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싱가포르 전자산업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37
용량 27.81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싱가포르 전자산업 동향.pdf 27.8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7-05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싱가포르는 지리적 장점을 살려 물류 허브로서 글로벌 공급망 체인에서의 자리를 유지, 석유제품 트레이딩과 금융시장까지 연결자 역할을 해왔다. 글로벌 반도체 기업 유치 등 제조시장에서의 가치사슬 확보를 위해 서로 노력하고 있다. 한편, 코로나19와 러-우크라 사태를 겪으며 글로벌 경제 불안정성으로 인해 여러 나라의 산업에서 공급망 문제가 발생했는데, 싱가포르는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산업에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지 생산 및 교역 동향을 위주로 살펴보고자 한다.

 

싱가포르 주요 교역현황

싱가포르는 중계무역을 주로 하는 국가인 만큼 주요 수입품과 주요 수출품은 거의 같다. 특히, 2022년 기준 싱가포르의 최대 수출입 품목은 반도체인 ‘전자집적회로’이다. GTA 통계에 따르면, 2022년 싱가포르의 대전세계 상위 수입품은 전자집적회로(HS 8542), 석유와 역청유(원유제외)(HS 2710), 석유와 역청유(원유)(HS 2709)이며, 상위 수출품은 전자집적회로(HS 8542), 석유와 역청유(원유외)(HS 2710), 기타(9893)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2022년 기준 총 수출액(5,145억 미국달러)중 수출 1위품목인 전자집적회로(HS 8542)가 차지하는 비중은 24%이며 석유(HS 2710)의 경우 12%다. 2022년 총 수입액(4,752억 미국달러) 중 수입 1위품목인 전자집적회로(HS 8542)의 비중은 23%이고 석유(HS 2710)는 13%를 차지했다. 이처럼 싱가포르의 주된 교역품 중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큰 편이다.

 

<최근 싱가포르의 대전세계 수출 상위 5개 제품(연도별)>

(단위 : US$억)

품목명(HS코드)

2020

2021

2022

2023.05

전자집적회로(8542)

864

1,123

1,221

393

석유와 역청유(원유외)(2710)

275

413

634

234

기타(9893)

180

214

319

118

반도체디바이스(8486)

113

177

212

83

금(7108)

158

150

155

59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8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차 및 배터리분야_美, 유럽 양극재 시장에 증설 경쟁 본격화 5도토리 강정훈
58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바이오 및 빅데이터분야_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 발전 방향 5도토리 강정훈
58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상반기 수입규제 분석 및 전망 11도토리 강정훈
583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COVID-19 전·후 수출 변화상 조사 3도토리 강정훈
583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무역업계 금융애로 변화추이 5도토리 강정훈
58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희토류 주요국 영구자석 관련 동향 및 시사점 11도토리 강정훈
58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 ESG 트렌드 및 공급망에 주는 시사점 11도토리 강정훈
583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상반기 中, 남부 지역 경제 동향 5도토리 강정훈
58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7, 8月 세계 게임산업 트렌드 11도토리 강정훈
58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8月 기계산업 통계 11도토리 강정훈
582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2년 北 대외무역 동향 11도토리 장민환
58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국 수소 활용 정책 분석 9도토리 장민환
582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7월 中 수출입 동향 6도토리 장민환
58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수소 산업 시장현황 및 정책과제 9도토리 장민환
582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미국 제조역량 발전을 위한 기술개발 행정명령 발표 5도토리 장민환
582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소비재 수출 분석 및 시사점 5도토리 장민환
582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中, 5G 메시징 망단 협업강화 고시 초안 발표 5도토리 장민환
582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금리 기조의 기업부채 및 구조적 전환 가능성 5도토리 민준석
581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위안화 국제화 현황 3도토리 민준석
581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美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움직임 3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