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45
용량 4.4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디지털 유통물류 기술 동향과 산업 전망.pdf 4.4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온라인 유통 급성장 및 풀필먼트 ★ 소비패턴 변화와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오프라인 시장이 축소되면서 비대면 거래, 새벽 배송, 온라인 배송 등이 급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유통의 급성장으로 빠른 배송이 유통기업의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하면서 주문에서 배송까지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풀필먼트(Fulfillment)’가 핵심으로 등장했다. ★ 풀필먼트는 데이터를 분석해 상품의 소비를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품의 소싱부터 마케팅, 판매, 배송까지 일련의 유통물류 과정을 효율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말한다. 풀필먼트는 사전적으로 ‘발주처에서 배송처까지 고객의 주문을 관리하는 절차 또는 방법’으로 정의하지만, 온라인 기반의 차별적 서비스를 목적으로 하는 ‘Last-mile Delivery, B2C’라는 점에서 제조사의 제품 품질, 재고 손실 최소화 목적의 기존 물류센터(First-mile Delivery, B2B)와는 구별된다. | 표 1. 물류센터 개념 변화와 핵심 요소 | 개념 보관창고 물류센터 풀필먼트센터 핵심 요소 랙(Rack)·보관공간 컨베이어벨트, 분류기 온라인, 데이터, 자동화 시스템 목적 보관 최대화 흐름의 최대화 소비자 만족 최대화 단위 팔레트(소품종 다량) BOX 피스(다품종 소량) 주요 대상 공장 위주(제조업) 유통대리점 소비자 특성 계획적 상당 부분 계획적 불확실 핵심 경쟁력 임대료 물류센터 위치 빠른 처리(접수·분류·출고) 빠른 배송(당일 배송, 새벽 배송 등) ★ 특히 온라인 유통 시장의 급격한 성장을 필두로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결합해 유통 환경 변화가 가속화함에 따라 국내외 디지털 유통물류로의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실제로 아마존, 월마트, 쿠팡 등 유통기업을 중심으로 지능정보기술 기반의 리테일테크를 적용한 디지털 전환을 비롯해 매장 스마트화를 구현하는 추세다. Focusing ISSUE 디지털 유통물류 기술 동향과 산업 전망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 09 | 표 2. 유통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 구분 비즈니스 트랜스포메이션 e-트랜스포메이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특징 • 사업 설계 • 내부 최적화 • 내부 핵심 역량 강화 • 비즈니즈 모델 개발 • 내외부 관계 최적화 • 고객·파트너와의 게임룰 변경 • 생태계·플랫폼 구축 • 고객 본질 최적화 • 디지털 가치 개발·데이터 분석 역량 강화 중요 요건 (속성) 4P ➊ 상품(Product) ➋ 가격(Price) ➌ 유통경로(Place) ➍ 판촉(Promotion) 4C ➊ 콘텐츠(Contents) ➋ 커뮤니티(Community) ➌ 커머스(Commerce) ➍ 컬래버레이션(Collaboration) 5C ➊ 고객응대(Customer Service) ➋ 고객가치(Consumer Value) ➌ 기회비용(Cost to Consumer) ➍ 고객편의(Convenience) ➎ 고객소통(Communication) 도구 • 자동화, 스토어 콘셉트, 운영 모델 • 인터넷, 비즈니스 모델 • 고객 경험, 데이터 분석, 디지털 기술, 플랫폼 사례 G마켓 ➊ 상품 의류·패션 등 고성장 세그먼트 공략 ➋ 가격 등록 수수료 폐지, 광고 수수료 다변화, 최저가 전략 등 ➌ 유통경로 온·오프라인 간 합종연횡 유통망 ➍ 판촉 틈새 시장 공략 (일대일 흥정하기, 행운경매, 스타숍, 반품·재고숍, 홈쇼핑 할인매장) 아마존 핵심 사업 주요 내용 온라인 쇼핑몰 온라인 서점으로 출발,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로 부상 아마존페 이 아마존 온·오프라인 쇼핑몰에서 사용 가능한 전자결제 서비스 인공 지능 음성인식 스피크 ‘에코’, AI 비서 서비스 ‘알렉사’ 출시 아마존고 핀테크, AI 기술로 직원 없이 제품이 자동 계산되는 점포 핀테크연 합(FIN) 애플, 구글, 페이팔과 핀테크 사업 활성화를 위한 연합체 조직 기업 사례 구분 기존 전환·확장 물류창고 풀필먼트 FBA 오프라인 매장 기반 커피 판매 모바일 기반 커피 판매 (사이렌 오더) PC 운영체제 공급 클라우드 공급 및 컨설팅 의류·패션 도소매 이커머스 및 콘텐츠 (출처 : 디지털트렌드2021 인용, 재가공)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76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입법안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75 성장동력산업 유연물 핸들링 로봇 시스템을 위한 인식, 파지, 조작기술 3도토리 국준아
874 성장동력산업 리튬-황 차세대 이차전지의 기술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73 성장동력산업 수소 파이프라인 강재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국준아
872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 인지센서 상용화기술과 산업전망 3도토리 국준아
871 성장동력산업 최근 글로벌 투자 동향과 향후 여건 점검 1도토리 조정희
870 성장동력산업 포용적인 기후변화정책 1도토리 조정희
869 성장동력산업 기술기반의약품(TBM)의 기술개발 동향과 미래가치 3도토리 국준아
868 성장동력산업 임베디드 AI 소프트웨어 3도토리 국준아
867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 음극재용 탄소나노소재 기술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66 성장동력산업 탄소 감축을 위한 LNG 냉열 발전 재기화 기술 1도토리 국준아
865 성장동력산업 ESG와 금융의 공존 7도토리 조정희
864 성장동력산업 LTAF 도입을 위한 영국 FCA 제안의 주요 내용 1도토리 조정희
863 성장동력산업 선박·해양 프로세스 시스템 디지털 트윈 개발 방향 1도토리 국준아
862 성장동력산업 디지털엔지니어링 설계기술과 탄소저감 1도토리 국준아
861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가전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1도토리 국준아
860 성장동력산업 임베디드 금융(Embedded Finance)의 성장과 규제 1도토리 조정희
859 성장동력산업 주조산업의 최신 기술 활용 사례 1도토리 국준아
858 성장동력산업 가상자산 발행과 유통 현황 1도토리 조정희
857 성장동력산업 극저온 냉동기 기술 및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