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외국과 베트남의 드라마 협력 제작 사례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39
용량 1.43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외국과 베트남의 드라마 협력 제작 사례.pdf 1.4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7-28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페이지 수 : 27 

[ 목 차 ]

 

1. 베트남과 외국의 드라마 협력 제작 개요

 

2. 베트남과 한국의 드라마 협력 제작 사례

 

3. 베트남과 한국의 드라마 협력 제작 전망

 


 

베트남과 외국의 드라마 협력 제작 개요작성순서1. 베트남과 외국의 영화·드라마 협력 제작 과정1) 베트남과 외국의 영화·드라마 협력 제작 역사2) 베트남과 한국의 드라마 협력 제작 현황2. 베트남과 외국의 드라마 협력 제작 관련 법률 체계1) 베트남 정부 부처 및 관계자 임무2) 베트남 정부 드라마 협력 제작 정책1 베트남과 외국의 영화·드라마 협력 제작 과정1. 베트남과 외국의 영화·드라마 협력 제작 역사베트남 문화산업부는 베트남 드라마를 대중화하기 위해 열의를 보이고 있지만, 촬영 장소 부족, 편집기술 부족, 제작비 부족 등의 현실적 한계가 큰 것으로 나타남. 이에 따라 베트남 영화·드라마의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작품 제작을 지속적으로 하고, 기술적으로 부족한 부분은 해외 기획사와의협력으로 해결하려고 함. 지금 베트남에서는 해외 기획사와의 합작 영화·드라마 제작이 대세라고할 수 있음. 베트남과 외국의 영화·드라마 협력 제작 과정은 아래의 4 단계로 발전되어 옴.|그림 1| 베트남과 외국 간의 드라마 협력 제작 과정 (1945년-현재)※출처 : OCD 자체 조사베트남 콘텐츠 산업동향 (2021년 3호)기반 마련(1945~1954) : 베트남 영화·드라마의 토대 1945 년 베트남은 ‘베트남 민주공화국’을 세우고 독립을 선언함. 당시 베트남 정부는 <Hồ Chủtịch từ Pháp trở về(프랑스에서 돌아오신 호치민(胡) 주석, 1946)>, <Trận đánh tại Ô CầuDền(Ô Cầu Dền 전투, 1946)>, <Trận Mộc Hóa(Mộc Hóa 전투, 1948)>, <Trận ĐôngKhê(Đông Khê, 1950)>, <Chiến Thắng Tây Bắc(Tây Bắc 전투, 1952)> 등과 같은 전쟁다큐멘터리를 제작하고 홍보하기 위해, 홍보통신부 산하에 영화·드라마 촬영 부서와 영화 상영국영 기업들을 설립했음. 이것이 베트남 영화·드라마 제작의 토대가 됨.최초 협력(1954~1975) : 소련과 전략적 교류 1954 년 제네바(Geneva) 협정으로 베트남은 ‘베트남 민주 공화국(북베트남)’과 ‘베트남 공화국(남베트남)’으로 임시 분단됨. 북부 정부는 혁명 선전 영화들에만 제작비를 후원한 반면, 남부에서는 많은 민간 영화사들이 등장하면서 제작이 활발해지고, 영화 주제도 다양하고 풍부하게 개발함. 1950 년대 세계 영화계 거장이었던 ‘로만 카르멘(Roman Karmen)’ 소련 감독이 베트남으로 건너와 <Việt Nam trên đường thắng lợi(승리의 길에 베트남, 1955)>라는 역사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외국과의 첫 영화·드라마 교류였음. 현재 활동하는 많은 베트남 영화제작자들이 당시 로만 카르멘 감독과 함께 일을 한 경험이 있음. 또 북부 정부는 전략적으로 지역의 많은 예술가와 감독들을 소련으로 파견했음. 이들 파견의 주목적은 혁명을 후원하고 선전하는 것이었지만, 소련에서 돌아온 ‘응우옌 딘 응이(Nguyễn ĐìnhNghi)’, ‘도안 호앙 장(Doãn Hoàng Giang)’ 등은 나중에 인민 예술가이자 유명 영화감독이 됨. <Việt Nam trên đường thắng lợi>이 베트남 영화의 국제 공동 제작 첫 성공 사례라 할 수있음. 이 시기는 베트남 항미 구국전쟁 기간(1955~1975)으로 베트남은 중국과 손잡고 여러 영화를 제작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함.협력 확대(1975~2000) : 베트남과 외국 간의 우호적 협력 확대 시기 1975 년 베트남 통일은 영화·드라마에서도 많은 변화를 불러옴. 북부의 영화 제작자들은 남부의기술과 장비를 수용하고 남부의 감독, 예술가들과 협력해서 거대한 영화 제작팀을 구성함. 영화주제도 다양하고 풍요로워져, 전쟁 외에 도시, 사랑 등이 새롭게 다뤄짐. 특히 이 단계에서 베트남은 소련, 알제리, 프랑스 등과 협력을 확대하지만, 교환 프로그램 수준에그쳐 실제 이렇다 할 성과는 없었음. 베트남과 소련의 공동 제작 영화 중 주목할 만한 작품으론소련 ‘Mosfilm&Barrendow’와 베트남 ‘FAFIM’ 스튜디오가 제작한 <Cuộc chiến ở Moskva(모스크바 공방전, 1985)>, 소련 ‘Gorky’와 베트남 ‘VFS’ 스튜디오가 제작한 <Tọa độ chết(죽음의 좌표, 1985)> 등이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56 성장동력산업 비청산 장외파생상품거래 개시증거금 제도 시행에 대한 제언 1도토리 조정희
855 성장동력산업 신과학기술협력 방향: 한·미 정상회담 과학기술의제를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854 성장동력산업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지원을 통한 환경오염 극복사례 연구 1도토리 조정희
853 성장동력산업 CMF디자인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1도토리 국준아
852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녹색 경제 1도토리 조정희
851 성장동력산업 국내 촉매 산업의 기술 동향 1도토리 국준아
850 성장동력산업 넷제로 달성을 위한 기술 이전 1도토리 조정희
849 성장동력산업 전력반도체 최신 기술 이슈 및 향후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48 성장동력산업 태국 저작권 월간 동향 6월호 1도토리 조정희
847 성장동력산업 엑소브레인 한국어 구어체 형태소 분석 및 개체명 인식 기술 v1.0 1도토리 조정희
846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유통물류 기술 동향과 산업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45 성장동력산업 탄소배출권과 2050 LEDS의 기대효과 및 발전방안 1도토리 조정희
844 성장동력산업 주력가공장비용 핵심부품 기술동향 및 개발방향 1도토리 국준아
843 성장동력산업 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 기술 및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842 성장동력산업 친환경 라이오셀(Lyocell) 섬유 산업동향 3도토리 국준아
841 성장동력산업 디스플레이용 초소형 마이크로 LED 기술 동향 및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840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로봇화 일자리 미래와 대응책 7도토리 국준아
839 성장동력산업 미중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한 주요국 산업정책 방향 3도토리 국준아
838 성장동력산업 주요 선진국들의 탄소 중립을 위한 정책 현주소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837 성장동력산업 유럽의 탄소 가격 책정에 대한 과제와 전망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