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멀어진 산타 랠리 기대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45
용량 1.06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멀어진 산타 랠리 기대감.pdf 1.0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19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Last Week Summary 지난 주에도 DRAM현물가의 하락세(제품별로 -1.7% ~ -0.2%)가 계속됨. 그러나 DXI 지수 는 +0.7%로 소폭 상승. 지난주 가장 중요한 경제 이벤트였던 11 월 CPI 는 예상보다 낮았고, 연준의 금리 인상폭도 시장 예상에 부합. 그러나, FOMC 점도표는 내년 금리 인하 가능성을 지웠고, 파월의 발언은 브루킹스 연설 때와는 달리 다시 다시 매파적으로 돌변. 또한,ECB, BOE의 라가르드와 베일 리의 발언도 이에 못지 않게 매파적이었음. 이 같은 영향으로 미 3 대 지수를 포함한 주요국 지수는 2 주 연속 하락했고, 테크 섹터 주가도 약세를 이어감. 지난주 주간 주가(12/16): 애플 -5.4%, 아마존 -1.4% 구글 -2.8%, 테슬라 -16.1%, SOXX - 3.1%, 엔비디아 -2.5%, 인텔 -4.7%,ASML -6.4%, AMAT -2.4%, TSMC -2.2%, 삼성전자 -1.5%, SK하이닉스 -3.8%, 마이크론 -5.1% And What YMTC, 미 Entity List 에 포함: 16 일 미 상무부(DoC)는 YMTC와 AI 칩 업체 캠브리콘, 노광 장비 업체 SMEE 를 비롯해 CETC, PXW등 30 여개 중국 기업을 Entity List 에 추가. 이런 가 운데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는 YMTC 가 램프업을 중단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며 내년 생산 증가율을 기존 +18%에서 -7%로 하향 조정. 한편, 로이터에 따르면 미국 의회는 YMTC, CXMT, SMIC 등 중국 반도체 업체들이 생산한 제품 구매를 금지하는 법안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짐. 특히 YMTC 는 애플의 서플라이 체인으로 고려되고 있었던 업체라는 점에서, 국내 메모리 업체들에게는 호재가 될 전망. 2024 년까지 전세계 팹 투자 5,000억 달러 규모: SEMI의 전세계 팹 전망 리포트에 따르면 21 년 23 개, 22 년 33 개, 23 년 28 개 등 84 개의 팹이 건설되며, 총 5,000 억 달러가 투자 될 것으로 전망. 미국의 CHIPS and Science Act, 유럽의 EU Chips Act 등 주요국의 보조금 지원에 힘입어 지속적인 투자 이루어질 전망. 국가별로는 중국 20개, 미국 18개, 유럽과 중 동 17 개, 대만 14개, 한국 3 개 등으로 예상. So What 예상보다 낮은 CPI발표로 산타 랠리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었다. 그러나,FOMC 의 매파적 점도표와 11 월말 부드러운 미소를 보였던 파월이 다시 완고한 표정으로 돌변하면서, 산타 랠리의 기대감은 멀어지고 말았다. 여기에다 예상치를 하회한 미국 11 월 소매판매, 마이너 스로 전환된 뉴욕 제조업지수도 시장에 부담이 되었다. 이번 주에는 FedEx 와 나이키, 마이크론 등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하지만, 이들 기업들 은 이미 선제적으로 상당한 강도로 실적 경고를 내놓은 바가 있다. 따라서, 희망적인 얘기 가 나올 가능성은 그리 높아 보이지 않는다. 낮은 기온만큼이나 시장도 썰렁한 분위기다

 

화면 캡처 2022-12-22 145303.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888 성장동력산업 [산업 동향] 아세안 시장 인구 동향과 기회 요인 9도토리 국준아
48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의무공개매수제도 도입 분석 1도토리 국준아
48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제유가 및 유가 상한제 시행에 따른 OPEC+의 입지 변화 1도토리 국준아
48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마이크론 FY1Q23 리뷰 3도토리 국준아
48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간 항공 및 방위 산업 3도토리 국준아
48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10월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분석 3도토리 국준아
48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화학 주간 데이터 5도토리 국준아
48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삼성생명 법 통과에 따른 지배구조 영향 3도토리 국준아
4880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호주 전자상거래 시장분석 및 진출방안 9도토리 정한솔
487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 분석과 시사점 7도토리 정한솔
»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반도체분야_멀어진 산타 랠리 기대감 3도토리 강정훈
487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자동차분야_2022년 11월 타이어 판매 동향 3도토리 강정훈
487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그린산업분야_EU, 탄소배출 규제 강화 및 대한민국, 에너지전환 속도 빨라져야 3도토리 강정훈
487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ESG분야_해상풍력 글로벌 투자확대 시대 9도토리 강정훈
487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그린산업분야_EU, 재생에너지 허가 패스트 트랙 도입 3도토리 강정훈
48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SG 활동의 가치관련성 제고를 위한 개선과제 9도토리 노민우
487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아프리카 주요국의 수소산업 동향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48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기반 무역데이터 분석을 통한 국내 공급망 취약성 파악 7도토리 노민우
48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러시아의 대 EU 에너지 공급 감축과 우리 경제에 대한 영향 7도토리 노민우
486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의 ESG 성과 평가 실태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