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코리아 디스카운트에 대한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정한솔 조회수 39
용량 490.98K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코리아 디스카운트에 대한 분석.pdf 490.9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2-16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26 

- 차례 -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현황 

Ⅳ.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 분석
  1. 코리아 디스카운트 영향 요인 평가
  2. 코리아 디스카운트 원인 분석

Ⅴ. 맺는말


- 요약 - 

‘코리아 디스카운트(Korea discount)’는 한국 상장기업 주식의 가치평가 수준이 유사한 외국 상장기업에 비해 낮게 형성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2000년대 초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해소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한국 주식시장의 취약성을 집약적으로 드러내는 표현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한국 주식시장이 선진 주식시장으로 도약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고는 45개 주요국 상장기업 자료를 바탕으로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현황과 원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현저하며 지속적으로 관찰된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0년간 국내 상장기업의 주가-장부가 비율은 선진국의 52%, 신흥국의 58%에 불과하며, 분석대상 45개국 중 41위에 해당한다. 또한 의료섹터를 제외한 모든 섹터에서 일관되게 관찰된다. 회귀분석을 통해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미흡한 주주환원 수준, 저조한 수익성과 성장성이 가장 유력한 원인인 것으로 추정된다. 설명력은 상대적으로 낮으나 취약한 기업지배구조, 회계 불투명성, 낮은 기관투자자 비중 역시 기업가치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난다. 한편, 단기투자 성향과 지정학적 위험이 코리아 디스카운트에 영향을 준다는 근거는 확인되지 않았다. 

주주환원 정책, 기업지배구조, 회계투명성은 이미 오랫동안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던 요인이며 관련 제도와 관행의 개선을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히 주주환원 수준과 기업지배구조 평가에서 주요국과 격차는 여전히 현저하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고 한국 주식시장이 질적으로 새로운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실효성 있는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법제도적 개선뿐만 아니라 기업의 인식과 관행의 개선, 그리고 투자자의 적극적인 역할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화면 캡처 2023-02-21 143729.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4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지식재산권 이슈 분석 9도토리 노민우
54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의 경제 현황 및 정책 분석 9도토리 노민우
54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반도체법 보조금 지원 방안 주요 내용 분석 5도토리 노민우
544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3월 둘째주 워싱턴 이슈 분석 5도토리 노민우
544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3월 산업기술 이슈 분석 7도토리 노민우
54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NFT 산업 전략 분석 3도토리 노민우
544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프랑스 정보통신기술 시장 동향 7도토리 노민우
544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아랍에미리트 정보통신기술 시장 동향 7도토리 노민우
544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미국 OTT 해외진출 분석 7도토리 노민우
54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동향 7도토리 노민우
54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탄소중립 위해 기후금융 발전 과제에 대한 분석 7도토리 노민우
54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챗 GPT 관련 분석 7도토리 김민성
54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웹 3.0 산업 분석 7도토리 김민성
54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U 역외 보조금 규제 분석 7도토리 김민성
54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의 에너지절약, 저탄소 제품 인증 제도에 대한 분석 5도토리 김민성
54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수출제한 기술 목록에 대한 분석 5도토리 김민성
543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2월 소프트웨어 중심 이슈 분석 9도토리 김민성
54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EU, 영국의 사이버 보안 전략 분석 7도토리 김민성
543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 오수처리 산업 동향 7도토리 김민성
543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2년 중국 남부지역 경제 동향 5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