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일본_전기차용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51
용량 64.41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일본_전기차용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 동향.pdf 64.4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7-04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일본 자동차 산업 동향 및 전기차 동향

 

일본의 스가(菅) 전 총리는 2021년 1월 18일 시정 방침 연설에서 "2035년까지 신차 판매로 전동차 100%를 실현하겠다"고 선언해, ‘2050년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2021년 6월에 공표한 ‘녹색성장전략’ 안에서 전동차 보급 정책으로, ▲2030년까지 상용 소형차 신차 판매의 20~30%를 전동차(EV, PHEV, HEV, FCV)*로 한정, ▲2035년까지 승용차 신차 판매의 100%를 전동차로 한정, ▲2040년까지 상용 소형 신차 판매의 100%를 전동차 및 탈탄소 연료차(합성연료[CO₂ 배출이 실질 제로인 연료]를 사용한 차)로 한정 등 2035년 전후를 목표로 EV화 추진 정책 및 규제 도입으로 탈탄소 사회 실현을 향한 정책을 내놓았다. 

주: * 자동차 분류 - 내연기관차(ICE, Internal Combustion Engine): 내부 연소 엔진을 장착해 휘발유나 경유를 이용하는 차량

- 전기차(BEV, Battery Electric Vehicle = EV): 100% 전기를 이용하는 차량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PHEV, Plug-in HEV): 외부 충전이 가능한 큰 배터리를 장착해 전기 사용량을 극대화한 차량

- 하이브리드카(HEV, Hybrid Electric Vehicle): 주행 상황에 따라 연료와 전기를 조합해 운영하는 차량

- 수소연료배터리차(FCEV, Fuel Cell Electric Vehicle): 수소와 산소의 화학반응에 의해 자체적으로 전력을 만들어 주행하는 차량

 

경제산업성이 2023년 4월 5일에 발표한 ‘자동차 분야의 탄소 중립을 향한 국내외 동향에 대해’ 자료에 따르면, 2022년 세계 자동차 판매량은 약 7870만 대로 이 중 내연기관차 (ICE)가 80%인 6262만 대가 팔려 시장을 독점하고 있으나 전기차(EV)도 약 10%(약 774만 대)를 차지해 약진 중이다. 중국(25.2%)과 유럽(19.9%)이 전기차 시장을 견인해 코로나19 영향으로 실시한 우대 조치 강화가 시장 확대를 증가시킨 요인으로 작용해 특히 유럽에서의 판매 대수가 급속히 증가 추세다.

 

일본은 2022년 출시된 닛산 ‘사쿠라’, 미쓰비시 ‘eK크로스 EV’ 등 경차 EV가 호조를 보였으나 세계 판매량 점유율은 2.2%에 그쳐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그러나 향후 2030년 EV 및 PHV 20~30%, FCV 3%, HEV 30~40% 증가를 2035년 전동차 (EV, PHV, FCV, HEV) 100%를 목표로 정책을 시행중이다.

 

<(좌) 파워트레인 별 판매 구성비 및 (우) 주요국 전기차 판매 비중 추이>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8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차 및 배터리분야_美, 유럽 양극재 시장에 증설 경쟁 본격화 5도토리 강정훈
58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바이오 및 빅데이터분야_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 발전 방향 5도토리 강정훈
58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상반기 수입규제 분석 및 전망 11도토리 강정훈
583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COVID-19 전·후 수출 변화상 조사 3도토리 강정훈
583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무역업계 금융애로 변화추이 5도토리 강정훈
58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희토류 주요국 영구자석 관련 동향 및 시사점 11도토리 강정훈
58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 ESG 트렌드 및 공급망에 주는 시사점 11도토리 강정훈
583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상반기 中, 남부 지역 경제 동향 5도토리 강정훈
58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7, 8月 세계 게임산업 트렌드 11도토리 강정훈
58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8月 기계산업 통계 11도토리 강정훈
582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2년 北 대외무역 동향 11도토리 장민환
58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국 수소 활용 정책 분석 9도토리 장민환
582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7월 中 수출입 동향 6도토리 장민환
58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수소 산업 시장현황 및 정책과제 9도토리 장민환
582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미국 제조역량 발전을 위한 기술개발 행정명령 발표 5도토리 장민환
582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소비재 수출 분석 및 시사점 5도토리 장민환
582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中, 5G 메시징 망단 협업강화 고시 초안 발표 5도토리 장민환
582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금리 기조의 기업부채 및 구조적 전환 가능성 5도토리 민준석
581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위안화 국제화 현황 3도토리 민준석
581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美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움직임 3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