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폴란드 수소 산업 및 정책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38
용량 56.26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폴란드 수소 산업 및 정책 동향.pdf 56.2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7-05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아조티그룹(Azoty Group)라는 회사가 폴란드에 있다. 이 회사는 질소 및 복합비료를 주로 생산하는 회사로 EU 내에서는 2위의 생산량을 자랑하고 있다. 다만 이 질소비료를 생산하기 위해 폴란드 연간 가스 소비량의 약 15%인 23억㎥을 소비하며 이 부산물로 연간 42만8000톤의 수소를 생산하고 있다. 아조티그룹 외에도 폴란드 최대 석유화학 회사인 올렌(Orlen)도 정유 과정에서 부생수소를 19만 톤 생산하고 있다. 이런 대형 플랜트 산업에서 생산되는 개질수소와 부생수소는 약 130만 톤에 달하며 독일 250만 톤, 네덜란드 150만 톤에 이어 폴란드는 EU 수소 생산 국가 중 3위를 차지하고 있다.

 

<폴란드 수소 정책 2030 홍보 이미지>

Obraz zawierający tekst, zrzut ekranu, krąg, Grafika Opis wygenerowany automatycznie

 

 

이처럼 폴란드 산업에서 수소는 새로이 등장한 주제는 아니다. 다만 생산되고 있는 수소가 이산화탄소 발생을 동반하는 그레이수소이기 때문에 폴란드 정부는 그린수소 생산을 통한 에너지 산업의 탈탄소화와 수소 밸리 육성으로 수소 생태계 조성을 지향하고 있다. 이것은 폴란드 정부가 2021년 12월 개정 발표한 ‘폴란드 탄소 정책 2030’에 잘 담겨있다(정식 명칭: 2040년 전망을 포함한 2030년까지의 폴란드 수소 정책, Polska Strategia Wodorowa do roku 2030 z perspektywą do roku 2040). 이 정책은 6가지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폴란드 수소 전략 2030(2021년 12월 개정)>

'폴란드 수소 전략 2030' 목표

1

에너지 및 난방 산업 수소 기술 도입

2

운송 분야 대체 연료로서 수소 사용

3

산업의 탈탄소화 지원

4

신규 설비를 통한 수소 생산

5

효율적이고 안전한 수소 운송, 유통 및 저장

6

안정적인 규제 환경 조성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8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차 및 배터리분야_美, 유럽 양극재 시장에 증설 경쟁 본격화 5도토리 강정훈
58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바이오 및 빅데이터분야_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 발전 방향 5도토리 강정훈
58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상반기 수입규제 분석 및 전망 11도토리 강정훈
583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COVID-19 전·후 수출 변화상 조사 3도토리 강정훈
583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무역업계 금융애로 변화추이 5도토리 강정훈
58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희토류 주요국 영구자석 관련 동향 및 시사점 11도토리 강정훈
58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 ESG 트렌드 및 공급망에 주는 시사점 11도토리 강정훈
583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상반기 中, 남부 지역 경제 동향 5도토리 강정훈
58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7, 8月 세계 게임산업 트렌드 11도토리 강정훈
58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8月 기계산업 통계 11도토리 강정훈
582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2년 北 대외무역 동향 11도토리 장민환
58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국 수소 활용 정책 분석 9도토리 장민환
582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7월 中 수출입 동향 6도토리 장민환
58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수소 산업 시장현황 및 정책과제 9도토리 장민환
582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미국 제조역량 발전을 위한 기술개발 행정명령 발표 5도토리 장민환
582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소비재 수출 분석 및 시사점 5도토리 장민환
582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中, 5G 메시징 망단 협업강화 고시 초안 발표 5도토리 장민환
582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금리 기조의 기업부채 및 구조적 전환 가능성 5도토리 민준석
581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위안화 국제화 현황 3도토리 민준석
581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美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움직임 3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