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 기술 및 시장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43
용량 1.3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 기술 및 시장동향.pdf 1.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SUMMARY 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 기술 및 시장동향 l저자l박지훈 의료기기·헬스케어 PD / KEIT 임용훈 부장 /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목적 ★ 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의 시장동향 및 기술동향을 살펴보고, 헬스케어 제품과 서비스가 융합된 산업의 발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주요현황 ★ 세계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2019년 1,063억 달러에서 2026년 6,394억 달러로 연평균 29.2%씩 성장이 전망됨 ★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또한 2018년 1.9조 원에서 연평균 약 16.13%의 성장률을 보이며, 국내 우수한 의료 인프라와 디지털 기술 수준을 고려하면 규제 개선 및 완화될 시 성장 잠재력이 높음 시사점 및 정책제안 ★ 국내의 고도화된 IT인프라, 선진적 의료시스템과 다양한 의료데이터 보유, 코로나19 이후의 디지털 헬스분야에 대한 사회적 패러다임 변화, 디지털 관련 축적된 기술 등 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을 위한 성공요인 충분 ★ 의료기기에 IT 및 통신기술과 서비스를 접목하여 의료기기 사용 환경을 전통적 의료에서 생활 속 디지털헬스케어로 확장하는 신산업 창출 전략 필요 ★ 헬스케어 제품 서비스화를 위한 산업군 내 다수의 이해관계자(수요자, 정보제공자, 정보취합 및 분석, 통신사, CRO, 규제관계자 등) 간 협력을 유도하여 비즈니스화까지 혁신 필요 ★ 중소 벤처 중심 헬스케어 기업군의 성장 잠재력 확충을 위한 정부차원의 글로벌 데이터 표준화, 인증 규제 상호운용성 강화를 위한 전략적 접근 및 지원이 필요 42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PD ISSUE REPORT DECEMBER 2021 VOL 21-12 1. 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 개요 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 정의 및 특징 ★ 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은 단일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제품, 소프트웨어 콘텐츠, 미들웨어, 플랫폼, 통신 네트워크와 의료 및 건강관리 서비스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제조업의 서비스화, 혹은 헬스케어 제품과 서비스가 융합된 산업으로 정의 - 소비자(Customer), 개인의 건강정보를 생성하는 의료기관을 포함한 다양한 생활환경 내 이해관계자(Data provider),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한 이해관계자(Service provider)를 포함 - 기존 과점 포화된 병원 중심의 의료기기의 헬스케어 서비스 시장진출과 신시장 개척이 가능한 산업군으로 비즈니스 모델(BM:Business Model)개발을 위해 상기 정의된 다양한 산업군의 이해관계자 간 연계가 필수적인 점이 특징 - 하드웨어 유형 및 분류에 따라 의료기기와 개인용 건강관리(웰니스)제품, 그리고 서비스에 따라 의료 및 비의료 건강관리 분야로 구분되며, 이는 헬스케어 비즈니스 모델 개발 단계에서 데이터 생성과 데이터 수집/분석 대상을 결정짓는 요소 (출처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헬스케어 동향과 시사점, KDB경제연구소, 2017.07 : ETRI 미래전략 연구소(2016)(재가공)) * EHR(Electronic Health Record) : 의료기관이 아닌 일상생활에서 수집되는 디지털화된 개인건강정보 * EWR(Electronic Wellness Record) : 건강관리를 위한 활동 시 수집되는 디지털화된 생체정보 *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 환자의 모든 정보를 전산화하여 입력, 관리, 저장하는 형태 | 그림 1. 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 산업분야별 연계 개념도 |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76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입법안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75 성장동력산업 유연물 핸들링 로봇 시스템을 위한 인식, 파지, 조작기술 3도토리 국준아
874 성장동력산업 리튬-황 차세대 이차전지의 기술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73 성장동력산업 수소 파이프라인 강재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국준아
872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 인지센서 상용화기술과 산업전망 3도토리 국준아
871 성장동력산업 최근 글로벌 투자 동향과 향후 여건 점검 1도토리 조정희
870 성장동력산업 포용적인 기후변화정책 1도토리 조정희
869 성장동력산업 기술기반의약품(TBM)의 기술개발 동향과 미래가치 3도토리 국준아
868 성장동력산업 임베디드 AI 소프트웨어 3도토리 국준아
867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 음극재용 탄소나노소재 기술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66 성장동력산업 탄소 감축을 위한 LNG 냉열 발전 재기화 기술 1도토리 국준아
865 성장동력산업 ESG와 금융의 공존 7도토리 조정희
864 성장동력산업 LTAF 도입을 위한 영국 FCA 제안의 주요 내용 1도토리 조정희
863 성장동력산업 선박·해양 프로세스 시스템 디지털 트윈 개발 방향 1도토리 국준아
862 성장동력산업 디지털엔지니어링 설계기술과 탄소저감 1도토리 국준아
861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가전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1도토리 국준아
860 성장동력산업 임베디드 금융(Embedded Finance)의 성장과 규제 1도토리 조정희
859 성장동력산업 주조산업의 최신 기술 활용 사례 1도토리 국준아
858 성장동력산업 가상자산 발행과 유통 현황 1도토리 조정희
857 성장동력산업 극저온 냉동기 기술 및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