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 동향] 아세안 시장 인구 동향과 기회 요인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7
용량 3.67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 동향] 아세안 시장 인구 동향과 기회 요인.pdf 3.6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27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123 

요약
제1절 아세안 주요 5개국 인구 분석
제2절 인구 연관 산업 트렌드와 기회 요인

제1장 아세안 주요 5개국 인구 분석 (서울대학교 인구정책연구센터)
제1절 인도네시아
제2절 필리핀
제3절 베트남
제4절 태국
제5절 말레이시아

제2장 인구 연관 산업 트렌드와 기회 요인 (KOTRA)
[ 소득수준 상승으로 중산층 인구 증가 ]
제1절 캄보디아 식음료 프랜차이즈 기회
제2절 미얀마 외식산업의 성장과 시장 선점 방안
제3절 베트남 영유아 제품(분유) 시장 공략
[ 디지털 친화적 소비자 ]
제4절 디지털에 친숙한 말레이시아 소비자 공략 방안
제5절 ‘쇼퍼 엔터테인먼트’를 통한 베트남 화장품 시장 공략
[ 인구의 주식 : 쌀 ]
제6절 필리핀 농업 발전 정책에서 기회를
[ 2억 6천만 무슬림 인구와 할랄 수요 ]
제7절 인도네시아 시장으로 통하는 새로운 창 : 할랄
제8절 말레이시아를 할랄 테스트 베드로 활용
[ 의료 ‧ 보건 산업의 성장 ]
제9절 싱가포르 의료 분야 오픈 이노베이션 기회
제10절 태국 고령 인구 질환 증가, 의약품 시장 성장 전망
제11절 태국, 아세안 의료 허브 육성으로 의료기기 시장 유망
제12절 인도네시아 고급 의료기기 시장 공략 방안
[ 가치사슬 관점의 아세안 ]
제13절 인도네시아 전기차 생태계 구축에 따른 투자 진출 기회
제14절 영어 활용에 친숙한 필리핀, CS 아웃소싱 유망
제15절 교육 분야 CSR 활동으로 장기 협력관계 구축(베트남)

#첨부 : 아세안 주요 통계

화면 캡처 2022-12-28 143643.png

요약

아세안 인구의 소득수준이 빠르게 상승해 △식음료(F&B) △모빌리티 △전자제품 △교육에 대한 소비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캄보디아·미얀마에서 F&B 프랜차이즈 기회를, 베트남에서는 영유아 시장을 눈여겨봐야 한다.
아세안 지역은 도시화 현상과 1인 가구의 증가로 아세안 총가구 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건설시장 및 가전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2010년 5,400만이던 총가구 수가 최근 약 7,000만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세안의 젊은 인구를 중심으로 디지털 소비 트렌드가 확산 중인데, 특히 식료품 및 뷰티 제품, 의류 구매 시 전자상거래 사용 빈도가 늘어나고 있다. 디지털 친화적인 인구를 고려한 소셜미디어 마케팅 전략의 중요성도 강조된다.
최근 아세안의 기대수명이 상승하면서 고령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UN 추계에 따르면, 태국은 조만간 고령 인구가 1,000만 명에 육박할 전망이며, 말레이시아는 고령 국가로의 전환 갈림길에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태국·인도네시아의 경우, 국민의 건강에 대한 인식과 접근성이 개선돼 의약품 및 고급 의료기기 시장에 기회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성장동력산업 [산업 동향] 아세안 시장 인구 동향과 기회 요인 9도토리 국준아
48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의무공개매수제도 도입 분석 1도토리 국준아
48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제유가 및 유가 상한제 시행에 따른 OPEC+의 입지 변화 1도토리 국준아
48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마이크론 FY1Q23 리뷰 3도토리 국준아
48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간 항공 및 방위 산업 3도토리 국준아
48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10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분석 3도토리 국준아
48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 주간 데이터 5도토리 국준아
48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삼성생명 법 통과에 따른 지배구조 영향 3도토리 국준아
488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호주 전자상거래 시장분석 및 진출방안 9도토리 정한솔
487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 분석과 시사점 7도토리 정한솔
487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멀어진 산타 랠리 기대감 3도토리 강정훈
487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자동차분야_2022년 11월 타이어 판매 동향 3도토리 강정훈
487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그린산업분야_EU, 탄소배출 규제 강화 및 대한민국, 에너지전환 속도 빨라져야 3도토리 강정훈
487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ESG분야_해상풍력 글로벌 투자확대 시대 9도토리 강정훈
487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산업분야_EU, 재생에너지 허가 패스트 트랙 도입 3도토리 강정훈
48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SG 활동의 가치관련성 제고를 위한 개선과제 9도토리 노민우
487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아프리카 주요국의 수소산업 동향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48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기반 무역데이터 분석을 통한 국내 공급망 취약성 파악 7도토리 노민우
48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러시아의 대 EU 에너지 공급 감축과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 7도토리 노민우
486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ESG 성과 평가 실태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