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시진핑 집권 3기 중국 경제정책 경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7
용량 2.02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시진핑 집권 3기 중국 경제정책 경향.pdf 2.0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27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48 

제1장 시진핑 집권 1‧2기(2013~2022) 경제 평가
1. 집권 1·2기 경제정책
2. 중국 경제구조 변화
3. 대외 통상환경 변화

제2장 시진핑 집권 시기 한중교역의 변화
1. 한중 교역 현황
2. 한중 공급망 구조 변화

제3장 시진핑 집권3기(2023~2027) 경제정책 방향
1. 新 지도부 구성과 특징
2. 주요 경제정책

제4장 시사점 및 대응전략

 

요약

□ 시진핑 집권 1·2기, 중국경제가 뉴노멀(新常態) 시대에 진입하면서 성장동력 전환과 전면적·질적 성장이 시대적 과제로 부상
◦ 시진핑 당 총서기 선출(2012년 11월) 당시 중국경제는 성장세가 둔화되는 동시에 성장의 구조 및 동력이 변화하는 이른바 뉴노멀(新常態) 시대에 진입
◦ 고속성장 과정에서 야기된 사회경제적 불평등 확대, 환경오염, 자원사용량 급증 등 문제가 심화되면서 공평한 분배, 녹색성장, 지역·도농 격차 해소, 생산요소의 효율성 등을 중시하는 ‘전면적 성장’이 과제로 부상

□ 지난 10년간 구조개혁을 통해 경제체질 개선, 적극적인 성장동력 확보, 전면적·질적 성장으로 전환을 추진하면서 내수중심의 경제구도를 구축하기 시작
◦ 노동력·자본의 대규모 투입에 의존한 총수요 위주의 양적 성장에서 벗어나 총요소생산성 제고를 통한 혁신형 경제성장 방식으로 전환
◦ 녹색성장, 지역·도농 협동발전, 공동부유 국정 기조 전면화
◦ 고수준 개방과 경제우군 확보에 무게를 둔 대외개방 정책을 통해 중국 중심의 통상질서를 구축하고 중국의 국제적 위상을 강화
◦ 국내 新수요 발굴을 통해 내부경제의 선순환적 구조를 구축하는데 역점을 둔 “쌍순환” 전략으로 GVC 변화, 국내외 경기하방 압력 등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응

□ 지난 10년간 중국은 G2로 부상하고 국내경제개혁, GVC에서의 상향이동 등 방면에서 큰 성과를 이뤘지만 지역 격차 확대, 대외 불확실성 확대 등 과제 산적
◦ 중국의 GDP 규모 배증, 경제성장의 축은 서비스업·소비로 전환
◦ 미국 주도의 對中 압박은 전면화·진영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코로나 팬데믹을 겪으며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가 확대하고 GVC 재편 가속화

□ GVC내 중국의 역할이 확대되고 역내가치사슬 형성 과정에서 한중 공급망 구조는 저부가가치 중심에서 고부가가치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
◦ 중국은 중간재 위주의 對韓 수입구조를 유지하면서 수입품목 집중도 심화
◦ 중국의 ‘세계 제조업 전진기지’로서의 지위가 약화되면서 지난 10여년간 중국은 아세안과 저부가가치, 韓·日과 고부가가치 산업 중심의 역내가치사슬을 구축
◦ 중국의 기술 자립으로 글로벌시장에서 韓中 수출경쟁 심화 추세

□ ‘원톱·원팀’체계를 구축하면서 집권3기에는 ‘시코노믹스’ 전면 추진 및 한층 강화 예상
◦ 20차 당대회를 계기로 모든 견제세력을 퇴출시키고 ‘원톱·원팀’ 체계 구축
◦ 내년 3월 양회에서 시자쥔(시진핑 측근 그룹)의 경제라인 전면 포진 및 경제 리더십에 대한 대대적인 개편 전망

□ 집권3기에는 ‘수요’와 ‘공급’개혁을 동시 추진하며 질적 성장에 전력
◦ 효율적·지속적 경제성장과 분배 사이의 균형을 이루는 데 초점 맞춰 ‘전면적·질적’ 성장 지속 추진 전망
◦ 대외환경 악화에 대비해 경제안보를 강화하는 한편, 자국 중심의 역내 산업망과 新통상질서 구축에 속력을 낼 것으로 예상
◦ 기술자립과 자립형 공급망 구축에 더욱 집중하며 내수위주의 선순환 경제구도 구축을 가속화할 방침

□ 중국의 산업경쟁력 강화, 자국 우선주의와 공급망 구축에 대비해 경쟁우위 유지, 공급선 다변화 등 다각적인 노력 필요

화면 캡처 2022-12-28 145027.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23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거대언어모델 오픈소스의 기술동향 및 실용방향 11도토리 한상윤
6238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EU 디지털 여권(DPP) 추진 동향 및 시사점 7도토리 한상윤
623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 메타버스 정책 동향 분석 11도토리 한상윤
6236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중국의 게임 규제 우려 정점 지나, 2024년의 방향성 5도토리 한상윤
6235 성장동력산업 [정보동향] 기상기술,정책 전략 현황 5도토리 한상윤
62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금융 - 회색 코뿔소, 알려진 위험들 13도토리 한상윤
6233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확장 데이터의 특징과 맥락을 반영한 데이터 리터러시의 재개념화 7도토리 최민기
6232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탄소중립 관련 산업 변화에 따른 일자리 변화와 대응 방안 11도토리 최민기
62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노출 정도에 따른 고용추세 7도토리 최민기
6230 성장동력산업 [산업연구] 디지털미디어 허브 조성을 위한 빛마루 산업 연구 13도토리 최민기
6229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데이터 정책 연구 - 구성요소 사이의 구조적 관계와 영향 7도토리 최민기
622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양자정보기술 백서 - 2 13도토리 안소영
6227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양자정보기술 백서 - 1 13도토리 안소영
6226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생산인구 확보 종합대책 - 2 11도토리 안소영
6225 성장동력산업 [정책연구] 생산인구 확보 종합대책 - 1 11도토리 안소영
6224 성장동력산업 [정책동향] 일본의 해상탄소중립 동향 7도토리 안소영
622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 세부 협정에 따른 한국의 대응 7도토리 안소영
6222 성장동력산업 [기술동향] 종류별 프로세서 인공지능 반도체(AI Chip) 분석 5도토리 안소영
6221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반도체 산업현황 및 경쟁력 분석 13도토리 안소영
622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컨텐츠산업의 서브컬처 동향 및 시사점 5도토리 오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