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실감콘텐츠 글로벌 동향분석(제4호)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39
용량 3.1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실감콘텐츠 글로벌 동향분석(제4호)_0830.pdf 3.1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8-30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목 차 ]

 

1. 이슈 포커스 : 코로나19 시대, 실감 기술을 활용한 박물관 전시 동향과 기대효과

2. 트렌드 브리프 Trends Brief
 1) 칸 영화제 XR 2021...서사 중심의 XR 콘텐츠 발전의 중요 견인차
 2) 스토리텔링 기반 VR 콘텐츠, 장소 기반 엔터테인먼트 시장에서 수익화 기회 모색해야
 3) 코로나19 팬데믹이 촉발한 실감콘텐츠 시장 성장세...주요 시장 조사 기관의 시장 규모 및 성장 추이 전망

 


 

1. 박물관 전시업계의 AR/VR 도입 배경박물관 진영, 코로나19 이후 뉴노멀 정립 과정에서 AR/VR 전시에 주목▶▶ 오프라인 전시를 기본으로 하는 박물관은 코로나19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업종중 하나로,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의 일환으로 전 세계 박물관들은 상당 기간 문을닫아야 했으며 방문객과 매출도 대폭 감소• 2020년 UNESCO의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박물관의 80% 이상이 짧게는 1달에서 길게는 1년 가까이 휴관했으며, 박물관의 방문객과 매출도 2019년과 비교해 대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코로나19 시대, 실감 기술을 활용한박물관 전시 동향과 기대효과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방문객과 매출이 급감한 박물관의 뉴노멀 정립이 시급한 가운데, 예술 작품에 실감 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전시 유형을선보이는 기업들이 잇따라 등장하며 박물관 진영의 주목을 받고 있다.프랑스의 Lucid Realities와 Emissive, 호주의 Grand Experiences 등은 AR/VR 등의 실감 기술을 활용해 관람객들이 전시에 직접 참여하고 소통할 수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체험형 전시가 기존에 박물관을 찾지않던 집단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박물관의 저변도 한층 확대될 전망이다.Issue Focus 2021.08.3005실감콘텐츠 글로벌 동향분석• UNESCO의 설문조사에 응한 회원국 중 국립 박물관의 방문객이 41~60% 감소했다고응답한 국가는 16개국, 61~80% 감소했다고 응답한 국가는 25개국에 달했으며,81~90%와 90~100% 감소했다는 응답도 각각 17개국과 16개국에 달함• 2021년 조사에서도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으로 코로나19가 재확산되면서 3월까지 37개 UNESCO 회원국의 박물관이 휴관한 것으로 나타남• 2020년 5월 국제박물관협의회(ICOM)의 조사에서는 전 세계 1,600개 박물관 중 13%가 영구 폐관할 계획이며 19.2%는 운영 지속 여부가 불확실하다고 응답▶▶ 박물관들은 생존을 위해 온라인 작품 전시 등 비대면 활동을 늘리는 한편, 오프라인 현장에서도 AR과 VR 등 실감 기술을 활용한 몰입형 전시를 통해 기존 전시와차별화를 꾀하며 뉴노멀 정립을 추구• 코로나19 기간 중 주요 박물관들은 온라인 전시를 시작했으며, 전 세계 박물관의 작품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Google Arts and Culture’ 서비스는 2011년 초기에는 17개박물관과 미술관으로 시작해 2020년에는 80여 개국 2천여 곳의 작품을 전시• 박물관의 온라인화는 불가피한 흐름이기는 하나 동시에 오프라인 경험을 근본적으로대체할 수는 없기에, 박물관들은 디지털 서비스가 보편화된 코로나19 시대에도 본연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 중• AR/VR 기술을 접목한 전시는 그 대표적인 사례로, 이러한 추세를 반영해 AR/VR 분야의 여러 스타트업들도 새로운 수익모델로서 박물관 전시 시장에 주목하고 박물관과의협업에 나서고 있음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57 성장동력산업 극저온 냉동기 기술 및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
856 성장동력산업 비청산 장외파생상품거래 개시증거금 제도 시행에 대한 제언 1도토리 조정희
855 성장동력산업 신과학기술협력 방향: 한·미 정상회담 과학기술의제를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854 성장동력산업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지원을 통한 환경오염 극복사례 연구 1도토리 조정희
853 성장동력산업 CMF디자인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1도토리 국준아
852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녹색 경제 1도토리 조정희
851 성장동력산업 국내 촉매 산업의 기술 동향 1도토리 국준아
850 성장동력산업 넷제로 달성을 위한 기술 이전 1도토리 조정희
849 성장동력산업 전력반도체 최신 기술 이슈 및 향후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48 성장동력산업 태국 저작권 월간 동향 6월호 1도토리 조정희
847 성장동력산업 엑소브레인 한국어 구어체 형태소 분석 및 개체명 인식 기술 v1.0 1도토리 조정희
846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유통물류 기술 동향과 산업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45 성장동력산업 탄소배출권과 2050 LEDS의 기대효과 및 발전방안 1도토리 조정희
844 성장동력산업 주력가공장비용 핵심부품 기술동향 및 개발방향 1도토리 국준아
843 성장동력산업 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 기술 및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842 성장동력산업 친환경 라이오셀(Lyocell) 섬유 산업동향 3도토리 국준아
841 성장동력산업 디스플레이용 초소형 마이크로 LED 기술 동향 및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840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로봇화 일자리 미래와 대응책 7도토리 국준아
839 성장동력산업 미중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한 주요국 산업정책 방향 3도토리 국준아
838 성장동력산업 주요 선진국들의 탄소 중립을 위한 정책 현주소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