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친환경 라이오셀(Lyocell) 섬유 산업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58
용량 1.79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친환경 라이오셀(Lyocell) 섬유 산업동향.pdf 1.7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31 
출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페이지 수 : 28 

[ 목 차 ]

 

1. 개 요

 

2. 라이오셀 섬유 국·내외 기술동향

 

3. 주요 라이오셀 섬유 제조사 및 생산 능력

 

4. 라이오셀 시장 동향

 

5. 라이오셀 제조 공정

 

6. 라이오셀 섬유의 특징

 

7. 결 론

 

 


 

SUMMARY l저자l윤석한 섬유PD / KEIT 이세근 박사 / DGIST 이영재 박사 / DGIST 친환경 라이오셀(Lyocell) 섬유 산업동향 친환경 라이오셀(Lyocell) 섬유 산업동향 ★ 친환경 섬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여 라이오셀(Lyocell) 섬유의 시장 규모는 2021년 9,400억 원에서 2027년 1조 5,446억 원으로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오스트리아 렌징은 연산 30만 톤 규모의 세계 최대 라이오셀 섬유 생산능력을 갖추고 전 세계 시장의 75% 이상을 차지하는 독점적 위치를 확보하고 있으며, 중국 Grecell, Hi-Tech Fiber Group 등은 대규모 투자를 통해 라이오셀 생산규모 증설 중 ★ 렌징은 목재 펄프 원료에 면 폐기물(Post-Consumer Cotton Waste)을 30%까지 혼합하여 고품질 라이오셀 섬유를 제조하는 REFIBRA™ 기술을 개발하여 시장 장악력 더욱 확대 중 시사점 및 정책제안 ★ 탄소중립 핵심기술 확보를 통한 脫탄소 산업구조로의 대전환과 친환경 소재에 대한 수요증가 등 섬유산업 관련 글로벌 수요시장 및 산업환경 급변 중 - 기존 바이오매스 유래 레이온 섬유의 경우 제조공정에서 제조자와 환경에 유해한 공해와 폐수가 다량 발생하는 문제로 라이오셀 섬유에 대한 시장이 지속 성장 중 - 셀룰로스계 섬유시장의 급격한 변동이 예상되고 있어 시장 선도를 위한 프리미엄 소재(친환경 공법을 사용한 바이오매스 유래 라이오셀 섬유 등) 개발에 대한 투자 필요 ★ 기 구축된 라이오셀 관련 연구역량 및 생산기술을 기반으로 저피브릴화·이형단면사 제조기술 및 생산성 향상 등의 신기술을 개발하여 전량 수입에 의존 중인 의류·생활용 라이오셀 섬유 국산화를 통한 수입대체 및 고부가가치 신시장 진입 기대 ISSUE3 친환경 라이오셀(Lyocell) 섬유 산업동향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 61 1. 개요 섬유산업도 예외일 수 없는 ‘지속가능성’과 ‘탄소중립’ ★ 갈수록 심각해지는 환경오염과 기후변화 영향으로 ‘지속가능성’은 전 세계 모든 산업의 경쟁력을 결정하는 핵심 역량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환경 및 생태계 보호를 위한 노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기업의 사활이 걸릴 정도의 중요한 문제로 급부상 ★ 특히, 섬유는 의류, 침구류, 인테리어 용품, 복합재료, 자동차 내장재 등 우리 생활환경 전 분야에 걸쳐 사용되지 않는 곳이 없으며, 섬유산업 역시 지속가능한 소재와 제품 개발이 미래 산업 경쟁력 확보에 핵심 요소임 ★ 우수한 물성과 흡습성, 부드럽고 쾌적한 촉감을 가지는 지속가능 재생 셀룰로스 섬유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 중이며, 라이오셀 섬유 시장은 2021년 9,400억 원에서 2027년 1조 5,446억 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세계 최대 규모 라이오셀(Lyocell) 섬유 제조사인 오스트리아 렌징은 지속가능성과 기후변화 대처 방안으로 세계 최초로 탄소-제로 라이오셀(2019년)과 모달(Modal) 섬유를 시장에 런칭 중 친환경 섬유 ‘라이오셀’ ★ 셀룰로스는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한 천연자원이며, 특히, 라이오셀 섬유는 유칼립투스(Eucalytus) 인공 조림에서 추출한 목재 펄프를 친환경 용제인 아민옥사이드 수화물(N-methylmorpholine-N-oxide, NMMO)에 직접 용해시켜 방사과정을 통해 제조되기 때문에 원료부터 생산과정에서 환경오염물질 배출이 없고, NMMO는 99% 이상 재사용이 가능하고 섬유는 퇴비화 및 생분해성 물질로 인증되어 자연으로 완전히 돌아갈 수 있어 대표적인 친환경 섬유로 평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76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국경조정제도 입법안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75 성장동력산업 유연물 핸들링 로봇 시스템을 위한 인식, 파지, 조작기술 3도토리 국준아
874 성장동력산업 리튬-황 차세대 이차전지의 기술 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73 성장동력산업 수소 파이프라인 강재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국준아
872 성장동력산업 자율주행차 인지센서 상용화기술과 산업전망 3도토리 국준아
871 성장동력산업 최근 글로벌 투자 동향과 향후 여건 점검 1도토리 조정희
870 성장동력산업 포용적인 기후변화정책 1도토리 조정희
869 성장동력산업 기술기반의약품(TBM)의 기술개발 동향과 미래가치 3도토리 국준아
868 성장동력산업 임베디드 AI 소프트웨어 3도토리 국준아
867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 음극재용 탄소나노소재 기술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66 성장동력산업 탄소 감축을 위한 LNG 냉열 발전 재기화 기술 1도토리 국준아
865 성장동력산업 ESG와 금융의 공존 7도토리 조정희
864 성장동력산업 LTAF 도입을 위한 영국 FCA 제안의 주요 내용 1도토리 조정희
863 성장동력산업 선박·해양 프로세스 시스템 디지털 트윈 개발 방향 1도토리 국준아
862 성장동력산업 디지털엔지니어링 설계기술과 탄소저감 1도토리 국준아
861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가전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1도토리 국준아
860 성장동력산업 임베디드 금융(Embedded Finance)의 성장과 규제 1도토리 조정희
859 성장동력산업 주조산업의 최신 기술 활용 사례 1도토리 국준아
858 성장동력산업 가상자산 발행과 유통 현황 1도토리 조정희
857 성장동력산업 극저온 냉동기 기술 및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