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삼성생명 법 통과에 따른 지배구조 영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9
용량 958.36K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삼성생명 법 통과에 따른 지배구조 영향.pdf 958.3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26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삼성그룹: 보험업법 개정에 따른 영향 삼성그룹 지배구조 – 삼성생명은 삼성전자의 1대 주주 자료: 유안타증권리서치 보험업법 개정 시 삼성 금융계열사의 삼성전자 지분 강제 처분 반영한 지분율 자료: 유안타증권리서치 삼성그룹 • 보험업법 제106조 4항 ‘자산운용 비율을 산정하기 위한 총자산, 자기자본, 채권 및 주식 소유 합계액은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5조에 따른 회계 처리 기준에 따라 작성된 재무제표 상의 가액을 기준으로 한다’를 추가. 이 개정안에 따르면 보험사가 보유한 자회사 발행 채권 및 주식 소유의 합계액이 총자산의 100분의 3을 넘을 수 없다는 보험업법 제106조에 영향을 미치게 됨 • 총자산의 3%를 따지는 기준이 ‘취득원가’에서 ‘시장가격’으로 바뀌게 되면서 삼성생명이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 8.69% 중 약 26조 원에 해당하는 8.3%, 삼성화재가 보유한 삼성전자 지분 1.49% 중 약 2.6조 원 규모에 해당하는 0.8%를 매각. 해당 법안 통과 시 삼성그룹 입장에서는 삼성전자 지분의 9.1%에 대한 지배력 상실에 직면삼성그룹: 보험업법 개정 → 삼성물산의 지주회사 전환 의무화 삼성전자 자회사 편입 여부에 따른 삼성물산 지주 비율 자료: 유안타증권리서치 삼성그룹 • 삼성생명이 전자 지분 매각 시, 삼성물산은 삼성전자의 1대주주로 지위 변경. 이 경우 총 자산 38.8조 원 대비 자회사(1대 주주로 보유 중인 계열사) 가치가 21.4조 원으로 지주비율 50% 상회. 지주회사 법에 따라 삼성물산은 지주회사로 강제 전환되며, 2년 이내 행위제한 규정을 준수해야 함

화면 캡처 2022-12-28 131656.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888 성장동력산업 [산업 동향] 아세안 시장 인구 동향과 기회 요인 9도토리 국준아
48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의무공개매수제도 도입 분석 1도토리 국준아
48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제유가 및 유가 상한제 시행에 따른 OPEC+의 입지 변화 1도토리 국준아
48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마이크론 FY1Q23 리뷰 3도토리 국준아
48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간 항공 및 방위 산업 3도토리 국준아
48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10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분석 3도토리 국준아
48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 주간 데이터 5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삼성생명 법 통과에 따른 지배구조 영향 3도토리 국준아
488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호주 전자상거래 시장분석 및 진출방안 9도토리 정한솔
487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 분석과 시사점 7도토리 정한솔
487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멀어진 산타 랠리 기대감 3도토리 강정훈
487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자동차분야_2022년 11월 타이어 판매 동향 3도토리 강정훈
487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그린산업분야_EU, 탄소배출 규제 강화 및 대한민국, 에너지전환 속도 빨라져야 3도토리 강정훈
487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ESG분야_해상풍력 글로벌 투자확대 시대 9도토리 강정훈
487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산업분야_EU, 재생에너지 허가 패스트 트랙 도입 3도토리 강정훈
48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SG 활동의 가치관련성 제고를 위한 개선과제 9도토리 노민우
487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아프리카 주요국의 수소산업 동향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48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기반 무역데이터 분석을 통한 국내 공급망 취약성 파악 7도토리 노민우
48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러시아의 대 EU 에너지 공급 감축과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 7도토리 노민우
486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ESG 성과 평가 실태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