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서비스플랫폼 분야_ 전문인력 연계지원 서비스 플랫폼 시장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전아람 조회수 47
용량 2.02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서비스플랫폼 분야_ 전문인력 연계지원 서비스 플랫폼 시장분석.pdf 2.0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1-11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44 

전략품목 정의 및 범위
▪ 전문인력 연계지원 서비스 플랫폼은 모바일 앱이나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IT 기기를 활용한 노동력에
대한 P2P 거래로써 플랫폼의 신뢰도 제고를 위해 공급자와 수요자를 상호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보유하고 서비스 공급자가 자신이 일하고 싶은 시간 및 기간을 선택할 수 있는 시간적 유연성이
있으며 서비스 공급자가 소유한 도구와 자산을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 IT 개발이나 번역 같은 분야에서 신사업개발, 전략 수립, 마케팅, 세무, 법무 등의 더욱 세분되고
전문화된 업무 영역으로 확대


전략품목 관련 동향
◎ 시장전망 및 제품 동향
Ÿ (시장전망) `21년 3,063억 달러였던 인력 연계 지원 플랫폼 세계시장 규모는 `26년 6,537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Ÿ (제품동향) 특정 영역에 특화된 전문가 풀을 확보하고 연계하는 플랫폼과 직접 플랫폼에서 기업체가 원하는
전문가를 인증하고 선택해서 계약하는 것 까지, 진행하는 One Stop Service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플랫폼
노동자의 고용보험 등의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하기 위한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플랫폼들이 등장하기 시작함
◎ 기술개발 및 플레이어 동향
Ÿ (기술동향) 인공지능을 활용한 지능형 매칭 기술, 전문가에 대한 인증 기술, 전문가와 직접 계약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 등이 도입하고 개발되는 추세
Ÿ (플레이어) Upwork (미), Gigster(미), Timee(일), Wayhome(영), Coverhero(호), TaskRabbit(미)
Ÿ (중소기업) 크몽, 위시캣, 이랜서, 숨고, 동네알바, 동아엑스퍼트, 탤린트뱅크 등
◎ 핵심기술
Ÿ 정보보안 기술
Ÿ AI기반 전문인력 추천기술
Ÿ 위치기반 지능형 매칭 기술
Ÿ 전문인력 인증 기술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 이미 선점한 국내 및 해외 글로벌기업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특화된 전문영역 중심으로 서비스를
특화하고, 전문인력의 전문성을 사전에 검증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
➜ 플랫폼에서는 단지 매칭 후 임금 제공 서비스 뿐 아니라, 고용과 관련된 전문인력에 대한 케어를 위한
다양한 서비스(고용보험, 세금 관리 지원 등)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
➜ 고객이 요구하는 업무를 퀄리티 있게 해낼 수 있는 전문가를 자동으로 매칭하여 고객의
재요청(repeated order)를 받을 수 있는 정도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지능형 매칭 기술 확보
필요
➜ 고객사와 전문가의 개별 정보가 오픈되지 않도록 감시하고 막을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개발이 필요

화면 캡처 2023-02-16 162302.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4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웹 3.0 산업 분석 7도토리 김민성
543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U 역외 보조금 규제 분석 7도토리 김민성
54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의 에너지절약, 저탄소 제품 인증 제도에 대한 분석 5도토리 김민성
54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수출제한 기술 목록에 대한 분석 5도토리 김민성
543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2월 소프트웨어 중심 이슈 분석 9도토리 김민성
543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EU, 영국의 사이버 보안 전략 분석 7도토리 김민성
543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 오수처리 산업 동향 7도토리 김민성
543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2년 중국 남부지역 경제 동향 5도토리 김민성
54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펜데믹 이후 중국 소비자 설문조사 보고서 5도토리 김민성
542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사물 인터넷 기술 시장 동향 5도토리 김민성
542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캐나다 정보 통신 기술 시장 동향 5도토리 김민성
542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미국 정보 통신 기술 시장 동향 7도토리 김민성
542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MZ 세대를 위한 기술 9도토리 나혜선
54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2년도 과학기술분야 상위평가 보고서 9도토리 나혜선
54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2년 과학기술통계 분석 9도토리 나혜선
542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2년 국가 과학기술혁신연량 평가 9도토리 나혜선
542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과학기술 빅데이터 구축 및 분석 연구 9도토리 나혜선
542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의 '오픈사이언스의 해' 와 정책적 시사점 3도토리 나혜선
541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데이터보안 시대의 10대 미래유망기술 9도토리 나혜선
541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최근 수출입 특징 및 상반기 수출 동향 3도토리 나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