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화학 주간 데이터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7
용량 1.94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화학 주간 데이터.pdf 1.9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27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14 

폴리실리콘 공급과잉 엄습하다!

[정제마진 동향] 기습 한파로 미국 정유가동률 평균 5%p 낮아질 듯… 2022년 12월 3주 싱가폴 정제마진(datastream 기준)은 8.7$로, 11월 7.6$에서 강보합 흐름을 보였다. 미국 정유설 비 가동률은 95%에서 90% 수준으로 5% 낮아졌는데, 12월에 미국 정유설비 가동률 하락은 이례적이다. Covid19 이전에 12월 정유 가동률을 살펴보면, 2017년 95.0%, 2018년 95.7%, 2019년 92.3% 등으로 겨울철 강세를 보였 다. 금년에는 북극진동에 따른 북미 남부지역까지 한파가 미치면서 가동률이 낮아졌다. 전력공급, 원료 수송 등에 일부 차질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과거 사례를 살펴보면, 2018년 1월과 2011년 2월 기습한파 시기에 정유설비 가동 률은 1~2개월 동안 각각 4.3%p와 15.1%p 낮아졌다. 정제마진은 1 ~ 2$ 정도 높아진 후 하락했다. ▷ 싱가폴 복합정제마진 : 2021년 4분기 6.1$ → 2022년 3분기 7.1$ → 11월 7.6$ → 12월 3주 8.7$/배럴 ▷ 제품별 정제마진 : 휘발유 8.6$(11월 6.4$), 등유 34.0$(11월 34.7$), 경유 34.3$(11월 39.8$), 중유 △15.9$(11월 △21.3$), 나프타 △12.0$(11월 △12.8$)

화면 캡처 2022-12-28 132841.png

[석화마진 동향] 신중론 부각되지만, 춘절(1/20일) 이후 회복 기대감 여전… 2022년 12월 3주 NCC업체의 1톤당 스프레드는 225$로, 11월 215$에서 소폭 반등 후 횡보 중이다. 중국 정부의 with-corona 정책 기대감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12월 말에 접근할수록 수요 복원을 확인해야 한다는 신중론이 동시 에 부각되고 있다. 중국내 코로나 확산으로 전방산업 노동자들의 생산라인 복귀가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 나, 중국의 춘절(1/20일) 이후 폴리에스터 섬유, PVC 등에 대한 실수요 증가 기대감은 여전히 살아있다. 생산업체 는 공급량 통제도 긍정적이다. LG화학㈜은 12월 초 여수 118만톤 NCC 정기보수를 마치면서 동시에 대산 23만톤 설비를 가동 중단했다. 여천NCC㈜는 12월 종료예정이던 37만톤 정기보수를 2월 말까지 연장했다. ▷ NCC 화학업체 Cash마진 : 2021년 4분기 356$ → 2022년 3분기 238$ → 11월 215$ → 12월 3주 225$/톤 a. 범용수지인 HDPE 스프레드 317$(11월 241$, PE-나프타)와 PP 292$(11월 227$)로, 전월 대비 31.5%와 28.6%로 반등 b. IT 및 자동차 소재 ABS 스프레드 300$(11월 318$)로, 전월 대비 △5.7% 하락 c. 화섬 소재 EG 스프레드 72$(11월 0$, EG-0.65*나프타)와 TPA 129$(11월 122$, TPA-0.67*PX)로, 전월 대비 (+)반전과 5.7% 상승 d. 자동차 타이어 소재 SBR 스프레드 901$(11월 1,066$)와 NB라텍스 △33$(11월 △37$)로, 전월 대비 △15.5%와 (-) 지속 e. 건자재 원료인 PO 스프레드 572$(11월 601$) 및 PVC 400$(11월 321$)로, 전월 대비 △4.8%와 24.6% 변동 f. 기타 : 벤젠 207$(11월 110$, 88.1%), 카프로락탐 △130$(11월 △13$, 마이너스 지속), TDI 1,780$(11월 1,745$, 2.0%), 가성소다 505$(11월 537$, △5.9%), BPA 493$(11월 769$, △35.9%), PX 292$(11월 260$, +12.3%)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888 성장동력산업 [산업 동향] 아세안 시장 인구 동향과 기회 요인 9도토리 국준아
48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의무공개매수제도 도입 분석 1도토리 국준아
48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제유가 및 유가 상한제 시행에 따른 OPEC+의 입지 변화 1도토리 국준아
48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마이크론 FY1Q23 리뷰 3도토리 국준아
48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간 항공 및 방위 산업 3도토리 국준아
48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10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분석 3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 주간 데이터 5도토리 국준아
48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삼성생명 법 통과에 따른 지배구조 영향 3도토리 국준아
488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호주 전자상거래 시장분석 및 진출방안 9도토리 정한솔
487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 분석과 시사점 7도토리 정한솔
487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멀어진 산타 랠리 기대감 3도토리 강정훈
487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자동차분야_2022년 11월 타이어 판매 동향 3도토리 강정훈
487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그린산업분야_EU, 탄소배출 규제 강화 및 대한민국, 에너지전환 속도 빨라져야 3도토리 강정훈
487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ESG분야_해상풍력 글로벌 투자확대 시대 9도토리 강정훈
487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산업분야_EU, 재생에너지 허가 패스트 트랙 도입 3도토리 강정훈
48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SG 활동의 가치관련성 제고를 위한 개선과제 9도토리 노민우
487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아프리카 주요국의 수소산업 동향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48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기반 무역데이터 분석을 통한 국내 공급망 취약성 파악 7도토리 노민우
48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러시아의 대 EU 에너지 공급 감축과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 7도토리 노민우
486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ESG 성과 평가 실태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