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금리: 10월 추가 금리인상 우려는 일단 해소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35
용량 435.36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금리 10월 추가 금리인상 우려는 일단 해소.pdf 435.3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8-30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美 국채 10년 금리는 연내 테이퍼링 가능성을 반영하며 1.3%대로 상승􀁺 FOMC 의사록에 따르면 다수 위원들이 노동시장 개선과 인플레이션 압력, 정책금리 인상 시점에 대한 유연성 확보 등으로 연내 테이퍼링 시작에 동의╺ 자산매입 속도도 종전 테이퍼링 보다 빠르게 진행해 9개월 정도로 단축될 가능성􀁺 뉴질랜드 중앙은행(RBNZ)은 정책회의 당일 경제봉쇄조치가 시작된 점을 감안해금리를 동결했으나 차기 회의에서 50bp 인상까지도 고려하고 있음을 시사╺ RBNZ는 경제환경은 이제 강력한 완화정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향후 통화정책결정과 코로나 감염 확산, 봉쇄조치와의 연계성은 약화될 것이라 언급􀁺 대외금리는 연준의 연내 테이퍼링 가능성을 반영해 상승했으나,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안전자산선호와 델타변이 확산으로 인한 불확실성 등으로 상승폭 제한􀂄 국내 금리는 8월 금통위의 금리인상에도 불구, 총재의 매파적 스탠스 약화로 반락􀁺 8월 금통위는 경기회복세 지속, 물가 상승압력 확대, 금융불균형 누증을 감안하여기준금리를 인상했으며, 동 결정에서 주상영 위원이 금리동결 소수의견을 제시􀁺 한은 총재는 경제의 기조적인 회복흐름은 유효하나 델타변이 확산이 소비에 영향을미칠 수밖에 없고 추가 인상은 경기개선에 맞춰 점진적으로 진행할 것임을 언급􀁺 특히 향후 금리 인상은 코로나 전개상황과 성장경로, 연준의 정책변화, 금융불균형상황을 감안해 결정하겠다고 언급해 금융불균형에 대한 우선순위도 다소 후퇴􀁺 국채 금리는 8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한 경계심으로 상승한 후 한은 총재의매파적 스탠스 약화로 연속적인 금리인상에 대한 우려가 해소되며 재반락금 융 시 장 모 니 터제11권18호 2021.8.30~9.12 13∎ 한국은행 경제전망 비교 ∎ 국내 성장률과 물가상승률 및 기준금리024681012GDP민간소비설비투자건설투자상품수출상품수입물가경제전망(5월)경제전망(8월)(%)01234-4-202468102011 2013 2015 2017 2019 2021CPI GDP 기준금리(우)(Y oY, %) (%)자료 : 한국은행 경제전망주 : 2021년과 2022년 성장률 및 물가 전망은 당 연구소 전망 기준자료 : 한국은행􀂄 국내 추가 기준금리 인상 시점은 연준 통화정책과 금융불균형 전개 상황이 좌우􀁺 금통위는 대내외 코로나 상황 장기화와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시계 조정, 선진국중앙은행의 사후대응적 정상화 등으로 금번 인상 이후 점검 기간을 가질 것􀁺 특히 7월 회의에서는 내년 초 테이퍼링 가정 하에 연준발 금융불안 확대 가능성을고려해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상하겠다는 입장이었으나, 연준 테이퍼링 시점과속도가 당겨질 가능성이 높아져 한은의 추가 인상 시점에도 영향􀁺 또한 선진국 중앙은행이 지표 확인 후 사후대응적 정상화를 고수하는 상황에서델타변이 확산이 이어지는 가운데, 한은이 빠르게 기준금리를 인상하기에도 부담􀁺 한편 내년 2/4분기에는 신임 한은 총재 부임과 신정부 출범으로 통화정책 휴지기가될 수 있어 정책실기 우려를 감안할 때 늦어도 1월 안에 추가 인상 예상􀁺 금번 인상과 가계부채 대책에도 금융불균형 문제가 지속된다면 11월 금리인상이예상되나 연준 테이퍼링에 따른 금융불안 확대시 시점은 1월로 이연될 전망􀂄 국내 이벤트 확인 이후 연준 테이퍼링 논의를 주시하며 이에 연동된 흐름 보일 전망􀁺 연준 내 조기 테이퍼링에 대한 의견이 확대되는 가운데, 결과기반의 정상화 전략을감안할 때 차주 발표되는 고용지표 개선 정도가 테이퍼링 시점을 좌우할 전망╺ 고용 호조 지속시 11월 테이퍼링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나 시점이 당겨진다면 연준이국채 순발행의 절반 이상을 매수하고 있기 때문에 금리 상승을 자극할 가능성􀁺 국내는 1% 이상의 기준금리를 선반영한 상황에서 인상 속도에 대한 기대 조정으로3년 금리는 상승압력이 제한되겠지만, 장기물은 대외요인에 연동한 흐름이 예상╺ 국고채 3년, 10년 금리는 각각 1.30%~1.50%, 1.85%~2.10% 범위로 전망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37 성장동력산업 유럽의 탄소 가격 책정에 대한 과제와 전망 1도토리 조정희
836 성장동력산업 위기 속에서 엿본 우리 농업과 농촌의 가능성 1도토리 국준아
835 성장동력산업 AI기반 관리 표준안 최근 경향 ETSI-ZSM과 NWDAF 3도토리 조정희
834 성장동력산업 농업 인력 정책, 틀 전환 필요 1도토리 국준아
833 성장동력산업 농업법인제도, 양적·질적 내실화가 필요하다 1도토리 국준아
832 성장동력산업 용산역 꽃가게와 화훼소비 1도토리 국준아
831 성장동력산업 자율형 네트워크를 위한 강화학습 연구 현황 3도토리 조정희
830 성장동력산업 공공비축미의 순기능 1도토리 국준아
829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업과 농기계산업 이슈 진단 1도토리 국준아
828 성장동력산업 산림의 공익가치와 지속가능한 임업 1도토리 국준아
827 성장동력산업 중국 tv 및 인터넷 예능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826 성장동력산업 기후변화 대응은 먼 미래 일이 아니다 1도토리 국준아
825 성장동력산업 외국과 베트남의 드라마 협력 제작 사례 3도토리 조정희
824 성장동력산업 DAF 정보수집 기술 1도토리 조정희
823 성장동력산업 농산물 디지털 유통의 정점, 도매시장이어야 한다 1도토리 국준아
822 성장동력산업 기계학습 기반의 텍스트 요약 기술 1도토리 조정희
821 성장동력산업 지속가능한 業의 진화를 위한 글로벌 B2B 기업들의 전략 분석 1도토리 조정희
820 성장동력산업 주요 국가들의 기후변화 대응책이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 3도토리 조정희
819 성장동력산업 2021년 2분기 수출실적 평가 및 2021년 3분기 수출 전망 1도토리 조정희
818 성장동력산업 소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 저메탄사료만이 해결책인가?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