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한·미 금리차이 역전 특징과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안소영 조회수 37
용량 433.14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한·미 금리차이 역전 특징과 분석.pdf 433.1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7-10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최근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한 미연준의 가파른 금리인상이 이어지면서 우리나라 금리수준보다 미국 금리가 더 높은 내외금리차 역전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과거에도 이러한 현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나기 는 하였으나 최근의 경우 내외금리차의 괴리폭이 가장 크다. 더욱이 현재 우리나라의 국내 물가나 성장 률 전망 등 경제 여건을 감안할 때 정책금리의 인상이 쉽지 않은 상황인 데 반해 미연준은 금년 말까지 한 두 차례의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예고하고 있어 내외금리차의 역전 흐름은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한ㆍ미간 내외금리차의 역전 현상으로 우리나라로부터의 자본유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이 상당기간 지속될 경우 거주자의 외자조달비용의 상승으로 외자조 달행태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200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 우리나라의 내 외금리차 역전현상이 나타난 시기별로 거주자와 비거주자, 그리고 주식 및 채권 투자자금으로 세분하 여 자본유출입을 분석해 보았다. 또한 금리역전 현상으로 외자조달이 필요한 금융투자업계 등 경제주 체의 외자조달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이와 관련한 시사점을 간략히 언급하였다. 최근 내외금리차 역전폭이 가장 최대 현재 미연준의 정책금리인 페더럴펀드금리(상단)가 5.25%에 달하고 있는데 반해 우리나라의 기준 금리는 3.5% 수준을 보이고 있다. 원화금리 수준이 미달러화 금리보다 낮은 내외금리차 역전현상은 2000년대 이후 최근까지 4차례 있었던 것으로 관찰된다. 아래의 및 에서 보는 바와

스크린샷 2023-07-12 151235.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856 성장동력산업 [기업분석] 2차전지 관련 기업분석 11도토리 노민우
58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덴마크, 양자 기술 전략 분석 5도토리 노민우
58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日 VOD 시장 동향 5도토리 노민우
58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M&A 현황과 추세 7도토리 노민우
58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공매도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11도토리 노민우
58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차세대6G 통신의요구사항 5도토리 노민우
58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분야_日 인공지능 진출 전략 7도토리 민준석
584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아르헨티나 시장 동향 7도토리 민준석
58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감긍속분야_포스코 조강생산량 5,200만톤 5도토리 민준석
58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전기전자 주간 도표 및 전망 5도토리 민준석
58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분야_중국의 철강 부가가치 전망 5도토리 민준석
58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분야_고무 대신 두리안 5도토리 민준석
58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주간 동향 이슈 5도토리 민준석
58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중국 내 전기차 가격 인하 경쟁 심화 3도토리 민준석
58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IT 수요 전망 9도토리 민준석
58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디어분야_OTT와 극장은 다른 플랫폼 9도토리 민준석
584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12개월 Top Pick SKT로 유지 5도토리 민준석
58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월간 부동산 시장 지표 7도토리 민준석
58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차전지분야_양극재 수주 기대 3도토리 민준석
58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차 및 배터리분야_美, 유럽 양극재 시장에 증설 경쟁 본격화 5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