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일본 Cobot 시장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46
용량 50.2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일본 Cobot 시장 동향.pdf 50.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7-04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시장 동향

 

야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2020년의 일본 국내의 협동로봇 시장규모는 출하대수를 기준으로 3136대였고, 금액 기준으로 108억6100만 엔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의 출하대수는 전년 대비 18% 증가한 3694대로 나타났다. 2020년은 미중 무역마찰의 영향 및 세계적인 서플라이 체인에 있어서, 반도체 등의 부품 부족이 생산 활동에 끼친 영향이 표면으로 드러났다. 동시에, 코로나 감염증의 확산 방지를 위한 이동이 제한되었던 것으로 인해 로봇의 설치 등에 관한 영업활동이 어려웠다.

 

수요자는 일손부족이나 감염증 예방을 위하여 ‘사회적 거리두기’의 유지, 생산안정화를 향한 BCP 대책 등, 협동로봇의 도입을 통한 자동화의 니즈가 높았음에도, 경기 악화로 인하여 설비투자에 주저함이 있었던 것도 시장 저조의 배경에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업계별로 보면 반도체 등의 디지털 분야, 식품, 화장품, 의료품 산업 쪽은 견고하게 성장했음에도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 산업 쪽은 큰손 고객들의 부품 부족 등의 원인으로 생산 계획이 미뤄지는 문제로 협동로봇의 도입이 감소했다. 2020년 가을 이후는 점차적으로 시장의 수요가 회복되었음에도, 한 해를 통틀어 봤을 때는 전년을 밑도는 결과가 되었다. 2021년은 점진적으로 수요가 회복되기 시작하면서 업계 내 도입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입 동향

 

협동로봇이 포함된 산업용 로봇(HS Code 8479.50)의 2022년 일본 전체 수입액은 전년 대비 약 5.94% 증가한 85억4000만 엔을 기록했다. 최대 수입국가는 중국으로 2022년 수입액이 약 26억 엔 규모로 전체 시장에서 31%를 차지했다. 2위 수입국은 덴마크로 수입액은 14억 엔 규모로 2021년과 대비 27%로 크게 증가했다. 한편, 대한 수입규모는 전년 대비 13% 증가한 9억5000만 엔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최근 3년간 국가별 수입 동향(HS Code 8479.50 기준)>

(단위: 천 엔, %)

순위

수입국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2/'21

2020

2021

2022

2020

2021

2022

-

전체

8,926,636

8,061,738

8,540,799

-

-

-

5.94

1

중국

1,770,528

2,934,588

2,624,509

20%

36%

31%

-10.57

2

덴마크

853,153

1,157,168

1,466,696

10%

14%

17%

26.75

3

대만

2,105,487

1,053,538

959,897

24%

13%

11%

-8.89

4

한국

657,843

840,239

951,423

7%

10%

11%

13.23

5

미국

714,524

496,217

579,908

8%

6%

7%

16.87

6

폴란드

873,456

320,904

482,040

10%

4%

6%

50.21

7

독일

403,381

293,650

409,602

5%

4%

5%

39.49

8

프랑스

557,455

73,074

174,803

6%

1%

2%

139.21

9

영국

216,415

53,741

186,096

2%

1%

2%

246.28

10

캐나다

65,578

167,506

180,067

1%

2%

2%

7.50

[자료: 야노경제연구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8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차 및 배터리분야_美, 유럽 양극재 시장에 증설 경쟁 본격화 5도토리 강정훈
58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바이오 및 빅데이터분야_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 발전 방향 5도토리 강정훈
58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상반기 수입규제 분석 및 전망 11도토리 강정훈
583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COVID-19 전·후 수출 변화상 조사 3도토리 강정훈
583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무역업계 금융애로 변화추이 5도토리 강정훈
58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희토류 주요국 영구자석 관련 동향 및 시사점 11도토리 강정훈
58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 ESG 트렌드 및 공급망에 주는 시사점 11도토리 강정훈
583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상반기 中, 남부 지역 경제 동향 5도토리 강정훈
58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7, 8月 세계 게임산업 트렌드 11도토리 강정훈
58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8月 기계산업 통계 11도토리 강정훈
582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2년 北 대외무역 동향 11도토리 장민환
58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국 수소 활용 정책 분석 9도토리 장민환
582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7월 中 수출입 동향 6도토리 장민환
58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수소 산업 시장현황 및 정책과제 9도토리 장민환
582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미국 제조역량 발전을 위한 기술개발 행정명령 발표 5도토리 장민환
582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소비재 수출 분석 및 시사점 5도토리 장민환
582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中, 5G 메시징 망단 협업강화 고시 초안 발표 5도토리 장민환
582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금리 기조의 기업부채 및 구조적 전환 가능성 5도토리 민준석
581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위안화 국제화 현황 3도토리 민준석
581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美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움직임 3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