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OT/ICS 보안 이슈 및 기술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53
용량 657.38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OT, ICS 보안 이슈 및 기술 동향.pdf 657.3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7-19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3 

OT/ICS(Operational Technology/Industrial Control System)는 산업 생산 기반시 설의 핵심 운용기술 영역이며, 4차 산업혁명이 급진전됨에 따라 AI 등 첨단기술과 융합된 이른바 「스마트 X」가 전 산업으로 확산되면서 사이버보안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더 커 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OT/ICS 보안 기술의 이슈를 팬데믹(pandemic)의 종식과 2022년 2월 러시아의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접근함으로써 주요 변화의 흐름을 파악 하고자 한다. 첫째, 사이버보안 일반 동향으로, APT 공격의 빈도 및 강도 증대, IIoT, 소프트웨어 공급 망에 대한 랜섬웨어 공격 확산, Log4j 등 오픈소스 프로그램 보안 취약점의 노출, 원격업무 솔루션, 메타버스 기기, 가상사설망(VPN)에 대한 취약점 공격 등이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이에 대한 기술적 대응이 보안 이슈가 되고 있다. 둘째, 2020년 초에 발생한 코로나19는 국가 사회ㆍ경제 전반에 걸쳐 온라인 비대면 문화 를 일상화시켰다. 이러한 현상은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DT/DX)을 더 앞당기는 계기가 되었 으며, 시민들의 비대면 플랫폼 이용 증가로 공격자 입장에서는 사이버 공격 표면이 확장되어 자신들에게 크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2022년 2월에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에서는 물리적 군사행동과 사이버전(cyber warfare)이 동시에 전개됨으로써 전형적인 하이브리드전(hybrid warfare)의 양상을 보여 주고 있다. 이번 하이브리드전에서는 전쟁 당사자 및 지원국들이 군(軍)은 물론 정부가 지원 하는 민간 해커집단이 사이버전을 수행하고 있으며, 주요 공격 목표는 적대국의 산업 기반시 설 운용 교란, 시스템 파괴, 심리전 등에 두어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국가 주요 기반시설들의 안정적인 보호와 급성장하고 있는 스마트 X 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OT/ICS 보안 이슈와 기술 동향을 분석한다. II. OT/ICS 보안 개황 미 NIST(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는 OT/ICS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SCADA(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s),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등에 대한 사이버 공격 의도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 ICS 네트워크에서 정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지연시켜 ICS의 정상적인 운용을 방해 - 명령어나 경보 임계값을 무단으로 변경하여 장비를 손상 또는 정지시켜 시스템에 치명 적 영향을 주거나 인명에 위험 초래 - 시스템 운영자에게 부정확한 정보를 전달하여 비인가 변경을 유도하거나 운영자의 부적 절한 행동을 유발하여 다양한 부작용 유발 - ICS 소프트웨어나 형상을 변경하거나 ICS 소프트웨어를 악성코드에 감염시켜 다양한 부작용 유발 - 보안시스템의 정상적 운용을 방해하여 교체가 어려운 고가의 장비에 위험 유발 - 안전시스템의 정상 운용을 방해하여 인명에 위험 초래

스크린샷 2023-07-19 155407.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8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차 및 배터리분야_美, 유럽 양극재 시장에 증설 경쟁 본격화 5도토리 강정훈
58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바이오 및 빅데이터분야_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 발전 방향 5도토리 강정훈
58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상반기 수입규제 분석 및 전망 11도토리 강정훈
583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COVID-19 전·후 수출 변화상 조사 3도토리 강정훈
583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무역업계 금융애로 변화추이 5도토리 강정훈
58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희토류 주요국 영구자석 관련 동향 및 시사점 11도토리 강정훈
58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 ESG 트렌드 및 공급망에 주는 시사점 11도토리 강정훈
583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상반기 中, 남부 지역 경제 동향 5도토리 강정훈
58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7, 8月 세계 게임산업 트렌드 11도토리 강정훈
58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8月 기계산업 통계 11도토리 강정훈
582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2년 北 대외무역 동향 11도토리 장민환
58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국 수소 활용 정책 분석 9도토리 장민환
582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7월 中 수출입 동향 6도토리 장민환
58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수소 산업 시장현황 및 정책과제 9도토리 장민환
582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미국 제조역량 발전을 위한 기술개발 행정명령 발표 5도토리 장민환
582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소비재 수출 분석 및 시사점 5도토리 장민환
582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中, 5G 메시징 망단 협업강화 고시 초안 발표 5도토리 장민환
582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금리 기조의 기업부채 및 구조적 전환 가능성 5도토리 민준석
581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위안화 국제화 현황 3도토리 민준석
581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美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움직임 3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