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중국 XR산업 시장규모 및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61
용량 1.37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중국 XR산업 시장규모 및 분석.pdf 1.3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7-14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34 

Ⅰ. 중국 XR 시장 규모와 주요 기업
1. VR단말기 시장
2. AR단말기 시장
3. AR/VR 단말기의 원가 구조
4. 중국 XR 칩 제조기업


Ⅱ. 중국 XR업계 투융자 현황
1. 2021년부터 하드웨어와 응용분야에 대한 투자 증가
2. 하드웨어 투융자 현황
3. 응용분야별 투융자 현황
4.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


Ⅲ. 중국 XR 응용시장 현황
1. VR 응용 분야
2. AR 응용 분야
3. 향후 전망
 


 

VR 단말기 가격의 하락과 함께 소비시장이 전환점을 맞이함. 2021 년부터 2022 년 상반기까지 독립형
기기가 집중적으로 출시됐고, 판매량 TOP 제품의 가격은 3,000 위안 이하로 하락함 Ÿ IDG 데이터에 따르면, 2021 년 글로벌 VR 단말기 출하량은 전년대비 92% 증가한 1,110 만대를
기록했고, 2022 년에는 1,450 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중국에서 AR 단말기는 초기에는 비즈니스용 제품으로 생산되었으나 점차 소비자용 시장으로 확대되며
시장 규모가 커지기 시작함 Ÿ AR 헤드셋은 B2B 시장에서 투자 수익을 확실하게 달성한 제품으로 성장했고, 기업의 AR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분야에 대한 투자 의향도 높아짐 Ÿ 시스템 성능과 컴퓨팅 성능 향상, 기기 무게 등 기존 소비자용(B2C) AR 기기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이
점차 보완되고 업그레이드됨에 따라 비즈니스용 기기의 성장률은 둔화되었고, 중국내 소비자용 기기가
시장을 주도하기 시작함
VR/AR 칩 모두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VR 광학 통로(Optical Path)가 보다
명확해지고 AR 광학 통로도 다채로워짐 Ÿ VA/AR 단말기는 화면 및 통신 전송에 대한 특별한 요구사항을 맞춰야 하는데, 현재 퀄컴
(Qualcomm)이 맞춤형 칩 개발을 주도하고 있음 Ÿ VR 기기의 소형화, 경량화로 Pancake 광학 솔루션이 점차 주력제품의 표준이 되고, AR 광학
통로는 비교적 다양하고 가성비가 높아 다양한 응용분야에 광학 솔루션이 적용되는데, 특히
소비자용 제품시장은 광 도파로(optical-beam waveguide)가 가장 주목받고 있음
맞춤형 운영체제의 개발은 더딘 반면 콘텐츠 생태계는 빠른 속도로 확장되고 있음
Ÿ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를 기반으로 최적화 및 커스터마이징화되고 있음. 구글과 같은 대형 기업은
일찍부터 적극적으로 사업을 수행해왔으나 진행속도는 더딘 편인 반면, 중국 국내 스타트업은
적극적인 태도로 진입하며 여러가지 맞춤형 운영체제를 출시함 Ÿ 해외 VR 콘텐츠 생태계가 점차 구축되면서 중국은 해외의 초기 경험을 벤치마킹해 주기가 짧고
자주 출시할 수 있는 라이트한 게임과 비디오와 같은 콘텐츠 제작에 집중함
2021 년부터 하드웨어 및 응용프로그램이 투자시장의 회복을 주도함. 2021 년 AR 이 점차 소비자
시장에 진입하고 스타트업이 각종 버티컬 커머스에서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하면서 시장이 회복되기
시작함 Ÿ 2021 년과 2022 년에 각각 160 건과 113 건의 투자 유치가 발생했고, 대부분 A 라운드와
A 라운드 이전 단계의 초기 자금 조달이 주를 이룸

스크린샷 2023-07-19 151334.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8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차 및 배터리분야_美, 유럽 양극재 시장에 증설 경쟁 본격화 5도토리 강정훈
58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바이오 및 빅데이터분야_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 발전 방향 5도토리 강정훈
58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상반기 수입규제 분석 및 전망 11도토리 강정훈
583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COVID-19 전·후 수출 변화상 조사 3도토리 강정훈
583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무역업계 금융애로 변화추이 5도토리 강정훈
58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희토류 주요국 영구자석 관련 동향 및 시사점 11도토리 강정훈
58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 ESG 트렌드 및 공급망에 주는 시사점 11도토리 강정훈
583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상반기 中, 남부 지역 경제 동향 5도토리 강정훈
58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7, 8月 세계 게임산업 트렌드 11도토리 강정훈
58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8月 기계산업 통계 11도토리 강정훈
582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2년 北 대외무역 동향 11도토리 장민환
58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국 수소 활용 정책 분석 9도토리 장민환
582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7월 中 수출입 동향 6도토리 장민환
58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수소 산업 시장현황 및 정책과제 9도토리 장민환
582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미국 제조역량 발전을 위한 기술개발 행정명령 발표 5도토리 장민환
582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소비재 수출 분석 및 시사점 5도토리 장민환
582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中, 5G 메시징 망단 협업강화 고시 초안 발표 5도토리 장민환
582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금리 기조의 기업부채 및 구조적 전환 가능성 5도토리 민준석
581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위안화 국제화 현황 3도토리 민준석
581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美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움직임 3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