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데이터기반의 정밀농업 체계구축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6
용량 199.3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데이터 기반의 정밀농업 체계구축.pdf 199.3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전 가치사슬(Value-Chain)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이미 세상은 정보화 사회를 넘어 데이터와 디지털로 대표되는 초연결(hyper-connected) 사회이다.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와 정보를 탐색, 분석하여 목표와 목적에 맞는 지적활동에 활용하거나, 원하는 것을 원하는 위치와 시간에 맞춰 배송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구촌 어느 곳에 있던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사람들과 만날 수 있는 시 대를 살고 있다. 세계의 선진사회는 대량의 데이터가 기존의 생산요소인 자본, 노동과 토 지를 능가해 경제와 산업발전을 견인하는 중요한 생산요소이며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데이 터 경제(Data Economy)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다. 이미 미국, 유럽과 중국 등 주요국들은 데이터 경제, 디지털 전환에 대한 급속한 변화를 선도해 혁신성장과 국민 삶의 질 향상을 동시에 실현하기 위한 데이터산업 활성화 전략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도 이러한 환경에 맞춰 혁신성장을 이끌어갈 한국판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디지털뉴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디지털뉴딜사업은 데이터 댐, 지 능형 정부, 스마트 의료인프라, 국민안전기반시설(SOC) 디지털화, 디지털 트윈 등을 중심 으로 12개 과제를 선정해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된 농식품분야는 스마트팜, 무인자 동화 농업기반, 농축산물 온라인경매시스템 등 14개 사업이 포함되어 있다. 즉, 농업부문 에서도 농업생산, 유통과 소비 등 전체 가치사슬 단계에 걸쳐 디지털 전환에 적극 대응하 고 준비해 새로운 지속가능한 미래농업과 혁신성장의 발판으로 도약할 필요가 있다. 따라 서 데이터기반 정밀농업과 스마트농업 및 디지털농업의 중요성과 체계구축이 무엇보다 중 요하다. 다시 말해, 환경부담 저감, 농작업 자동화, 생산성 향상을 위해 센서, IoT, 자율주 행 농기계와 로봇 등 데이터에 기반한 첨단농업기술 적용으로 농업자원, 농자재는 물론 노동력을 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체계로 나아가야 한다. 농축산기계신문 2021년 8월 30일자 서대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신성장산업으로 주목받는 정밀농업 정밀농업(Precision Agriculture)은 같은 경작지라고 해도 위치에 따라 토성, 토질, 물 빠 짐, 비료 요구량 등이 다르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같은 경작지를 일정 단위별로 관찰(모니 터링)과 측정을 하고, 진단·분석함으로써 최적의 처방과 처리를 추구하는 농업기술이다. 즉, 농자재(투입재)를 최적·최소로 써서 최적 영농방식과 생산활동을 함으로써 환경에 대 한 부담은 최소화하고 경제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이러한 정밀농업은 이미 1920년대에 미국에서 처음 개념화됐고, 1970년대 토양과 작물정 보를 이용하기 시작해 1980년대 시비량을 조절하는 농기계가 시판됐으며, 1990년대에는 수확량 측정기를 도입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위치기반서비스(GPS)의 상업적 이용이 가능해지면서 빠르게 발전했고, 최근에는 GPS와 GIS를 기반으로 무선이동통신 기술을 접 목하는 IoT 및 센서기술과 AI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스마트농업, 디지털농업 등 미래 첨단 농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즉 미래농업은 정밀농업의 개념인 농업자원과 투입재의 최적 이 용을 통한 환경부담저감과 안전농산물의 안정적 생산기반구축을 기초로 첨단기자재와 기 술을 활용하는 데이터기반 농업과 이를 최대로 활용하는 농업자동화의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다. 정밀농업의 성과는 유럽과 미국 중심으로 경제적·환경적 측면에서 많은 연구성과 들이 발표되고 있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생산성증대, 비용 및 에너지절감, 수익증대 성과 들이 입증됐고, 환경적 측면에서는 이산화탄소 저감, 퇴적물 및 비료유출 감소, 토양 및 수질오염 방지 및 제거 등 다양한 성과들이 분석되고 있다. 이와 같이 미국과 유럽에서의 정밀농업은 첨단기술을 접목해 데이터에 기반한 새로운 영 농방식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평택시에서 수도작 중심의 시범단 지(2005~2014) 사례와 일부 시설원예와 축산부문에서 시작했고, 최근 노지 스마트팜 시 범사업을 시작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정밀농업은 다음과 같은 비전과 목표로 체계적 추진전략을 수립해 체계적이며 적극적으로 구축해 나갈 필요가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29 성장동력산업 한국형 스마트 공장과 특화망 1도토리 국준아
928 성장동력산업 양자 인터넷 기술 3도토리 국준아
927 성장동력산업 중국과의 경제관계에 대한 전망 1도토리 조정희
926 성장동력산업 최근 지급결제시장 변화와 카드사의 대응 방향 1도토리 조정희
925 성장동력산업 쇼피파이, 핀둬둬의 성장과 이커머스 시장의 변화 1도토리 조정희
924 성장동력산업 라이다 센서용 콜로이드 양자점의 모양과 센서 성능 상관관계 규명 1도토리 국준아
923 성장동력산업 애널리틱스를 활용한 고객관리 전략 1도토리 조정희
922 성장동력산업 금리: 금통위, 8월 금리인상 의지 적극 피력 1도토리 조정희
921 성장동력산업 외환: 국내 코로나 확진자 급증으로 연고점 경신 1도토리 조정희
920 성장동력산업 인체에 무해한 비불소계 소수성 세라믹 코팅 기술 개발 1도토리 국준아
919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정책 혼선 속 가격 상승세 지속 1도토리 조정희
918 성장동력산업 IPMI 서버용 펌웨어 보안 분석 기술 1도토리 조정희
917 성장동력산업 수중에서 작동하는 무전원 센서 원천기술 개발 1도토리 국준아
916 성장동력산업 美 바이든 집권 기간 미·중 전략 경쟁 및 한국의 선택 연구 7도토리 조정희
915 성장동력산업 최근 인플레이션 논쟁의 이론적 배경과 우리경제 내 현실화 가능성 점검 3도토리 조정희
914 성장동력산업 가상공학을 활용한 수소자동차용 연료전지 촉매 설계 1도토리 국준아
913 성장동력산업 전자기기의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 찾았다 1도토리 국준아
912 성장동력산업 유럽연합 탄소국경조정 메커니즘에 대한 통상법적 분석과 韓 산업에의 시사점 3도토리 조정희
911 성장동력산업 접고 구겨도 되는 태양전지 시대를 연다 1도토리 국준아
910 성장동력산업 투명망토 한 걸음 더 현실로… 메타물질 대량 제조법 개발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